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려윤리 - 길리건 나딩스의 이론 경험적 사례 배려윤리와 도덕교육에의 적용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려윤리 - 길리건 나딩스의 이론 경험적 사례 배려윤리와 도덕교육에의 적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는 말

* 배려윤리의 등장

1. 길리건의 이론

1)길리건(C. Gilligan)의 도덕성 발달이론
2) 길리건의 여성의 도덕발달단계
3) 길리건 이론의 문제점
4) 콜버그의 정의의 도덕성과 길리건의 배려의 도덕성의 통합의 필요성

2. 나딩스의 이론

1) 나딩스의 이론
2) 따뜻한 배려의 윤리와 관련된 교육적 노력
3) 교사의 역할
(1) 도덕적 대화
(2) 실천기회의 부여
(3) 확증
(4) 학교구조 개선
4) 나딩스가 제기한 새로운 도덕교육 방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5) 나딩스 이론의 문제점

3. 경험적 사례

* 사례분석

4. 배려윤리와 도덕교육에의 적용방안

1) 교과서 사례
2) 적용 순서
(1) 지도 방법 : 도덕적 문제를 상호 관계의 측면에서 파악하기
(2) 지도 방법 : 자신의 감정을 살피고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기
(3) 지도 방법 : 상대방의 요구를 넓은 배려 관계에서 고려하기
(4) 지도 방법 : 상대방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찾기
3) 도덕교과외에 학교생활에서 적용하는 배려

