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부끄러웠다.
우리 속담에 ‘세살 버릇 여든 간다.’라는 말이 있다. 문득 이 말과 함께 나의 잘못된 습관적인 행동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알게 되었다. 나는 지금 까지 올바르지 못한 습관을 몸에 지니면서 행동 했던 것이고, 내 친구는 올바른 습관을 행하면서 내 행동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려 줄 수 있었다. 나는 이 행동이 나의 행복에 도움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행동을 고치기 위해 나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 했듯이 난 실천과 반복을 통해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겠다는 덕을 다시 일깨워 가고 있다. 또한 나의 행동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생각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 뒤부터는 쓰레기를 버릴 때 한 번 더 생각해 보고, 반복적인 실천으로 고칠 수 있게 되었다.
초등학교 교과서의 지도 사례
<<3학년 1학기 5. 예절바른 우리>>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
7차 도덕과의 성격을 살펴보면
①인성 교육과 민주 시민 교육의 가장 중핵이 되는 교과(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의 가장 밑바탕 : 도덕적 자질과 품성)
②학생들이 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 나라나는 데 필요한 바람직한 도덕적 덕성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유덕한 인격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교과
③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서의 유덕한 인격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자라나는 데 필요한 기본생활 습관과 예절, 그리고 기본적인 도덕 규범을 통합적 인격 교육 내지 덕 교육적 접근의 관점에 입각하여 가르치는 교과
④초등 도덕과 : 1~2학년 바른 생활 교육(기초 예절, 생활규범 습득)과 중등 이상 7~10학년 도덕과 교육(도덕가치 규범 내면화, 자율적인 실천 도모)의 중간에서 양자를 연계하면서, 유덕한 인격의 토대
⑤교과 통합적 기능과 가치 통합적 기능을 통해 교과로서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유덕한 인격 형성에 기여하는 교과
⑥학교를 중심으로 하면서 동시에 가정 및 사회와 연계된 지도를 필요로 하는 교과
로 나뉠 수 있다. 즉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7차 도덕과 교육에서는 학생의 인격과 기본예절을 습관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에 부합하게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위 3학년 1학기 5단원 예절바른 우리를 선택하였다. 이 단원은 총 3차시로 나누어져 있는데, 위의 차시 목표와 같이 예절 중의 하나인 인사의 중요성을 배우고 실천해 가며 가정 학교 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상황에 올바른 인사예절을 습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사 예절을 습관화 시킨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부합하다. 습관화를 통하여 인사예절을 익히고 자연스럽게 적절한 때에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중용의 원리가 아닌가 싶다.
이 단원을 가르친다면 도덕과 수업 모형의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행동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사예절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신의 모습을 뒤돌아보며, 마지막으로 실천의 반복을 통해 인사예절을 습관화 시키는 것으로 마무리 지어야 한다. 1차, 2차시에는 시청각 자료로 아이들에게 동기유발을 시키고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 하도록 한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반성할 수 있는 이야기나 글감을 준비하여 느낀 점을 말하도록 한다. 스스로의 다짐과 함께 마지막 3차시에는 예절의 습관화를 될 수 있도록 과제를 내어 습관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평소에 교사의 생활지도와 모범적인 행동으로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습관화 될 수 있도록 한다.
우리 속담에 ‘세살 버릇 여든 간다.’라는 말이 있다. 문득 이 말과 함께 나의 잘못된 습관적인 행동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알게 되었다. 나는 지금 까지 올바르지 못한 습관을 몸에 지니면서 행동 했던 것이고, 내 친구는 올바른 습관을 행하면서 내 행동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려 줄 수 있었다. 나는 이 행동이 나의 행복에 도움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행동을 고치기 위해 나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 했듯이 난 실천과 반복을 통해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야 겠다는 덕을 다시 일깨워 가고 있다. 또한 나의 행동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생각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 뒤부터는 쓰레기를 버릴 때 한 번 더 생각해 보고, 반복적인 실천으로 고칠 수 있게 되었다.
초등학교 교과서의 지도 사례
<<3학년 1학기 5. 예절바른 우리>>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
7차 도덕과의 성격을 살펴보면
①인성 교육과 민주 시민 교육의 가장 중핵이 되는 교과(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의 가장 밑바탕 : 도덕적 자질과 품성)
②학생들이 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 나라나는 데 필요한 바람직한 도덕적 덕성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유덕한 인격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교과
③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서의 유덕한 인격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자라나는 데 필요한 기본생활 습관과 예절, 그리고 기본적인 도덕 규범을 통합적 인격 교육 내지 덕 교육적 접근의 관점에 입각하여 가르치는 교과
④초등 도덕과 : 1~2학년 바른 생활 교육(기초 예절, 생활규범 습득)과 중등 이상 7~10학년 도덕과 교육(도덕가치 규범 내면화, 자율적인 실천 도모)의 중간에서 양자를 연계하면서, 유덕한 인격의 토대
⑤교과 통합적 기능과 가치 통합적 기능을 통해 교과로서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유덕한 인격 형성에 기여하는 교과
⑥학교를 중심으로 하면서 동시에 가정 및 사회와 연계된 지도를 필요로 하는 교과
로 나뉠 수 있다. 즉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7차 도덕과 교육에서는 학생의 인격과 기본예절을 습관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에 부합하게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위 3학년 1학기 5단원 예절바른 우리를 선택하였다. 이 단원은 총 3차시로 나누어져 있는데, 위의 차시 목표와 같이 예절 중의 하나인 인사의 중요성을 배우고 실천해 가며 가정 학교 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상황에 올바른 인사예절을 습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사 예절을 습관화 시킨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부합하다. 습관화를 통하여 인사예절을 익히고 자연스럽게 적절한 때에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중용의 원리가 아닌가 싶다.
이 단원을 가르친다면 도덕과 수업 모형의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행동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사예절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신의 모습을 뒤돌아보며, 마지막으로 실천의 반복을 통해 인사예절을 습관화 시키는 것으로 마무리 지어야 한다. 1차, 2차시에는 시청각 자료로 아이들에게 동기유발을 시키고 자신의 경험담을 이야기 하도록 한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반성할 수 있는 이야기나 글감을 준비하여 느낀 점을 말하도록 한다. 스스로의 다짐과 함께 마지막 3차시에는 예절의 습관화를 될 수 있도록 과제를 내어 습관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평소에 교사의 생활지도와 모범적인 행동으로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습관화 될 수 있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