설교문 - 돌아간 아홉 사람과 돌아온 한 사람 누가복음 17장 11절-19절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교문 - 돌아간 아홉 사람과 돌아온 한 사람 누가복음 17장 11절-19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님을 갈릴리아 사마리아 사이에서 만났습니다. 12절을 보니까 예수님이 한 마을에 들어가실 때 문둥병자들이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그 마을을 떠나실 때 만난 것이 아니라 그 마을로 들어가실 때 만났어요. 그당시 교통이 좋았던 것도 아니고 기후와 지형을 고려해볼때 참 피곤한 여행길이었음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이 그 마을로 들어가 음식을 먹고 기운을 회복하시기까지 기다리지 않았으며 그가 지친 상태로 그 마을에 들어오셨들 때 그를 만났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은 그들을 거절하지 않으셨습니다.
예수님이 한 마을로 들어가실 때에 열명의 문둥병자들은 멀리서 예수님을 알아보고 외쳤습니다. 한눈에 예수님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을 거에요. 그들은 익히 예수님의 소문을 들었기 때문입니다.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따라 다니는 분은 예수님 말고는 없다는 것을 알고 그들은 뛸 듯이 기뻤을 겁니다. ‘이제 우리도 이 저주스러운 병에서 나을 수 있겠구나’하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예수님의 일행들도 한눈에 저들이 문둥병자라는 것을 알아보았을 것입니다. 이리저리 감은 붕대, 찢어진 옷, 풀어해친 머리, 가리고 있는 입술....
문둥병자들은 한눈에 예수님 일행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그의 소문을 관심있게 듣고 알고 있었을 거에요. 물론 사람들과 정상적인 교제는 힘들었겠지만 누가복음 5장에 등장하는 문둥병 환자의 사건 정도는 그들이 분명히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문둥병자에게 손을 대시고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시자 문둥병이 나았다는 그 이야기는 이스라엘의 모든 문둥병자들에겐 좀처럼 믿기 힘들 정도의 가슴벅찬 이야기였을 겁니다. 자신들의 병을 완치할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 지금 눈앞에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먼 여행길에 지쳐있을 예수님께 염치 불구하고 나서게 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 가까이 가고 싶어도 갈수가 없습니다. 그들은 한눈에 보기에도 문둥병자였어요. 예수님과 함께 있는 사람들은 문둥병자들이 자신들에게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 분명했어요. 예수님도 부정한자를 쉽사리 만나주시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지금까지의 모든 사람들이 그랬거든요. 어쩌다 마주치기라도 하면 괴물을 만났듯이 소리를 지르고 도망치거나 돌을 던지며 위협했어요. 그래서 사람들이 가까이 올때면 항상 “부정하다.”를 외치며 경고해야 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부정하다고 피하는 이 문둥병자를 그 고결한 예수님이 만나 주실 수 있을지 확신이 없었습니다. 함께 있는 사람들은 그날따라 어찌나 그렇게 많아 보이는지, 선뜻 용기가 나지 않았어요.
그들은 감히 가까이 오지조차 못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예수님께 가까이 다가와 옷깃이라도 붙잡고 매달려 보고 싶은데 그럴 수 조차 없습니다. 그저 할 수 있는 것은 멀리서 소리지르는 일 뿐이었어요. 예수님께 가까이 가봐야 부탁을 할 수 있을텐데 말입니다. 주께서 원하시면 우리를 깨끗케 할 수 있지 않으시냐고, 우리를 깨끗케 해달라고 빌며, 그 발 앞에 무릎꿇고 엎드려야 하는데 말입니다. 그래야 예수님께서 열명의 문둥병자를 만져주시길 기대라도 해볼 수 있지 않겠어요?
그래서 그들은 멀리서 소리를 질러 예수님을 부릅니다. “예수 선생님이여, 우리를 긍흉히 여기소서~!” 긍휼히 여겨달라고 소리지릅니다. 깨끗케 해달라는 말대신 불쌍히 여겨달라고 소리를 지릅니다. 그들은 예수님께 가까이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사람들입니다. 간청해보기는커녕 가까이조차 못가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이 간청할 수 있는 것은 그저 불쌍히 여겨주셔서 가까이만이라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소리지르는 것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예수님께 무릎꿇고 간청할 수 있게 해달라는 그리고 우리를 만져주시고 고쳐달라는 간절한 기대가 잔뜻 묻어있는 외침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다같이 합창을 합니다. “예수 선생님, 우리를 긍휼히 여겨주세요~!”
14절에 우리 주님께서 그런 그들에게 무어라고 하십니까? “가서 제사장에게 너희 몸을 보이라”고 하십니다. 긍휼히 여겨달라는 불쌍히 여겨달라는 그들의 외침에 예수님은 제사장에게 가서 몸을 보이라고 하십니다. 예수님 가까이로 가보고 싶었던, 그래서 무릎꿇고 간청하고 싶었던, 그래서 예수님이 만져주시길 간절히 기대하던 문둥병자들에게 뜻밖의 대답이 돌아온것입니다.
“뭐라고? 우리가 잘못 들은 것 아니지? 가라고 하셨어 지금?” 그들은 주춤했을 것입니다. 얼핏 생각해 보아도 도대체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예수님께서 부정한자들과 함께 하시길 꺼리셔서 우리보고 자리를 피하라는 말인가? 아님 제사장에게 가서 기다리고 있으면 예수님이 그리로 오시겠다는 말씀인가? 아~ 그런데 부정한 우리가 어떻게 마을로 들어가지?’ 이런 저런 고민이 생기지만 지금은 생각할 겨를이 없습니다. 예수님이 마을에 머무시는 동안에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합니다. 이 문둥병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지금 이유를 물을새가 없습니다. 그들은 일단 제사장에게 가기로 합니다. ‘예수님이 제사장 앞에서는 우리를 만나주시려나? 아님 제사장에게 미리 무언가 비책을 일러 놓으셨나?’ 여러 추측들을 머릿속에 쌓아두며 그들은 바쁜걸음으로 제사장이 있는 마을로 향했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일단 예수를 믿기로 했습니다. ‘저렇게 유명한 사람이 설마 거짓말 하겠어?’ 그들은 예수를 믿어보기로 했습니다.
얼마만에 들어가 보는 마을인지 모르겠습니다. 어머니가 계시고 아내와 토끼같은 아이들이 있는 곳입니다. 예수님의 명령대로 마을로 향하기는 했으나 아직 문둥병이 나은것도 아닌데 감동이 밀려옵니다. ‘어머니는 건강히 잘 있으실까? 아이들은 잘 자라고 있을까?’
그런데 그중 적어도 한사람은 고민에 빠졌을 겁니다. 왜냐하면 그 열명중엔 사마리아인도 끼어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내가 저 마을에 들어가도 되려나? 우리 가족은 갈릴리 유대인들 마을에 사는것도 아닌데... 이방인이자 사마리아 사람인 내가 저 마을에 들어가도 되는건가? 게다가 나는 아직 문둥병자인데... 제사장을 만나도 그 제사장이 날 위해 정결 제사를 드려줄 수 있을까? 아니, 내 몸을 봐주기는 할까? 이방인이라고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