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과 의례의 의미
2. 통과 의례의 종류
-출산의례-
-백일-
-돌-
-책례-
-성년의례-
-혼인례-
-수연례와 회혼례-
-상장례-
-제례-
2. 통과 의례의 종류
-출산의례-
-백일-
-돌-
-책례-
-성년의례-
-혼인례-
-수연례와 회혼례-
-상장례-
-제례-
본문내용
는데 상주들의 슬픔 을 달래며, 죽음을 또 다른 태어남으로 인식해서 마을 사람들이 자기 집에서 팥죽을 끓여 와 상여놀이를 밤새 벌린다,
다음날 날이 밝으면 관을 상여에 안치하고 마지막 제사인 발인제를 지낸다. 제사가 끝나 면 상여가 미리 잡아 놓은 묘역에 도착하고 하관한 수에 봉분을 다지고 상주들이 집으로 돌아온다.
<상례의 모습들>
▷▶ 제 례 ◀◁
제례란 죽은 조삭을 추모하여 지내는 의식이며 신명을 받들 어 복을 빌고자 하는 의례이다. 서조가 제사의 대상으로 인 식되기 시작한 것은 내가 있게 된 것이 바로 조상에서 비롯 되었다는 것을 인식한 뒤부터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조상을 숭배하는 사상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 부터 있었으니 보편화된 시기는 중국에서 유학이 들어오고부 터이다. 조상에 대한 제례가 가장 발달한 조선 중기 이후이 며 따라서 조선시대를 제기 문화라고 일컫는다.
● 제례의 종류
(1) 기제 -기일제사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지내는 제사이다. 기일제사는 당사자만의 제 사하는 것이 아니었다. 과거 기제의 봉사대항은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 지냈으나 현 대에는 대개 2대조 까지 행하며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 비속에 한해서 기제를 지낸 다.
(2) 시제 - 사시제 라고도 하며 1년에 4번 즉 춘하추동의 계절마다 고조이하의 조상을 함께 제사 하 는 합동제사이다. 조선시대 이후 기제가 중시되면서 점차 퇴색했으며 사계절의 시제를 모두 행하는 가문은 드물고 지금은 1년에 한번만 행한다.
(3) 묘제 - 죽은 사람의 무덤 앞에서 하는 제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음력 10월에 많이 행하였고, 5대조 이상의 조상에 대한 제사를 1년에 1번 지내는 것이 관행이였다.
산소를 찾아가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잡초가 무성하면 정성껏 벌초 하고 산소 앞을 깨 끗하게 쓸고 난 후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한다.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상을 차린다.
(4) 차례 - 간소한 약식 제사로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일 아침이나 낮에 지내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민족 명절에 조상에게 올린다. 차례도 기제 사처럼 4대조까지 지내며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 또는 지방과 사진 등 을 놓고 지낸다.
그밖에 선조제례, 이제 , 등이 있다.
초첩 : 식초로 종지에 담는다
메 : 밥으로, 반기에 수북하게 담아 뚜껑을 덮는다.
갱 : 쇠고기와 무를 네모 반듯하게 썰어 함께 끓인 국
이다.
면 : 국수를 삶아 건진 것으로 반기에 담아 뚜껑을 덮
는다.
편 : 떡을 말한다. 대개 거피팥고물, 녹두고물 등을 얹
어 찐 찰편, 멥쌀편 등을 편대에 괴어 올린뒤 주악
을 웃기도 얹는다.
편청 : 떡을 찍어 먹기 위한 조청으로 정지에 담아 떡
그릇 수대로 놓는다.
적: 떡을 찍어 먹기 위한 조청으로 종지에 담아 떡그릇
수대로 놓는다
적염 : 적을 찍어 먹기 위한 소금이다.
숙채 : 도라지, 고사리, 배추나물을 한 접시에 곁들여 담는다
침채 : 대개는 나박김치를 희게 담아 쓴다.
과실 : 종류별로 각각 그릇에 괴어 담는다. 복숭아는
쓰지 않으며 다른 과일은 아래위를 도려낸 다음
꼭지가 위로 가도록 담는다.
전 : 육전, 어전 등이 있다.
초장 : 초장은 간장에 초를 탄 것으로 전을 찍어 먹기
위한 것이다.
청장 : 순수한 간장으로 종지에 담는다.
제주 : 술을 말하며 대개는 약주를 병에 담아 마개를 막는다.
숙수 : 찬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 만든 일종의 숭늉으로
시위 수대로 그릇에 담는다.
포 : 어포와 육포를 말한다. 직사각형의 접시에 포개어
담되 어포는 등이 위로 가도록 담는다
해 : 생선젓으로 대개는 소금에 절인 조기를 쓴다. 해 는 정식 제례에만 쓰고 차례에는 식혜를 쓴다.
