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와 영웅 서사 문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유사와 영웅 서사 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삼국유사
⑴ 편찬 동기(의도)
⑵ 일연의 사상(역사관)
⑶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비교
⑷ 삼국유사의 체재(구성)
⑸ 삼국유사의 내용과 그 해석
Ⅱ. 영웅서사문학
⑴영웅서사문학의 정의
⑵영웅서사문학의 종류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 57년(신라 건국시기) A.D. 936(고려 태조의 통일)까지의 왕대와 연표 를 도표식으로 기록.
② 기이 : 고조선에서 고려 건국 이전까지 존재했던 여러 국가의 건국 설화와 신이사(神 異事)를 59조목으로 분류하여 서술.
→ 건국 설화, 무속 및 불교설화를 통해 우리 민족의 고대 정신사를 체계적으로 정리.
→ 현실적 삶의 기반인 국가의 흥망을 불교적 시각에서 이해하려 함.
→ 『삼국유사』전체 주제의 총론적 서론적 성격.
③ 흥법 : 각론, 본론. 삼국유사의 중심.
삼국의 불교 전래, 수용 및 불교를 일으킨 사실 수록.
④ 탑상 : 흥법의 불교 전개 이후의 불교사 기록.
불교가 흥함에 따라 절과 탑이 건립되고 불상이 조성된 유래와 영험 기록
→ 불법과 탑상을 통해 드러나는 영험으로 불국토 구현(삼국유사의 주제 지향)
⑤ 의해 : 흥법과 탑상으로 배출된 고승들의 행적을 통해 신앙심 고취. 불법이해.
⑥ 신주 : 경전에서 주술적ㆍ신비적 신앙으로 발전.
→밀교적 성격. 불교의 사회화 과정 서술.
⑦ 감통 : 불교신앙의 기적편. 보통 사람들의 신비 체험이나 종교적 실천에 관한 이야기 들.
⑧ 피은 : 피하고 숨어사는 사람에게 내재되어있는 능력ㆍ가치가 주제.
스님들이 숨어 사는 것은 도를 구한다는 의미.
피은 → 신이로운 사건 → 중생의 감화.
⑨ 효선 : 세속적 윤리(효) + 종교적 신앙(선) →불교적 윤리 실천.
윤리적 효와 불교의 선은 갈등과 충돌을 일으키므로 효와 선의 갈등 문제를 해 결하고 조화시켜주기 위한 것.
⑵조목(條目) 이범교,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上』(서울, 민족사, 2005) p.30
서론
○ 신성의 징표 혹은 결핍을 가진 주체 등장
○ 본론 전개를 위한 자료 제시

평가 및 요약정리
○ 의왈(議曰)ㆍ시론(試論)ㆍ찬시(讚詩)

