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도덕 교육]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정의와 초등교육으로의 적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 도덕 교육]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정의와 초등교육으로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상에 대한 개괄
2.자신의 경험 사례들기
3.초등교과에 발견한 아리스토텔레스

본문내용

할 수 있다. 이 반복적 행동이 나의 덕의 중용의 바탕이 되어 언젠가는 중용적인 태도가 자연스럽게 나오기를 바란다.
두 번째 사례는 내가 몇 일 전에 겪은 아주 짧은 이야기이다.
집에서 학교로 내려 오는 길에 버스 터미널을 들리는 길이었다. 어는 초라하고 몸이 불편해 보이는 한 어른이 내 주변으로 천천히 다가오고 있었다.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그 사람이 다가 오자 멀찌감치 떨어져 그가 오는 것을 명백히 싫어하는 표현을 했다. 나도 처음에는 무섭고 기본이 좋지 않았다. 그 분이 공중에 대고 “버스 터미널이 어딘가요?”라고 물어보았지만 어느 누구도 대답할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나는 그 위치를 가르쳐 주고 그 건물 안까지 같이 들어 가 드렸다. 어짜피 같은 길이 었기에 이런 것은 전혀 시간이 걸리거나 귀찮은 일이 아니었다. 그 분은 버스에 핸드폰을 놓고 내리셔서 핸드폰을 찾으로 가는 길이셨던 것 뿐이었고 나는 핸드폰을 찾는 길까지 모셔드리는 걸로 일을 마무리 지었다.
그 분게 할애한 시간은 단지 몇분에 지나지 않았고 내가 한 일도 딱히 말 할 것은 없었다. 하지만 그 일이 끝나고 나서 그 분을 도아드렸다는 기분에 마음이 뿌듯해졌다. 이런 좋은 감정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로 쾌락이라고 한다. 그는 짐승이나 사람이나 모두가 쾌락을 추구한다고 하는 사실이 쾌락이 최고선임을 증명한다고 했다. 내가 느끼고 경험하고 나서야 왜 아리스토텔레스가 최고선을 쾌락 추구라고 했는지를 이해 할 수 있겠다.
쾌락이라는 용어는 어느세 육체적인 의미에 국한되어 버렸지만 사실은 쾌락은 느끼는 감정중 하나이다. 하지만 쾌락은 더 넓은 의미로써 내가 내리는 쾌락의 정의는 마음이 좋은 상태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쾌락은 우리의 삶과 뗄 수 없는 관계를 지니고있다. 우린 쾌락에 의해 어떤 행위를 하기도 하고 쾌락을 위해 행위를 하기도 한다. 쾌락은 우리의 행동을 촉진시키고 그 분야에 더욱 매진하게 만들어 준다. 내가 이번에 느낀 쾌락은 또 다른 선행을 불러 올 것이고 그 선행은 반복되어 나의 성품이 될 수 있게 만들어 줄 것이다. 이처럼 쾌락은 어떤 행위의 출발점이 되기도 하고 그 행위의 촉진제가 되며 행위의 목적이 되기도 한다.
3.초등교과에 발견한 아리스토텔레스
5한년 도덕
단원 : 정직한 행동
주제 : 정직하게 행동하려는 마음가짐
의사의 위로
순희 할머니는 순희 아버지의 진찰 결과를 애타게 기다리고 계십니다. 그러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8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