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추사고택을 다녀와서 [추사 김정희에 대해서 자료수집 및 조사 실전답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추사고택을 다녀와서 [추사 김정희에 대해서 자료수집 및 조사 실전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추사“김정희”에 대해서..


Ⅱ 추사고택의 자료수집 및 사전조사


Ⅲ 추사고택 실전답사 및 감상

본문내용

갔다고 생각하며 보고 있는데 우리의 표정이 어지간히 멍해보였는지 옆에서 같이 추사고택을 둘러보던 노부부가 사랑채의 측면부를 가리키며 좌측에 문간채와 대문이 보이는데 이렇게 사랑채가 행랑채에 가까이 붙어있는 경우도 보기 어렵다 하였고 이는 곧 주인의 성품을 나타낸다고도 말씀해주는 등 여러 가지 설명을 해주셨다. 이밖에도 추사 선생의 묘소와 증조부이신 김한신과 부인인 화순옹주의 합장묘 그리고 화순옹주 열녀문 즉, 홍문이 있었다. 또한 간접조사를 했을 때 봤던 대로 추사고택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니 천연기념물 제 106호인 백송을 볼 수 있었는데 이 백송은 중국북부 지방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 몇 그루 없는 희귀한 수종이라고 하였다. 예산의 백송은 추사선생이 25세 때 청나라 연경에서 돌아올 때 백송의 종자를 붓대 속에 넣어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입구에 심었던 것으로, 원래는 밑에서 50cm부터 세 줄기로 자라다가 서쪽과 중앙의 두 줄기는 부러져 없어지고 동쪽의 줄기만이 남아서 자라고 있다고 하였다. 그 후 1980년도에 줄기의 피해 부분을 외과 수술하여 치유하였고, 그 후부터는 철저하게 보호하고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추사고택을 둘러보고 느낀바 집의구조는 어느 유적지에나 있는 흔한 가옥에 그리 특이한 것은 없어 보이지만 주변정비가 잘 되어있어 누구나 가볍게 산책을 즐기거나 쉬기에 좋은 답사장소라고 느꼈다. 또한 봄, 여름에 가지 못해 예쁜 풍경의 추사고택을 감상할 수는 없었지만 오히려 겨울에 간 것이 추사고택 특유의 한적하고 정적인 이미지를 잘 나타내 주고 있어 만족한 답사여행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13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