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택한 덕목
2. 관련수기
3. 선정이유
4.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절차
5. 발문을 통한 교수·학습
6. 소감
2. 관련수기
3. 선정이유
4.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절차
5. 발문을 통한 교수·학습
6. 소감
본문내용
욕적이며 이성이 욕구를 통제하는 면에서 강조되지만, 덕 윤리에서의 이성은 이성적 추론과 사고 작용으로부터 당위성을 찾는 작용으로서의 이성이 강조되는 점이 좀 다른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그리고 공리주의와 덕 윤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덕’개념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지향하는 공리주의에 있어서 ‘덕’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것이다. 물론 덕 윤리의 ‘덕’개념도 공동체를 지향하며 마땅한 때 장소 동기를 가지고 행동하는 중용의 덕을 강조하므로 시대 장소에 따라 변한다는 점은 유사하지만, 인간의 기본적 품성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덕’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짧은 지식으로 내린 결론이므로 엉성하며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확신할 수 없다. 어떤 점에서 도덕교육에 있어서 덕 윤리, 칸트, 공리주의가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하며 가장 적절한 것이지 교수 방법에 있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관한 명쾌한 답을 얻고자 하였으나 힘든 일이었다. 마무리 하면서 같은 주제를 가지고 세 가지 윤리학의 관점에서 각각의 교수법을 적용해본다면 더 확실하게 구별이 되며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짧은 지식으로 내린 결론이므로 엉성하며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확신할 수 없다. 어떤 점에서 도덕교육에 있어서 덕 윤리, 칸트, 공리주의가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하며 가장 적절한 것이지 교수 방법에 있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관한 명쾌한 답을 얻고자 하였으나 힘든 일이었다. 마무리 하면서 같은 주제를 가지고 세 가지 윤리학의 관점에서 각각의 교수법을 적용해본다면 더 확실하게 구별이 되며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