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견학개요
가. 개요
나. 목적
다. 연구방법
2. 소설가 '심훈'은 누구인가
가. 출생과 학력
나. 집필 작품들
다. 애국소년 '심훈'
3. 작가의 대표작 소설'상록수'의 작품배경과 줄거리
가. 작품배경
나. 줄거리
4. 소설속 주인공 '채영신'은 실존인물 '최용신'
5. 주인공 최용신의 출생배경
6. 답사후기(느낀점)
가. 개요
나. 목적
다. 연구방법
2. 소설가 '심훈'은 누구인가
가. 출생과 학력
나. 집필 작품들
다. 애국소년 '심훈'
3. 작가의 대표작 소설'상록수'의 작품배경과 줄거리
가. 작품배경
나. 줄거리
4. 소설속 주인공 '채영신'은 실존인물 '최용신'
5. 주인공 최용신의 출생배경
6. 답사후기(느낀점)
본문내용
고한다. 당시 많은 지식인들은 이러한 일제의 의도를 의식하지 않고 1931년부터 전국적으로 한글보급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신문보도 자료에는 이곳 샘골, 현재의 안산시 본오동지역은 샘골이외에도 12개 마을에서 1,000여명 이상의 어린 학생들이 문맹에서 벗어낫다고 하며 이들도 자기에게 혜택을 주었던 한글선생님 \'최용신\'선생만큼 기억하고 있었다고 한다.
일제는 우리 고유의 전통신앙을 미신이란 이름으로 격하시키고 이를 말살하려 하였다. 이에 대한 주민들의 반감은 컸다. 일본인 뿐 아니라 서양종교에 대하여도 예외가 아니었다. 특히 기독교에 대해서는 1920년대 후반 평양의 한 교회에서 일어났던 \'허시모 사건\'으로 오랜기간 동안 신문에 보도되고 이에 대한 반감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교회 앞마당에 있는 사과나무 아래 떨어져 있던 사과를 주워 먹었던 아이의 얼굴에 그 교ㅕ회의 목사가 염산으로 이마에 도적이라고 쓰고 벌을 세웠던 사건은 1930년대 초 어린 아이들에거서 서양종교에 대한 두려움 내지 배타심을 울러일으켰다. 이러한 가운데 최용신은 샘골교회에서 농촌계몽운동에 헌신하였음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일제 강점기 하의 제한적 공간을 배경으로 쓰인 최용신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상록수』는 당대의 문학작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최용신의 묘소전경>
5. 최용신의 출생배경
최용신은 1909년 대한제국이 주권을 일본에게 완전히 빼앗기는 1년전에 함경도 덕원군 현면 두남리에서 차녀로 태어났다. 원산에서 10여리 떨어진 이곳은 기독교가 전래되어 서양문화와 접촉한 개화된 마을이었다. 조부와 부친도 사립학교를 설립하거나 교사로서 활동하는 등 교육운동에 종사하였다. 이러한 환경은 그녀로 하여금 기독교신앙을 갖게 하였으며 봉사와 희생정신을 바탕 한 농촌계몽운동에 뛰어들게 한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녀는 원산의 루씨 보통학교, 루씨 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협성여자신학교를 중퇴하였다.
그녀가 \'샘골\'과 농촌운동의 인연을 맺는 과정에는 협성여자 대학교와 교회에서 물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최용신이 사후에는 동생 최용경이 이곳에서 봉사활동을 했다고하는데 그들의 숭고한 삶, 봉사의 삶이 매우 지금의 현대에도 본받을 만한 그들이다.
<소설 상록수 초판>
<최용신의 훈장증>
5. 답사후기(느낀점)
임권택 감독의 영화『상록수』를 한참 전에 본적이 있다. 물론 상록수 소설은 내가 정말 어릴 적에 아마도 중학교 다니던 시절에 읽은 기억이 난다.
지금도 물론 우리나라는 시골의 농촌이라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농부들은 열심히 뼈빠지게 일하는데도 농협에 빚은 늘어만 가는 것이 현실이다. 소설속의 당시 배경이 일제시대인 점을 감안할 때 당시 한국 농촌의 처한 어려움의 주된 원인을 일제와 이에 부화 뇌동하는 조선인의 악랄한 이간질과 탄압에서 찾는다. 우리는 소설속의 주인공인 \'동혁\'과 \'영신\'을 통하여 영신의 실제 주인공\'최용신\'을 떠울려본다.
최용신의 \'상록수\'정신은 왜 그렇게 소중한가.
왜 지금도 절실히 요구되는가하는 의문이 생긴다.
당시 대학을 다닌 신세대 엘리트 여성으로서 시대조류에 편승하여 쉽게 안락한 일생을 도모할수있었지만 나라와 민족을 위한 생각이 희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으로서 봉건적 사고와 싸우고 여성의 사회참여의 모델이 되었고 근대 여성운동사의횃불이 되었다고 본다.
