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선정 이유
Ⅱ. 배려 윤리에 관하여
(1) 배려의 개념
(2) 배려의 대두
(3) 길리건의 배려 윤리
(4) 배려윤리 vs. 정의윤리
Ⅲ. 배려 윤리의 적용 사례
(1) 타인의 말 들어주기
(2) 거절하기
(3) 그 외 사례
Ⅳ. 도덕교육에의 적용 사례
(1) 경청하기 활동
(2) 거절하기 활동
Ⅴ. 마치며
* 참고문헌
Ⅱ. 배려 윤리에 관하여
(1) 배려의 개념
(2) 배려의 대두
(3) 길리건의 배려 윤리
(4) 배려윤리 vs. 정의윤리
Ⅲ. 배려 윤리의 적용 사례
(1) 타인의 말 들어주기
(2) 거절하기
(3) 그 외 사례
Ⅳ. 도덕교육에의 적용 사례
(1) 경청하기 활동
(2) 거절하기 활동
Ⅴ.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속한다. 구체적인 행동의 예시를 들어주면서 아이들이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한다.
☞ 친한 친구들끼리 짝을 지어 활동하면 더 효과적이다.
☞학년이나 상황에 따라 빨간색과 파란색 카드 2단계로 나누어서 할 수 있다.
활동 과정
③ 나 모둠과 약속하기
- 가 모둠 친구들이 내가 말할 대 안 듣는다고 화내거나 이야기를 중간에 멈추지 말고, 진지하고 솔직하게 말하라고 한다.
④ 놀이 진행하기
- 각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색깔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 가 모둠의 아이들만 색깔 카드의 의미를 알고 있다.
* 나 모둠의 이야기가 계속 진행되는 도중에 카드를 내보인다.
⑤ 느낌 나누기
- 나 모둠 친구들은 이야기를 하면서 기분이 어땠나요? 가 모둠 친구들은 이야기를 들으면서 무엇을 느꼈나요?
심화 보충과정
「소리괴물」이라는 책을 소개하고 읽어보도록 한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보게 되는 일상의 모습을 통해서 소통의 단절이 주는 문제점과 소통의 중요성을 \'소리괴물\'이라는 재미있는 소재를 통해서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잘 그려내고 있다.
(2) 적용 사례 #2 거절하기
이 활동은 어떤 요구에도 예스를 외칠 때와 어떤 요구에도 노를 외칠 때의 나의 느낌을 알아볼 수 있다.
주 제
노 맨, 예스 맨
기대효과
극단적 거절과 극단적 수용을 경험합니다.
적절한 거절 방법과 적절한 수용 방법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활동 내용
주의할 점
활동 과정
① 활동 안내하기
- 오늘 활동에 대한 안내를 한다.
“우리는 오늘 부탁과 거절에 관한 짧은 연극을 하려고 합니다. 단순하기 때문에 장난처럼 생각될 수 있지만 진지하고 성실하게 임함으로써 활동 뒤에 많은 것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② 부탁할 내용 적기
- 모든 아이들이 하는 활동이다.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끼면서도 거절당할까봐 걱정스러워 말하지 못하는 것을 종이에 적는다. 부탁은 한 두가지 정도로 제한한다.
③ 무조건 ‘싫어, 안 돼’라고 이야기하기
- 노 맨의 역할을 할 사람 한 명과 부탁을 할 사람 여러 명을 뽑는다.
- 노 맨이 조금 높은 곳에 서 있고 그 주위를 여러 아이들이 둘러선다. 한 명씩 나와서 부탁하다가 차츰 여러 명이 다가와서 부탁을 하는 것도 좋다. 어떤 부탁이건 노맨은 ‘싫어’ ‘귀찮아’ ‘너는 맨날 남에게 부탁만 하니?’ ‘니 일은 니가 해’ ‘몰라’ 와 같은 부정적인 대답만 해야 한다.
☞ 상징극은 문제가 되는 상황을 극단적으로 상징화한 극으로 처음 접하는 아이들은 장난으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진지한 활동을 다짐한다.
☞무대배치는 노맨의 심리적 위치가 위에 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활동 과정
④ 무조건 ‘그래, 좋아’ 라고 이야기하기
- 예스맨의 역할을 할 사람 1명과 부탁을 할 사람 여러 명을 뽑는다.
- 예스 맨이 조금 낮은 곳에 서 있고 그 주위를 여러 아이들이 둘러선다. 한 명씩 나와서 부탁하다가 차츰 여러 명이 다가와서 부탁하는 것도 좋다. 어떤 부탁이건 예스 맨은 ‘그럴게’ ‘좋아’ ‘난 괜び아’ ‘내가 다 해줄게’ 같은 수용적인 대답만 해야한다.
⑤ 느낌 나누기
- 노 맨 : ‘무조건 싫어’라고 이야기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나?
- 예스 맨 : ‘무조건 좋아’라고 이야기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나?
- 부탁을 했던 아이들 : 노 맨과 예스 맨에게 부탁을 해 본 느낌이 어떤가?