혜 : 밥알을 삭혀 만든 식혜로 건더기만을 둥근 접시에
담는다.
탕 : 육탕, 어탕, 소탕의 세가지가 기본이다.
● 제례 음식 - 제수(祭 需)란 제의에 소용되는 금품을 말하는 것이고 조리가 된 제의 음식 은 제수(祭 羞)라고 한다. 제수는 지방과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제수의 의미
(1) 대추 - 대추는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린며 헛꽃이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 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죽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제사상에는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인다.
(2) 밤 - 대부분의 식물 씨앗은 싹을 틔우고 나면 땅속에서 썩어 없어지지만, 밤은 생밤 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열매(밤)를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 다. 이런 연유로 밤은 자손과 조상간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하여 자손이 수십 수 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손과 연결되어 이어진다는 의미로 제상에 꼭 오르며, 같은 이유로 신주도 밤나무를 깎아서 만든다.
(3) 감 - 감의 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는다.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 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으로, 가르침을 받아 배우고 깨 우치는 데에는 칼로 생가지를 자르듯 아픔이 따르지만 그 아픔을 이기고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아 올바른 사람이 됨을 의미한다.
(4) 배 - 배는 껍질이 우리 민족의 피부색과 같이 누렇고, 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 을 뜻하는 바, 이는 우리 민족의 긍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배의 속살이 흰 것을 우리 백의민족에 빗대어 순수함과 밝음을 의미하여 제물로 쓴다는 설도 있다.
(5) 명태(북어포) - 우리나라 동해의 대표적인 어물로 머리가 크고 알이 많아 훌륭한 자 손을 많이 두고, 또 수많은 알처럼 부자가 되게 해 달라는 뜻으로 제 상에 빠지지 않고 오른다.
(6) 조기 - 조기는 서해안에서 나는 대표적인 어물로 옛부터 생선의 으뜸으로 생각하여 제물에는 빠지지 않았다.
http://blog.empas.com/kiminternet/12380253
<제수 진설의 예시>
http://blog.empas.com/lphojt0p/11189037
< 시제 상차림 >
< 제 사 상 > < 제 구 >
다음날 날이 밝으면 관을 상여에 안치하고 마지막 제사인 발인제를 지낸다. 제사가 끝나 면 상여가 미리 잡아 놓은 묘역에 도착하고 하관한 수에 봉분을 다지고 상주들이 집으로 돌아온다.
<상례의 모습들>
▷▶ 제 례 ◀◁
제례란 죽은 조삭을 추모하여 지내는 의식이며 신명을 받들 어 복을 빌고자 하는 의례이다. 서조가 제사의 대상으로 인 식되기 시작한 것은 내가 있게 된 것이 바로 조상에서 비롯 되었다는 것을 인식한 뒤부터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조상을 숭배하는 사상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 부터 있었으니 보편화된 시기는 중국에서 유학이 들어오고부 터이다. 조상에 대한 제례가 가장 발달한 조선 중기 이후이 며 따라서 조선시대를 제기 문화라고 일컫는다.
● 제례의 종류
(1) 기제 -기일제사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지내는 제사이다. 기일제사는 당사자만의 제 사하는 것이 아니었다. 과거 기제의 봉사대항은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 지냈으나 현 대에는 대개 2대조 까지 행하며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 비속에 한해서 기제를 지낸 다.
(2) 시제 - 사시제 라고도 하며 1년에 4번 즉 춘하추동의 계절마다 고조이하의 조상을 함께 제사 하 는 합동제사이다. 조선시대 이후 기제가 중시되면서 점차 퇴색했으며 사계절의 시제를 모두 행하는 가문은 드물고 지금은 1년에 한번만 행한다.
(3) 묘제 - 죽은 사람의 무덤 앞에서 하는 제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음력 10월에 많이 행하였고, 5대조 이상의 조상에 대한 제사를 1년에 1번 지내는 것이 관행이였다.
산소를 찾아가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잡초가 무성하면 정성껏 벌초 하고 산소 앞을 깨 끗하게 쓸고 난 후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한다.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상을 차린다.
(4) 차례 - 간소한 약식 제사로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일 아침이나 낮에 지내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민족 명절에 조상에게 올린다. 차례도 기제 사처럼 4대조까지 지내며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 또는 지방과 사진 등 을 놓고 지낸다.
그밖에 선조제례, 이제 , 등이 있다.
초첩 : 식초로 종지에 담는다
메 : 밥으로, 반기에 수북하게 담아 뚜껑을 덮는다.
갱 : 쇠고기와 무를 네모 반듯하게 썰어 함께 끓인 국
이다.
면 : 국수를 삶아 건진 것으로 반기에 담아 뚜껑을 덮
는다.
