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 동사에 대해서 - 의미 식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조 동사에 대해서 - 의미 식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연구사 검토

2.2. 보조동사의 의미

2.3. 본동사와 보조동사의 식별



3. 결론

본문내용

조동사는 그 의미를 다 표현한다. 그리고 보조동사는 종결어미보다도 더 직접적으로 화자의 심태를 표현하기에 문장을 \'S→P+M\'으로 볼 때, M의 범주에 속하게 된다. 그리하여 현대국어 보조동사 목록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본동사의 활용형 어미 ‘-어’와 결합하는 보조동사 ;
가다, 내다, 놓다, 대다, 두다, 버리다, 보다, 오다, 있다(계시다),
주다(드리다), 먹다, 빠지다, 치우다, 터지다
-본동사의 활용형 어미 ‘-고’와 결합하는 보조동사 ;
싶다, 있다(계시다)
-본동사의 활용형 어미 ‘-지’와 결합하는 보조동사 ;
아니하다, 못하다, 말다
보조동사는 통시적으로 같은 형태의 본동사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 발달 과정은 대체로 같은 형태 본동사에서 의미 추상화가 생겨 선행동사에 상이나 양태 의미를 첨가하는 기능을 하는 단계에서 그것이 심화되어 선행동사 연결에 제약이 거의 없어 보조동사로 활발히 기능을 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 마지막 단계는 어미나 접사처럼 어휘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문법화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2.3. 본동사와 보조동사의 식별
본동사와 보조동사의 식별은 우선 선행동사를 제거해도 문장이 성립되는지 안 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 예컨대 \'뛰어가다\'와 \'먹어 보다\'가 모두 동사 2개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앞의 \'뛰어가다\'는 \'뛰어\'를 제거하여도 문장이 성립하나 뒤의 \'먹어보다\'에서 \'먹어\'를 제거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고 전혀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여기에서 \'-(어) 보다\'가 보조동사임을 알 수 있다.
3. 결론
우리는 이제까지 보조 동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복잡한 현대사회 속에서 언어표현에 있어서도 심리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보조동사의 역할이 점점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최근 들어 부정적인 어감의 ‘빠지다, 앉다, 자빠지다’ 등을 보조동사로 사용하는 경향은 바로 이러한 현대인의 심리적 태도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보조동사의 수도 과거에 비해 점점 늘어가고 있다. 앞으로 보조동사는 더욱더 그 사용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그 수도 증가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선옥, 「국어 보조동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고영근, 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고영근, 남기심,『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9.
왕유, 「한국어 보유 보조동사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2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