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행복의 철학
2. 이성적인 생활
3. 도덕적인 것과 지적인 것
4. 중용의 이론
5. 옳은 행위
6. 사회적인 것으로서의 도덕
7. 비판
2. 이성적인 생활
3. 도덕적인 것과 지적인 것
4. 중용의 이론
5. 옳은 행위
6. 사회적인 것으로서의 도덕
7. 비판
본문내용
하는 모든 것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인간의 궁극적 목적은 행복이다. 그리고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덕을 쌓아야 한다. 그런데 \'덕\'은 우리에게 본래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실천과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덕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좋은 행동이 몸에 배이도록 끊임없이 습관화하는 것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용(中庸)의 생활 자세를 강조하였다.
덕의 윤리는 안정되고 통일된 사회의 존재를 가정한다. 현대의 도덕적 상황은 우리의 사회적 삶의 바로 그 근저에까지 맞닿아 있는 미해결의 위기를 잘 보여준다. 오늘날 철학의 중심 과제는 현대 문화의 인식론적, 도덕적 위기의 원천을 분석하고 그것에 내포된 복잡하고 다원적인 가치관들의 근거를 이해하는 일. 현대에 와서 덕의 윤리가 재론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문제사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근세 이후 의무 중심적 윤리설에 가장 극단적으로 반발하면서 덕 윤리설을 주도하는 학자는 매킨타이어이다. 그에 따르면 근세 이후의 지배적인 윤리학의 패러다임은 그 내재적 요인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윤리적 상대주의에로 귀착하게 되며 현대사회와 같은 분열된 사회를 결과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칸트의 윤리설은 그 자체로서 실패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 지적인 전통의 퇴락을 함축하고 있다. 우리에게 가능한 선택지는 계몽주의적 기획의 상이한 입론들이 갖는 전망과 실패를 추종한 니체적 허무주의이든가 하니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 전통에로 복귀하는 것이다.
★ 내 경험 사례
그리스에서는 덕을 아르테(arte)라 하여, 사물이 그 본질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에서 알 수 있듯이 덕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해져 있는게 아니다.
따라서 따로 덕윤리를 실천했거나, 혹은 실천하지 못했던 점을 찾기란 참으로 쉬운 듯 하면서도 무척이나 망설여지고 어려웠다.
아래의 사례는 그러한 과정에서 고른 나의 -특별하지 않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경험담이다.
이번 학기는 1교시 수업이 많아 아침 등교 시간이 무척 피곤하다. 화순에서 통학하기 때문에 항상 남들보다 적어도 30분은 일찍 일어나 학교 갈 준비를 마치고, 수업 시작 1시간 전에 버스를 타야한다. 아침 8시는 직장인뿐만 아니라 광주로 통학하는 중고등학생이 다 같이 버스를 타기 때문에 무척이나 붐빈다.
그날도 역시나 복잡한 버스 안에서 40분이 넘는 시간을 사람들과 부
덕의 윤리는 안정되고 통일된 사회의 존재를 가정한다. 현대의 도덕적 상황은 우리의 사회적 삶의 바로 그 근저에까지 맞닿아 있는 미해결의 위기를 잘 보여준다. 오늘날 철학의 중심 과제는 현대 문화의 인식론적, 도덕적 위기의 원천을 분석하고 그것에 내포된 복잡하고 다원적인 가치관들의 근거를 이해하는 일. 현대에 와서 덕의 윤리가 재론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문제사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근세 이후 의무 중심적 윤리설에 가장 극단적으로 반발하면서 덕 윤리설을 주도하는 학자는 매킨타이어이다. 그에 따르면 근세 이후의 지배적인 윤리학의 패러다임은 그 내재적 요인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윤리적 상대주의에로 귀착하게 되며 현대사회와 같은 분열된 사회를 결과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칸트의 윤리설은 그 자체로서 실패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 지적인 전통의 퇴락을 함축하고 있다. 우리에게 가능한 선택지는 계몽주의적 기획의 상이한 입론들이 갖는 전망과 실패를 추종한 니체적 허무주의이든가 하니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 전통에로 복귀하는 것이다.
★ 내 경험 사례
그리스에서는 덕을 아르테(arte)라 하여, 사물이 그 본질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에서 알 수 있듯이 덕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해져 있는게 아니다.
따라서 따로 덕윤리를 실천했거나, 혹은 실천하지 못했던 점을 찾기란 참으로 쉬운 듯 하면서도 무척이나 망설여지고 어려웠다.
아래의 사례는 그러한 과정에서 고른 나의 -특별하지 않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경험담이다.
이번 학기는 1교시 수업이 많아 아침 등교 시간이 무척 피곤하다. 화순에서 통학하기 때문에 항상 남들보다 적어도 30분은 일찍 일어나 학교 갈 준비를 마치고, 수업 시작 1시간 전에 버스를 타야한다. 아침 8시는 직장인뿐만 아니라 광주로 통학하는 중고등학생이 다 같이 버스를 타기 때문에 무척이나 붐빈다.
그날도 역시나 복잡한 버스 안에서 40분이 넘는 시간을 사람들과 부
추천자료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수업)의 목표,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수업)의 동향, 도덕과(도덕교육, ...
[초등도덕교육] 아리스토텔레스와 덕 교육
[초등교육] 예절 (예절의 의미 역사적 변천 학교에서의 예절 교육)
[사회과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교육적 시사점
칸트 이론의 적용 (칸트의 윤리사상 경험사례)
초등도덕교육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 의지에 관한 이야기 - 6 소중한 시간 - 승호의 ...
도덕발달론 - 덕 윤리와 도덕교육 - 가치명료화 수업단계 - 5 올바른 예절 생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에 대한 고찰 - 나의 사례 - 초등 교과서의 지도 사례 - 5 예절바른 우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