또한 벽촌인 샘골에서 밤마다 벌어지는 주색잡기의 술타령과 투전속에서 협동공동체와 같은 계몽운동을 펼치고ㅏ 한글과 성경을 가르치며 언젠가는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는 정신세계를 가르쳤다.
이러한 당시의 여성으로서 추진한 모든 사업들이 지금의 문명한 사회에서도 절실히 또 요구된다는 것이다.
일제는 우리 고유의 전통신앙을 미신이란 이름으로 격하시키고 이를 말살하려 하였다. 이에 대한 주민들의 반감은 컸다. 일본인 뿐 아니라 서양종교에 대하여도 예외가 아니었다. 특히 기독교에 대해서는 1920년대 후반 평양의 한 교회에서 일어났던 \'허시모 사건\'으로 오랜기간 동안 신문에 보도되고 이에 대한 반감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교회 앞마당에 있는 사과나무 아래 떨어져 있던 사과를 주워 먹었던 아이의 얼굴에 그 교ㅕ회의 목사가 염산으로 이마에 도적이라고 쓰고 벌을 세웠던 사건은 1930년대 초 어린 아이들에거서 서양종교에 대한 두려움 내지 배타심을 울러일으켰다. 이러한 가운데 최용신은 샘골교회에서 농촌계몽운동에 헌신하였음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일제 강점기 하의 제한적 공간을 배경으로 쓰인 최용신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상록수』는 당대의 문학작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최용신의 묘소전경>
5. 최용신의 출생배경
최용신은 1909년 대한제국이 주권을 일본에게 완전히 빼앗기는 1년전에 함경도 덕원군 현면 두남리에서 차녀로 태어났다. 원산에서 10여리 떨어진 이곳은 기독교가 전래되어 서양문화와 접촉한 개화된 마을이었다. 조부와 부친도 사립학교를 설립하거나 교사로서 활동하는 등 교육운동에 종사하였다. 이러한 환경은 그녀로 하여금 기독교신앙을 갖게 하였으며 봉사와 희생정신을 바탕 한 농촌계몽운동에 뛰어들게 한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녀는 원산의 루씨 보통학교, 루씨 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협성여자신학교를 중퇴하였다.
그녀가 \'샘골\'과 농촌운동의 인연을 맺는 과정에는 협성여자 대학교와 교회에서 물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최용신이 사후에는 동생 최용경이 이곳에서 봉사활동을 했다고하는데 그들의 숭고한 삶, 봉사의 삶이 매우 지금의 현대에도 본받을 만한 그들이다.
<소설 상록수 초판>
<최용신의 훈장증>
5. 답사후기(느낀점)
임권택 감독의 영화『상록수』를 한참 전에 본적이 있다. 물론 상록수 소설은 내가 정말 어릴 적에 아마도 중학교 다니던 시절에 읽은 기억이 난다.
지금도 물론 우리나라는 시골의 농촌이라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농부들은 열심히 뼈빠지게 일하는데도 농협에 빚은 늘어만 가는 것이 현실이다. 소설속의 당시 배경이 일제시대인 점을 감안할 때 당시 한국 농촌의 처한 어려움의 주된 원인을 일제와 이에 부화 뇌동하는 조선인의 악랄한 이간질과 탄압에서 찾는다. 우리는 소설속의 주인공인 \'동혁\'과 \'영신\'을 통하여 영신의 실제 주인공\'최용신\'을 떠울려본다.
최용신의 \'상록수\'정신은 왜 그렇게 소중한가.
왜 지금도 절실히 요구되는가하는 의문이 생긴다.
당시 대학을 다닌 신세대 엘리트 여성으로서 시대조류에 편승하여 쉽게 안락한 일생을 도모할수있었지만 나라와 민족을 위한 생각이 희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으로서 봉건적 사고와 싸우고 여성의 사회참여의 모델이 되었고 근대 여성운동사의횃불이 되었다고 본다.
또한 벽촌인 샘골에서 밤마다 벌어지는 주색잡기의 술타령과 투전속에서 협동공동체와 같은 계몽운동을 펼치고ㅏ 한글과 성경을 가르치며 언젠가는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는 정신세계를 가르쳤다.
이러한 당시의 여성으로서 추진한 모든 사업들이 지금의 문명한 사회에서도 절실히 또 요구된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 독서 기행작성 방법 조사
- 대중소설로서의 상록수를 통해 독자 개개의 비평을 중시하는 독자중심비평의 이론을 앞세워 ...
- 교육으로 세상을 바꾸려 했던 교육 사상가 - 한국의 여성 교육사상가 최용신
- 문인답사 보고서 - 시인 정지용 만해 한용운 황순원 박경리 유치환
-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보고서 - 심훈의 서재 필경사를 다녀와서
-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보고서 - 심훈 소설속 배경 상록수 최용신기념관을 다녀와서
- 문인 답사보고서 - 순수문학의 모던보이 이효석
- 문인답사보고서 - 심훈 소설속 배경 상록수 최용신기념관을 다녀와서
- 심훈기념관 필경사 답사 보고서 - 한국문학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