편 : 떡을 말한다. 대개 거피팥고물, 녹두고물 등을 얹
어 찐 찰편, 멥쌀편 등을 편대에 괴어 올린뒤 주악
을 웃기도 얹는다.
편청 : 떡을 찍어 먹기 위한 조청으로 정지에 담아 떡
그릇 수대로 놓는다.
적: 떡을 찍어 먹기 위한 조청으로 종지에 담아 떡그릇
수대로 놓는다
적염 : 적을 찍어 먹기 위한 소금이다.
숙채 : 도라지, 고사리, 배추나물을 한 접시에 곁들여 담는다
침채 : 대개는 나박김치를 희게 담아 쓴다.
과실 : 종류별로 각각 그릇에 괴어 담는다. 복숭아는
쓰지 않으며 다른 과일은 아래위를 도려낸 다음
꼭지가 위로 가도록 담는다.
전 : 육전, 어전 등이 있다.
초장 : 초장은 간장에 초를 탄 것으로 전을 찍어 먹기
위한 것이다.
청장 : 순수한 간장으로 종지에 담는다.
제주 : 술을 말하며 대개는 약주를 병에 담아 마개를 막는다.
숙수 : 찬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 만든 일종의 숭늉으로
시위 수대로 그릇에 담는다.
포 : 어포와 육포를 말한다. 직사각형의 접시에 포개어
담되 어포는 등이 위로 가도록 담는다
해 : 생선젓으로 대개는 소금에 절인 조기를 쓴다. 해 는 정식 제례에만 쓰고 차례에는 식혜를 쓴다.
혜 : 밥알을 삭혀 만든 식혜로 건더기만을 둥근 접시에
담는다.
탕 : 육탕, 어탕, 소탕의 세가지가 기본이다.
● 제례 음식 - 제수(祭 需)란 제의에 소용되는 금품을 말하는 것이고 조리가 된 제의 음식 은 제수(祭 羞)라고 한다. 제수는 지방과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제수의 의미
(1) 대추 - 대추는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린며 헛꽃이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 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죽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제사상에는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인다.
(2) 밤 - 대부분의 식물 씨앗은 싹을 틔우고 나면 땅속에서 썩어 없어지지만, 밤은 생밤 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열매(밤)를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 다. 이런 연유로 밤은 자손과 조상간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하여 자손이 수십 수 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손과 연결되어 이어진다는 의미로 제상에 꼭 오르며, 같은 이유로 신주도 밤나무를 깎아서 만든다.
(3) 감 - 감의 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는다.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 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으로, 가르침을 받아 배우고 깨 우치는 데에는 칼로 생가지를 자르듯 아픔이 따르지만 그 아픔을 이기고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아 올바른 사람이 됨을 의미한다.
(4) 배 - 배는 껍질이 우리 민족의 피부색과 같이 누렇고, 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 을 뜻하는 바, 이는 우리 민족의 긍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배의 속살이 흰 것을 우리 백의민족에 빗대어 순수함과 밝음을 의미하여 제물로 쓴다는 설도 있다.
(5) 명태(북어포) - 우리나라 동해의 대표적인 어물로 머리가 크고 알이 많아 훌륭한 자 손을 많이 두고, 또 수많은 알처럼 부자가 되게 해 달라는 뜻으로 제 상에 빠지지 않고 오른다.
(6) 조기 - 조기는 서해안에서 나는 대표적인 어물로 옛부터 생선의 으뜸으로 생각하여 제물에는 빠지지 않았다.
http://blog.empas.com/kiminternet/12380253
<제수 진설의 예시>
http://blog.empas.com/lphojt0p/11189037
< 시제 상차림 >
< 제 사 상 > < 제 구 >
추천자료
[사회과학] 라디오 프로그램 모니터링-세상의 모든 음악, 김미숙입니다
애플(apple)의 소개, 해외투자, 중점목표 A+작품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A+] 경영통제, Management control - 경영통제의 기초방법, 효율적 경영통제시스템, 계획과 ...
슈퍼스타K시즌4,슈퍼스타K4,슈퍼스타K마케팅전략,맞춤형서비스사례,서바이벌오디션프로그램,...
슈퍼스타K4,슈퍼스타마케팅전략,오디션프로그램,슈퍼스타시즌4,노래오디션.PPT자료
닌텐도DS 마케팅전략분석과 닌텐도 기업분석 및 닌텐도DS 성공법칙 및 향후전략
닌텐도DS(Nintendo DS) 마케팅 4P,STP전략분석과 마케팅 성공전략분석 및 닌텐도DS의 성공법...
의료관광 - 한국의 의료관광은?.pptx
경호 및 경비 임무수행에서의 사격의 중요성과 종류
시민사회와 NGO - 멸종위기 동물, NGO 그리고 정부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 구역, 수원환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