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큐메니칼 운동사 사회운동과 에큐메니즘 (농촌계몽운동과 절제운동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큐메니칼 운동사 사회운동과 에큐메니즘 (농촌계몽운동과 절제운동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민족주의 개화사상, 기독교 그리고 YMCA
Ⅲ. 사회운동
Ⅳ. 사회운동에서의 에큐메니즘의 동력과 의의
Ⅴ.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 1929년 9월 25일. 한규무,『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1925~1937』,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87.
이 위원회는 1929년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에서 클라크(F. O. Clark)를 초청하여 강연을 들은 뒤 조직되었다. 농촌사업협동위원회는 당시 농촌운동을 전개하던 개신교회의 각 단체가 협력하여 조직한 것으로, 한국 YMCA 연합회 회장 윤치호, 총무 신흥우, 농촌부 간사 홍병선, YWCA연합회 총무 김활란, 장로회 농촌부 부장 정인과, 남감리회 농촌부 부장 하디, 북감리회 농촌사업부 부장 윌리암스 등이 망라된 개신교회 최대의 농촌운동 기구였다. 한규무, 88.
그러나 위원장 윤치호와 협동총무 클라크가 모두 YMCA 소속으로, 사실상 YMCA 세력이 농촌사업협동위원회를 주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사실 YMCA를 제외하면 아직 독자적인 농촌운동을 전개할 만한 충분한 역량을 갖추지 못한 다른 단체의 농촌부에게는 이와 같은 연합활동이 큰 도움이 되었다. 한규무, 89.
농촌사업협동위원회의 활동은 농촌사업지도자강습소의 설치와 농사강습회의 개최였는데, 당시 개신교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두루 활용하여 이들 사업을 추진하였다.
한규무는 이 단체가 1930년까지만 유지되었던 것으로 파악하는데, 그 이유로 2가지 가능성을 언급한다. 하나는 각 농촌운동 단체들의 체계가 잡히면서 독자적인 농촌운동을 전개하는 가운데 이 위원회가 ‘발전적 해체’를 하였을 가능성이다. 하지만 위에서 다른 단체의 농촌부가 \'YMCA를 제외하면 아직 독자적인 농촌운동을 전개할 만한 충분한 역량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을 감안할 때에 그 가능성은 적다고 본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 YMCA의 신흥우와 장로교회 정인과의 사이가 매우 좋지 않았던 데서 엿보이듯이 김승태, “정인과 목사”, 《한국기독교의 역사적 반성》, 216. YMCA연합회 총무 신흥우는 감리교 신자로서, 이승만의 同志會(동지회)계열이며 畿湖派(기호파)였다. 반면 정인과는 興士團(흥사단)계열로서 西北派(서북파)였다. 한규무, 90에서 재인용.
, 위원회 지도층 내부의 알력이 있었을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규무,『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1925~1937』,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89.
2. 절제 운동
1) 조선기독교여자절제회
조선기독교여자절제회는 여성기독교인들이 결성한 초교파적 절제운동단체이다. “우리의 회합은 교파를 초월한 관이며 연합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