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보고서의 목적
본론
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동향
3.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성공 사례
가. 삼성
나. 이마트
결론
4. 한국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 개선방안
가. 사회주의 시장경제 숙지
나. 효율적 노무관리
다. 충분히 인식 후 내수시장 진출
5. 참고 문헌
1. 보고서의 목적
본론
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동향
3.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성공 사례
가. 삼성
나. 이마트
결론
4. 한국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 개선방안
가. 사회주의 시장경제 숙지
나. 효율적 노무관리
다. 충분히 인식 후 내수시장 진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450억 달러에 달해 한국 무역총액의 19.9%를 차지하였다. 수출입은 연속 6년간 두 자리 수의 고성장을 유지하였는데 한국이 중국에 대한 수출은 820억달러,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630억 달러에 달해 동기 대비 각각 18%와 29.8%씩 증가하였다. 2007년 말까지 한국이 중국에 대한 실제투자 규모는 누계로 270억 달러에 달했으며, 투자 프로젝트는 60,707건에 달해 각각 한국의 투계 해외투자 비중의 25.3%와 50.3%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현황을 통해여 한국의 대 중국 투자 동향을 살펴보고, 중국에 직접투자를 통해 성공한 대표적 기업의 사례를 들어 진출 동기 및 현황과 성공요인 및 문제점을 알아본 후 한국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 개선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론- 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동향
2007년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는 9,266건, 54.7억 달러로 투자금액은 전년 대비 37.4%증가하였으나 건수는 5.3% 감소하였다. <그림 1>과 같이, 투자금액은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신규투자 건수는 2005년을 정점으로 최근 2년 연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7년 중국 직접투자 누계는 63,200건, 232.3어 달러로 전체 해외투자 건수와 금액의 각각 46.5%와 25.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투자는 한국이 국가 단위로는 제1의 중국투자국에 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영국령 버지니아제도보다 상당히 작은 규모이지만 홍콩은 중국의 일부이고 버지니아제도는 조세회피지역으로 각국 투자가들이 투자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권국가로는 한국이 실질적인 중국 제1 투자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대 중국 투자액은 28억 1,000만 달러로 한국 다음이었고 싱가포르 22억 4,5000만 달러, 미국 19억 87,00만 달러 등의 순이었다. 전통적인 산동성 중심의 저임금을 이용한 수출 위주형 제조업체 투자가 감소하였으며, 강소성에서 첨단기업·내수 위주의 투자가 늘어나 투자패턴도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세제혜택의 감면 또는 취소, 종신고용 등 고용조건의 악화, 임금상승과 같은 중국의 투자환경 악화로 <그림 2>과 같이, 중국의 비중은 2003년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2007년 대 중국 투자 건수와 금액의 비중은 각각 36.6%와 26.4%로 전년 대비 7.0%, 4.1%의 감소를 보이면서 한국의 총 해외투자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업은 투자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하이닉스 반도체의 8.8억 달러의 반도체 생산 관련 투자 등에 힘입어 투자금액과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중소기업 및 기타 위주로 투자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중소기업과 기타는 주로 저렴한 생산요소 활용을 목적으로 중국에 진출하는 만큼 카파른 임금 상승, 고용조건 악화, 세제 혜택 축소, 환경오염 규제, 가공 무역 제한 등 최근의 투자환경 악화가 진입장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체 투자지라 할 수 있는 베트남, 캄보디아 등지에 대한 중소기업과 기타의 투자건수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 한 것을 볼 수 있다. 당분간 대 중국 투자는 대기업의 대규모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될 전망이며, 중국의 투자환경 변화가 노동집약적 산업, 저부가가치 산업 등의 투자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및 기타의 투자는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는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중소기업은 투자환경 변화에 따른 제도가 정착되는 추세를 당분간 관망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는 투자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노무, 조세 등 전반적인 투자환경 악화에도 불구,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분야에 대해서는 우대혜택을 여전히 제공하기 때문에 동 분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이 아니라 하더라도 중국 기업과 차별화된 기술, 디자인, 생산공정을 통하여 확대되는 내수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3.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성공 사례
가. 삼성전자
1)진출동기 및 현황
삼성전자는 1997년부터 중국시장에 자사 브랜드 ‘애니콜’로 단말기를 판매해 왔다. 삼성전자의 중국진출 초기전략은 중저가 제품의 생산과 판매였다. 즉,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중저가 제품위주로 생산, 판매해오던 삼성전자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제품의 질을 높이는 전략으로 전환했고, 삼성전자의 이러한 전략아래 중국에서 추진된 고가전략의 성공사례가 바로 애니콜이다. 애니콜은 중국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이 중저가가 아니라 첨단 고가제품임을 보여주었고, 한국산 제품이 고가제품으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 해 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표>중국 주요휴대폰전화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모토롤라, 에릭슨, 노키아 등의 선발업체들이 이미 중국 단말기 시장을 80%가량 점유하고 있던 상황에서 후발업체인 삼성전자가 고가로 애니콜을 출시, 점유율 및 수익률을 제고하는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향 후 중국에 진출하려는 국내 기업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삼성전자의 성공요인으로는 후발업체가 진입할 수 있는 틈새시장과 소비자 파악을 통해 이루어진 철저한 시장조사와 대 중국 마케팅 전략을 들 수 있다.