* 마무리

본문내용

예회 날입니다. 학예회가 열리는 강당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부모님들과 이웃 어른들로 꽉 차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전국 어린이 음악 경연 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은 현악부 언니들의 차례가 되었습니다. 막이 열리고 곡이 연주되기 시작했습니다. 내가 연주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주하는 언니들을 바라보니 매우 자랑스러웠습니다.
그런데 바로 옆자리에 있던 친구들이 서로 마주 보며 소란스럽게 떠들기 시작했습니다. 조용히 음악을 듣고 있던 사람들이 눈살을 찌푸리며 바라보았지만, 그 친구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떠들며 장난을 쳤습니다. 그 모습을 보고 있던 사람들은 기분이 몹시 상한 것 같았습니다.
2) 적용 순서
■ 교수 학습 활동
(1) 지도 방법 : 도덕적 문제를 상호 관계의 측면에서 파악하기
○ 교과서 28, 29쪽에 나와 있는 그림을 보며 도덕적 문제를 파악하게 한다.
- 어떤 모습의 그림입니까?
공연장에서의 예절과 질서를 지켜야 하는 것에 대한 모습입니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줄을 서서 공연장으로 들어가고 자리를 잡을 때까지 질서를 지켜야 합니다.
- 공연 중에는 어떻게 하여야 합니까?
음식물을 먹거나 소리를 내지 않고 조용히 관람합니다.
다리를 떨거나 소란스런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공연이 끝난 후에는 어떻게 행동해야 합니까?
차례로 줄을 서서 공연장을 나가야 합니다.
** 교과서 30, 31쪽의 ‘칭찬의 편지’, 32, 33쪽의 ‘공원은 우리 모두의 것’과 34쪽의 ‘백화점에서 생긴 일’을 읽게 하고, 공공 장소에서 지켜야 할 예절에 대해 지도한다.
(2) 지도 방법 : 자신의 감정을 살피고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기
○ 공연장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예절과 질서를 지키지 않는 사람을 보았을 때의 나와 다른 사람의 생각을 살펴보게 한다.
- 공연 중에 내 옆자리의 사람이 소리를 내며 과자를 먹으면 나는 어떤 생각, 어떤 마음이 듭니까?
기분이 나쁘거나, 불쾌하고 언ㅚ습니다.
공연을 집중해서 보지 못해 화가 납니다.
옆 사람을 공연장에서 지킬 일을 잘 모르는 사람으로 생각합니다.
- 내가 공연 중에 같이 온 친구와 시끄럽게 이야기를 하면 옆에서 공연을 보는 사람은 어떤 생각, 어떤 마음이 들까요?
화가 나거나 불쾌하거나 언짢았을 것입니다.
(3) 지도 방법 : 상대방의 요구를 넓은 배려 관계에서 고려하기
○ 공공 장소에서 지켜야 할 예절을 알고 서로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 공공 장소에는 어떤 곳이 있습니까?
목욕탕, 공중 전화, 공원, 유원지, 박물관, 공중 화장실, 에스컬레이터, 도서관 등이 있습니다.
- 공공 장소에서 예절과 질서를 지키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습니까?
공연장에서 줄을 서지 않고 서로 먼저 가려다가 다치는 경우가 생깁니다.
공연장 안에서 음식을 먹으면 나도 공연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감상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미술관이나 전시회장에서 그림을 손상시키면 나도 못 보고 다른 사람도 그림을 감상할 수 없게 됩니다.
- 공공 장소에서 예절과 질서를 지키면 어떤 점이 좋습니까?
사고가 줄어듭니다.
조용한 환경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밝고 명랑한 사회가 됩니다.
서로에게 불편함이 없어지게 됩니다.
(4) 지도 방법 : 상대방을 위해 할 수 있는 일 찾기
○ 공공 장소에서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실천하려는 마음을 가지게 한다.
- 공공 장소에서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나 그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까?
화장실에서 한줄서기를 하였으며, 급히 용무를 볼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했습니다.
내가 놀고 난 자리뿐만 아니라 공원 주위에 떨어진 휴지까지 쓰레기통에 버렸습니다.
○ 공공 장소에서 우리가 지켜야 할 일들에 대하여 장소별로 나누어 토의하게 한다.
- 여러 공공 장소에서 지킬 일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박물관이나 전시관 : 작품에 손 대지 않습니다. 조용히 음미합니다. 차례를 지키며 감상합니다.
공연장 : 음식물을 가지고 들어가지 않습니다. 줄을 서서 들어갑니다. 자기 자리르 정리하고 나옵니다.
목욕탕 : 뛰어다니지 않고 탕 안에서 수영하지 않습니다.
과학관 : 작동시키는 버튼을 조심스럽게 다룹니다.
엘리베이터 : 버튼을 아무 층이나 마구 누르지 않습니다.
3) 도덕교과외에 학교생활에서 적용하는 배려
사실 학교 교육이라는 것이 교과 외에 생활 속에서 지도한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나 도덕과 같이 실천을 중요시 하는 교과는 교과 외에 다른 활동을 넣어서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래서 나는 평상시에도 할 수 있는 활동으로 마니또 활동을 추천한다. 마니또의 의미는 비밀친구란 뜻의 이태리어이다. 제비 뽑기 등을 하여 지정된 친구의 수호천사가 되어주는 것인데 내가 고2 여름 수련회를 갔을 때 했었던 활동이다. 보이지 않게 해야지만 나중에 되면 자신의 마니또가 누군지 알게 된다. 마지막 시간에 마니또를 못 찾을 경우에는 마니또 활동을 잘 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벌칙을 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고는 아예 지정된 친구를 도와주게 된다. 이러한 것들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면 일상적으로 배려의 습관이 형성될 것으로 생각된다.
* 마무리
배려라는 것은 평소 몸에 베어있어야 한다. 물론 지식위주의 교과교육도 중요하지만 지식위주의 교과교육 다음에 하는 실천의 교과교육도 중요하다. 만약에 수업지도를 할 때 내가 앞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학습만 시행된다면 다른 주요과목과 같이 주입식, 암기식 교육만 이루어 질 것이다. 배려윤리는 주입식, 암기식 교육이 아니다. 생활 속에서, 경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이 공동체라는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교사는 교실자체를 학습의 연장으로 생각하고 도덕 공동체로 만들어야 한다. 교사는 지도서에서 벗어난 교사의 창의력인 생각으로 더욱더 훌륭한 도덕 교육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참고문헌
* 윤리학과 도덕교육 v.1, 추병완 박병기, 인간사랑
* 도덕심리학, Daniel K.Lapsley저 문용린 역, Westview
* 4학년 도덕 교사용 지도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