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보조용언(auxiliary verb)이란
2.1. 보조용언의 개념
2.2. 보조용언의 갈래
3. 보조용언의 특성
3.1. 통사적 비자립성
3.2. 대형 대치 불가능성
3.3. 의미 기능의 문법성
4. 나가며
2. 보조용언(auxiliary verb)이란
2.1. 보조용언의 개념
2.2. 보조용언의 갈래
3. 보조용언의 특성
3.1. 통사적 비자립성
3.2. 대형 대치 불가능성
3.3. 의미 기능의 문법성
4. 나가며
본문내용
서는 <부정>, <진행>, <종결>, <피동>, <사동> 등 문법적인 기능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런 의미 기능들은 본용언으로 사용될 때와 그 의미가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문법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4. 나가며
이상에서 현대국어의 보조용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특성에 따른 갈래 등을 살펴서 본용언과 또 다른 면을 알아보고, 보조용언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보조용언의 특성인 통사적 비자립성, 대형 대치 불가능성, 의미 기능의 문법성에 의해서 본용언과의 차이는 더욱 명확했다. 그러나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서로 배타적인 관계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언제나 밀접하게 상호 보완하는 관계라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보조용언은 비자립성으로 인해 본용언을 필요로 하며, 본용언은 보조용언과 함께 그 서술 의미를 더욱 분명히 하기 때문에 서로 보완하며 의지하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보조용언에 대한 연구 과제는 보조용언의 구문이나 보조용언의 제약과 같이 아직 무궁무진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그에 대한 새로운 가설이나 학설의 탄생에 대한 가능성은 열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5. 참고문헌
정언학(2006),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태학사.
임병민(2009), 국어의 보조용언 연구, 박사학위논문.
유효켓(2007), 한국어 보조용언의 판정과 분류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권순구(2004), 국어 보조용언의 연구, 박사학위논문.
NAVER 지식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언어, 언어/문자, 보조용언.
4. 나가며
이상에서 현대국어의 보조용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특성에 따른 갈래 등을 살펴서 본용언과 또 다른 면을 알아보고, 보조용언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보조용언의 특성인 통사적 비자립성, 대형 대치 불가능성, 의미 기능의 문법성에 의해서 본용언과의 차이는 더욱 명확했다. 그러나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서로 배타적인 관계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언제나 밀접하게 상호 보완하는 관계라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보조용언은 비자립성으로 인해 본용언을 필요로 하며, 본용언은 보조용언과 함께 그 서술 의미를 더욱 분명히 하기 때문에 서로 보완하며 의지하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보조용언에 대한 연구 과제는 보조용언의 구문이나 보조용언의 제약과 같이 아직 무궁무진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그에 대한 새로운 가설이나 학설의 탄생에 대한 가능성은 열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5. 참고문헌
정언학(2006),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태학사.
임병민(2009), 국어의 보조용언 연구, 박사학위논문.
유효켓(2007), 한국어 보조용언의 판정과 분류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권순구(2004), 국어 보조용언의 연구, 박사학위논문.
NAVER 지식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언어, 언어/문자, 보조용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