- 관객들 : 전체적인 느낌이 어떤가?
심화 보충과정1
‘언제 거절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주제로 토론을 벌이는 것도 좋다.
부탁을 적절한 방법으로 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
심화 보충과정2
「거절한다는 것」이라는 책을 소개하고 읽어보도록 한다. 이 책은 사회적 관계에서의 부당한 요구나 청탁에 올바르게 대응하고 합리적으로 거절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말하고 있다. 이야기 속 주인공들이 어떻게 슬기롭고 용기 있게 상대방의 요구나 부탁, 청탁을 거절하고 자신의 양심과 신념을 지켜내는지 소개한다.
5. 마치며
나는 고등학교 때 이과생이었고, 대학은 공대를 나와서 철학과는 담을 쌓고 살다가 교대에 와서 처음으로 교육심리, 교육철학, 철학 강의 등을 통해 철학을 많이 접해보게 된 것 같다. 그리고 고등학교 때 왜 ‘도덕’을 배울까라는 의구심을 가졌고, 철학자들의 이론을 왜 내가 알아야 할까 의구심을 가졌었지만 배우면 배울수록 철학이라는 것이 모든 분야의 밑바탕이 된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이번 학기에 도덕교육론을 통해서 예비교사로서 실질적으로 나중에 아이들을 가르칠 때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을 하게 해주었다.
콜버그의 정의 이론이 남성성이 강하다면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는 여성성이 강하다. 도덕성이 남성성만 강조된다면 사회가 조금 삭막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공대를 다녀본 나는 그것이 어떻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들이 배려를 좀 더 해줬다면 내가 더 잘 적응하고 다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든다. 그런 면에서 나는 남학생들에게 배려윤리를 강조하고 싶고 이는 남녀를 떠나서 인간이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정의를 실현하는 것도 좋지만 조금의 배려는 사회를 더 인간적이고 따뜻하게 만든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다.
이 과제를 하면서 정말 수도 없이 고쳤다. 배려윤리의 범위가 생각보다 너무 넓어서 하나의 일관된 주제로 끌고 가는 것이 어려웠던 거 같다. 그래도 이번 과제를 하면서 나 자신도 많이 돌아보는 계기가 된 것 같다.
교수님, 한 학기 동안 감사했습니다!
참고 문헌
서강식 외 3인,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원론』, 인간사랑, 2008
카츠 나딩스 스트라이크 엮음, 『정의와 배려』, 인간사랑, 2007
어린이세상 엮음, 『도덕수업』, 우리교육, 2002
추병완, “나딩스의 도덕교육론”, 교육연구 제21호 (2004)
장지연, “배려윤리를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 사회과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2009)
고영임, “배려윤리에 기반한 초등도덕교육 지도방안 연구”, 제주교대(2003)
김영임,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통합을 위한 도덕과 토론수업 연구”, 한국교원대(2012)
이혜은, “배려윤리의 교육적 의의와 도덕교과에의 적용”, 전북대학교(2011)
☞ 친한 친구들끼리 짝을 지어 활동하면 더 효과적이다.
☞학년이나 상황에 따라 빨간색과 파란색 카드 2단계로 나누어서 할 수 있다.
활동 과정
③ 나 모둠과 약속하기
- 가 모둠 친구들이 내가 말할 대 안 듣는다고 화내거나 이야기를 중간에 멈추지 말고, 진지하고 솔직하게 말하라고 한다.
④ 놀이 진행하기
- 각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색깔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 가 모둠의 아이들만 색깔 카드의 의미를 알고 있다.
* 나 모둠의 이야기가 계속 진행되는 도중에 카드를 내보인다.
⑤ 느낌 나누기
- 나 모둠 친구들은 이야기를 하면서 기분이 어땠나요? 가 모둠 친구들은 이야기를 들으면서 무엇을 느꼈나요?
심화 보충과정
「소리괴물」이라는 책을 소개하고 읽어보도록 한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보게 되는 일상의 모습을 통해서 소통의 단절이 주는 문제점과 소통의 중요성을 \'소리괴물\'이라는 재미있는 소재를 통해서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잘 그려내고 있다.
(2) 적용 사례 #2 거절하기
이 활동은 어떤 요구에도 예스를 외칠 때와 어떤 요구에도 노를 외칠 때의 나의 느낌을 알아볼 수 있다.
주 제
노 맨, 예스 맨
기대효과
극단적 거절과 극단적 수용을 경험합니다.
적절한 거절 방법과 적절한 수용 방법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활동 내용
주의할 점
활동 과정
① 활동 안내하기
- 오늘 활동에 대한 안내를 한다.
“우리는 오늘 부탁과 거절에 관한 짧은 연극을 하려고 합니다. 단순하기 때문에 장난처럼 생각될 수 있지만 진지하고 성실하게 임함으로써 활동 뒤에 많은 것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② 부탁할 내용 적기
- 모든 아이들이 하는 활동이다.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끼면서도 거절당할까봐 걱정스러워 말하지 못하는 것을 종이에 적는다. 부탁은 한 두가지 정도로 제한한다.