본론
○ 사건 혹은 문제의 발생
○ 조력자의 도움에 의한 해결 모색

결론
○ 화해적 해결
○ 국가건설ㆍ재앙소멸ㆍ깨달음ㆍ신분상승ㆍ불전건립
5. 삼국유사의 내용과 그 해석
1) 단군설화
* 내용
천제의 아들 환웅이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 나라를 세우고 365가지 일을 하였으니 그리하여 356일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렇게 지내던 어느 날 곰과 호랑이가 하늘에서 내려와 환웅에게 청하기를 자신들을 사람으로 만들어 달라는 것이었다. 그에 환웅은 쑥과 마늘을 각각 20개씩 주며 동굴에서 100일 동안 있으라 하였는데 곰은 잘 참고 견디어 삼칠일 만에 사람이 되었으나 호랑이는 나가버렸다. 이에 호랑이는 사람이 되지 못하였으나 곰은 예쁜 여자가 되어 웅녀로 불렸다. 웅녀는 아이를 낳고 싶어 환웅에게 다시 청하니 베필을 갖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환웅은 웅녀의 정성스런 기도 때문에 잠시 모습을 바꿔 웅녀와 결혼하였다. 그래서 태어난 아이가 단군인데 ‘왕검’이란 말은 부족을 다스리는 지도자, 하늘에 제사 지내는 제사장이란 뜻이다.
* 신화적 요소
-환웅은 천제인 환인의 아들
-환웅이 풍백, 우사, 운사를 데리고 천부인 3개(거울, 검, 방울)를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옴.
-곰이 쑥과 마늘을 먹고 삼칠일 만에 여자가 됨.
-단군왕검은 후에 산신이 됨 (이때 1908세)
2) 동명왕설화
* 내용
고구려(高句麗)는 곧 졸본 부여(卒本扶餘)다. 혹 지금의 화주(和州)니 성주(成州)니 하는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졸본주는 요동(遼東)의 경계에 있다. 국사 고려 본기(本記)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시조 동명왕(東明王)은 성(姓)은 고씨(高氏)요,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이 보다 앞서, 북부여 왕 해부루(解夫婁)가 동부여로 피해 가고, 부루가 죽자 금와(金蛙)가 왕위를 이었다.
그 때 한 여자를 태백산(太白山)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만나 물으니,
\"나는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입니다. 동생들과 놀러 나왔다가 하느님의 아들인 해모수(解慕漱)를 만나 웅신산(熊神山) 밑 압록(鴨祿)가에서 같이 살았는데, 그는 가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가 중매 없이 남을 따라간 것을 책망하여 여기에 귀양 보낸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금와(金蛙)가 이상히 여겨 유화를 집에 두었더니, 햇빛이 비쳐 몸을 피해도 좇아가며 비추었다. 이로 해서 잉태하여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다섯 되 들이나 되었다. 왕이 버려서 개, 돼지에게 주어도 먹지 않으며, 길에 버리면 소나 말이 피해 가고, 들에 버리면 새와 짐승이 덮어 주었다. 왕이 깨뜨리려 해도 깨어지지 않으니 도로 어미에게 주었다. 어미가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니, 한 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왔다. 기골이 영특하고 기이하여 7세에 벌써 보통 사람과 다르게 뛰어났다.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면 백발백중(百發百中)하였다. 속담에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 하기 때문에, 그 이름을 주몽이라 하였다.
금와에게 아들 일곱이 있었는데, 주몽과 같이 놀면 그 재주가 늘 따라가지 못하였다. 맏아들 대소(帶素)가 왕에 말하되,
“주몽은 사람의 소생이 아니니, 만약 일찍 없애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사옵니다.\" 라고 했다. 그러나 왕은 듣지 않고 말을 기르도록 하였다. 주몽은 좋은 말을 알아보아 조금씩 먹여 여위게 하고 나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했다. 왕은 살찐 것을 타고 여윈 것은 주몽에게 주었다. 주몽의 어미가 왕의 다른 아들들이 여러 장수와 함께 주몽을 장차 해치려 함을 알고,
\"이 나라 사람들이 너를 해치려 하니, 너의 재주와 지략으로 어디로 간들 안 되겠느냐? 속히 일을 꾸며라.\"라고 하였다.
이에 주몽이 오이(烏伊)등 세 사람의 벗과 엄수(淹水)에 이르러 고하되,
\"나는 하느님의 아들이요, 하백(河伯)의 손자다. 오늘 도망하고 있는데 뒤쫓는 자가 따라오니 어찌하리오?\"
하니, 고기와 자라들이 다리를 놓아 주었다. 주몽이 건너자 다리는 사라지고 쫓아오는 군사들은 건너지 못하였다.
졸본주에 이르러 도읍하였으나 미처 궁실을 짓지 못하여 비류수(沸流水) 가에 초막을 짓고 국호(國號)를 고구려(高句麗)라 하였다. 고씨(高氏)로 성을 삼았으니, 그 때 나이 12세였다.
* 신화적 요소
-금와가 유화를 방 속에 깊이 가두었는데 햇빛이 그녀를 비추었다. 몸을 이끌어 이를 피하자 햇살이 다시
  • 가격1,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