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과 한국기독교 [사회운동-계몽 절제 농촌운동 사회사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운동과 한국기독교 [사회운동-계몽 절제 농촌운동 사회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사회운동
1) 계몽운동
2) 절제운동
3) 농촌운동
4) 사회사업

3. 나아가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삼으려는 정책에 따라 ‘한일합방’ 직후인 1910년 9월부터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토지의 상당수가 총독부 소유가 되었고, 미작중심의 농업구조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토지조사사업으로 말미암아 지주보다는 자작농 가운데 토지를 잃고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한국농민들이 속출하였다.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Ⅱ』, (기독교문사, 1990), p.223.
1920년에 들어 일제는 다시 산미증산계획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따라 증산된 쌀은 일본으로 대량 수출되어 오히려 한국 농민은 잡곡을 더 많이 먹게 되었다. 또한 일제의 요구에 따라 한국의 농업이 미단작으로 이루어졌고, 중소지주와 자작농은 토지를 잃고 소작농은 더 많은 소작료를 내게 되었다. 1920년대 말기의 농업공황까지 겹쳐 한국 농민의 대부분이 절대 빈곤의 상태에 빠졌다. 강만길, 『고쳐쓴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1994), pp.120~128.
일제강점기 시기 인구의 80%가 농민이며, 그 가운데 80%가 소작인이고, 다시 그 가운데 80%가 문맹이라는 것이다. 이는 ‘고리대금업자의 노예’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농촌은 쇠약해져갔다. 그 결과 농촌경제가 악화되면서 농촌교회 또한 침체되었고, 농촌에서 교인은 물론 헌금도 줄어들면서 교회의 존립 자체가 위태롭게 되었다. 또 이무렵 사회주의자들이 반기독교운동을 벌이기 시작하여 농촌교회는 위태롭다 못해 위험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하여 농민·농촌 문제는 1920년대 일제강점기 시기 조선의 기독교회의 최대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일제의 식민정책으로 가장 심한 수탈을 당하고 있는 농촌에 대해서 한국기독교회는 선교적 차원에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김흥수 서정민 엮, 『한국기독교사 탐구』, (대한기독교서회, 2011), p.67
1928년에 장로교와 감리교에서는 <농촌부>가 설치되었고, 그 이듬해 연합공의회에서도 농촌사업이 강조되었으며, 1930년에는 YMCA와의 협조를 위해 역시 <농촌부>가 설치되었다.
1920년대 말에서 1930년대 초에 걸쳐 농촌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YMCA로서 장로교, 감리교단과 함께 농경기술과 작물·축산 등의 지도에 힘쓰며 농촌자립운동에 박찰를 가하였다. 그 밖에도 농촌계몽운동에 기독교학교가 적극 참여하여 지방교회를 중심으로 이 운동을 전개하였고, YMCA와 지방교회는 조합운동을 전개하기까지 이르렀다. 전대련 노종호 엮, 『한국기독교사회운동- 형성·전개·과제』, (路出版, 1986), p.54.
이들 기관들의 농촌운동론을 살펴보면, 첫째 합법적이고 온건한 노선을 표방하였고 둘째 ‘분배개선’보다는 ‘생산증가’에 중점을 두었으며, 셋째, 종교단체의 운동이니만큼 정신적 ·도덕적 각성을 중시하였고, 넷째 덴마크 농촌을 모델로 삼았으며, 다섯째 운동의 순서를 대체적으로 문맹퇴치→단체조직→농사개량→지도자양성의 순서를 설정하였다. 한규무, 『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1925~1937』,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p.104
이에 따라 문맹퇴치운동→농민계몽활동→농사강습회 개최→농민단체협동조합조직→공동경작의 보급→농업학교·농촌지도자양성기관 설립 등의 사업이 수행되어지게 되었다.
문맹퇴치운동을 가장 먼저 사업으로 시작한 이유는 교인들 가운데서 교사를 뽑을 수 있었고
교회 건물을 교육 공간으로 쓸 수 있었으므로, 이는 별다른 투자나 준비 없이 당장 시행할
수 있었던 사업이기 때문이다. 문맹퇴치운동을 주도했던 홍병선 “엇던 사람이 말하기를 지식있는 자 한두 사람이 촌촌에 중심이 되어서 그 농민들을 지도하야주면 된다고 하겠다. 그?도 대단히 조흔 말일다. 이 제도는 아직 농민들이 글을 배우고 자각하야 자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2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