③ 무조건 ‘싫어, 안 돼’라고 이야기하기
- 노 맨의 역할을 할 사람 한 명과 부탁을 할 사람 여러 명을 뽑는다.
- 노 맨이 조금 높은 곳에 서 있고 그 주위를 여러 아이들이 둘러선다. 한 명씩 나와서 부탁하다가 차츰 여러 명이 다가와서 부탁을 하는 것도 좋다. 어떤 부탁이건 노맨은 ‘싫어’ ‘귀찮아’ ‘너는 맨날 남에게 부탁만 하니?’ ‘니 일은 니가 해’ ‘몰라’ 와 같은 부정적인 대답만 해야 한다.
☞ 상징극은 문제가 되는 상황을 극단적으로 상징화한 극으로 처음 접하는 아이들은 장난으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진지한 활동을 다짐한다.
☞무대배치는 노맨의 심리적 위치가 위에 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활동 과정
④ 무조건 ‘그래, 좋아’ 라고 이야기하기
- 예스맨의 역할을 할 사람 1명과 부탁을 할 사람 여러 명을 뽑는다.
- 예스 맨이 조금 낮은 곳에 서 있고 그 주위를 여러 아이들이 둘러선다. 한 명씩 나와서 부탁하다가 차츰 여러 명이 다가와서 부탁하는 것도 좋다. 어떤 부탁이건 예스 맨은 ‘그럴게’ ‘좋아’ ‘난 괜び아’ ‘내가 다 해줄게’ 같은 수용적인 대답만 해야한다.
⑤ 느낌 나누기
- 노 맨 : ‘무조건 싫어’라고 이야기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나?
- 예스 맨 : ‘무조건 좋아’라고 이야기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나?
- 부탁을 했던 아이들 : 노 맨과 예스 맨에게 부탁을 해 본 느낌이 어떤가?
- 관객들 : 전체적인 느낌이 어떤가?
심화 보충과정1
‘언제 거절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한 주제로 토론을 벌이는 것도 좋다.
부탁을 적절한 방법으로 거절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
심화 보충과정2
「거절한다는 것」이라는 책을 소개하고 읽어보도록 한다. 이 책은 사회적 관계에서의 부당한 요구나 청탁에 올바르게 대응하고 합리적으로 거절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말하고 있다. 이야기 속 주인공들이 어떻게 슬기롭고 용기 있게 상대방의 요구나 부탁, 청탁을 거절하고 자신의 양심과 신념을 지켜내는지 소개한다.
5. 마치며
나는 고등학교 때 이과생이었고, 대학은 공대를 나와서 철학과는 담을 쌓고 살다가 교대에 와서 처음으로 교육심리, 교육철학, 철학 강의 등을 통해 철학을 많이 접해보게 된 것 같다. 그리고 고등학교 때 왜 ‘도덕’을 배울까라는 의구심을 가졌고, 철학자들의 이론을 왜 내가 알아야 할까 의구심을 가졌었지만 배우면 배울수록 철학이라는 것이 모든 분야의 밑바탕이 된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이번 학기에 도덕교육론을 통해서 예비교사로서 실질적으로 나중에 아이들을 가르칠 때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을 하게 해주었다.
콜버그의 정의 이론이 남성성이 강하다면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는 여성성이 강하다. 도덕성이 남성성만 강조된다면 사회가 조금 삭막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공대를 다녀본 나는 그것이 어떻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들이 배려를 좀 더 해줬다면 내가 더 잘 적응하고 다니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든다. 그런 면에서 나는 남학생들에게 배려윤리를 강조하고 싶고 이는 남녀를 떠나서 인간이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정의를 실현하는 것도 좋지만 조금의 배려는 사회를 더 인간적이고 따뜻하게 만든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다.
이 과제를 하면서 정말 수도 없이 고쳤다. 배려윤리의 범위가 생각보다 너무 넓어서 하나의 일관된 주제로 끌고 가는 것이 어려웠던 거 같다. 그래도 이번 과제를 하면서 나 자신도 많이 돌아보는 계기가 된 것 같다.
교수님, 한 학기 동안 감사했습니다!
참고 문헌
서강식 외 3인,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원론』, 인간사랑, 2008
카츠 나딩스 스트라이크 엮음, 『정의와 배려』, 인간사랑, 2007
어린이세상 엮음, 『도덕수업』, 우리교육, 2002
추병완, “나딩스의 도덕교육론”, 교육연구 제21호 (2004)
장지연, “배려윤리를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 사회과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2009)
고영임, “배려윤리에 기반한 초등도덕교육 지도방안 연구”, 제주교대(2003)
김영임,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통합을 위한 도덕과 토론수업 연구”, 한국교원대(2012)
이혜은, “배려윤리의 교육적 의의와 도덕교과에의 적용”, 전북대학교(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