2)성공요인 및 문제점
삼성전자의 성공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성전자는 브랜드캠페인을 통한 차별화 전략과 이에 근거한 제품 포지셔닝을 통한 타겟 마케팅 전략이 성공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시장을 세분화하면 주요 소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가 대략 8%정도가 되고 이를 중국인구 전체로 놓고 볼 때 1억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더욱 보수적으로 계산한다하더라도 한국 인구에 버금가는 소비계층이 주요 도시를 위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국 업체의 저가 물량공세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차벼로하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판단 아래 고가품 위주로 시장을 공략했다. 특히 대도시의 부유층과
이러한 현황을 통해여 한국의 대 중국 투자 동향을 살펴보고, 중국에 직접투자를 통해 성공한 대표적 기업의 사례를 들어 진출 동기 및 현황과 성공요인 및 문제점을 알아본 후 한국기업의 대 중국 직접투자 개선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론- 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동향
2007년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는 9,266건, 54.7억 달러로 투자금액은 전년 대비 37.4%증가하였으나 건수는 5.3% 감소하였다. <그림 1>과 같이, 투자금액은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신규투자 건수는 2005년을 정점으로 최근 2년 연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7년 중국 직접투자 누계는 63,200건, 232.3어 달러로 전체 해외투자 건수와 금액의 각각 46.5%와 25.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투자는 한국이 국가 단위로는 제1의 중국투자국에 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영국령 버지니아제도보다 상당히 작은 규모이지만 홍콩은 중국의 일부이고 버지니아제도는 조세회피지역으로 각국 투자가들이 투자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권국가로는 한국이 실질적인 중국 제1 투자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대 중국 투자액은 28억 1,000만 달러로 한국 다음이었고 싱가포르 22억 4,5000만 달러, 미국 19억 87,00만 달러 등의 순이었다. 전통적인 산동성 중심의 저임금을 이용한 수출 위주형 제조업체 투자가 감소하였으며, 강소성에서 첨단기업·내수 위주의 투자가 늘어나 투자패턴도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세제혜택의 감면 또는 취소, 종신고용 등 고용조건의 악화, 임금상승과 같은 중국의 투자환경 악화로 <그림 2>과 같이, 중국의 비중은 2003년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2007년 대 중국 투자 건수와 금액의 비중은 각각 36.6%와 26.4%로 전년 대비 7.0%, 4.1%의 감소를 보이면서 한국의 총 해외투자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업은 투자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하이닉스 반도체의 8.8억 달러의 반도체 생산 관련 투자 등에 힘입어 투자금액과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중소기업 및 기타 위주로 투자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중소기업과 기타는 주로 저렴한 생산요소 활용을 목적으로 중국에 진출하는 만큼 카파른 임금 상승, 고용조건 악화, 세제 혜택 축소, 환경오염 규제, 가공 무역 제한 등 최근의 투자환경 악화가 진입장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체 투자지라 할 수 있는 베트남, 캄보디아 등지에 대한 중소기업과 기타의 투자건수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 한 것을 볼 수 있다. 당분간 대 중국 투자는 대기업의 대규모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될 전망이며, 중국의 투자환경 변화가 노동집약적 산업, 저부가가치 산업 등의 투자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및 기타의 투자는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대기업의 대규모 투자는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중소기업은 투자환경 변화에 따른 제도가 정착되는 추세를 당분간 관망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는 투자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노무, 조세 등 전반적인 투자환경 악화에도 불구,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분야에 대해서는 우대혜택을 여전히 제공하기 때문에 동 분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첨단기술·환경 친화적 산업이 아니라 하더라도 중국 기업과 차별화된 기술, 디자인, 생산공정을 통하여 확대되는 내수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3.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성공 사례
가. 삼성전자
1)진출동기 및 현황
삼성전자는 1997년부터 중국시장에 자사 브랜드 ‘애니콜’로 단말기를 판매해 왔다. 삼성전자의 중국진출 초기전략은 중저가 제품의 생산과 판매였다. 즉,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중저가 제품위주로 생산, 판매해오던 삼성전자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제품의 질을 높이는 전략으로 전환했고, 삼성전자의 이러한 전략아래 중국에서 추진된 고가전략의 성공사례가 바로 애니콜이다. 애니콜은 중국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이 중저가가 아니라 첨단 고가제품임을 보여주었고, 한국산 제품이 고가제품으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 해 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표>중국 주요휴대폰전화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모토롤라, 에릭슨, 노키아 등의 선발업체들이 이미 중국 단말기 시장을 80%가량 점유하고 있던 상황에서 후발업체인 삼성전자가 고가로 애니콜을 출시, 점유율 및 수익률을 제고하는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향 후 중국에 진출하려는 국내 기업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삼성전자의 성공요인으로는 후발업체가 진입할 수 있는 틈새시장과 소비자 파악을 통해 이루어진 철저한 시장조사와 대 중국 마케팅 전략을 들 수 있다.
2)성공요인 및 문제점
삼성전자의 성공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성전자는 브랜드캠페인을 통한 차별화 전략과 이에 근거한 제품 포지셔닝을 통한 타겟 마케팅 전략이 성공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시장을 세분화하면 주요 소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가 대략 8%정도가 되고 이를 중국인구 전체로 놓고 볼 때 1억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더욱 보수적으로 계산한다하더라도 한국 인구에 버금가는 소비계층이 주요 도시를 위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국 업체의 저가 물량공세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차벼로하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판단 아래 고가품 위주로 시장을 공략했다. 특히 대도시의 부유층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