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단오절
1)유래
2)단오절은 창포의 절구(節句)
3)단오절은 액막이행사
2.개두(鎧兜)와 오월인형(五月人形)
1)개두를 장식하는 이유
2)오월인형의 원형은 액막이
3)개두는 건강의 상징
3.고이노보리
1)유래
2)고이노보리가 널리 알려진 이유
3)등용문(登竜門)의 전설
4)최근의 경향
4.창포
1)유래
2)창포탕의 효능
5.단오절의 음식
1)카시와모치(柏餅)
2)치마키
1)유래
2)단오절은 창포의 절구(節句)
3)단오절은 액막이행사
2.개두(鎧兜)와 오월인형(五月人形)
1)개두를 장식하는 이유
2)오월인형의 원형은 액막이
3)개두는 건강의 상징
3.고이노보리
1)유래
2)고이노보리가 널리 알려진 이유
3)등용문(登竜門)의 전설
4)최근의 경향
4.창포
1)유래
2)창포탕의 효능
5.단오절의 음식
1)카시와모치(柏餅)
2)치마키
본문내용
장식하게 된 것은 무가사회(武家社)부터 생긴 풍습이다. 몸의 안전을 기원하러 신사를 갈 때 개두를 봉납하는 관습으로부터 유래된다. 원래 개두는 전쟁도구라고 생각되지만 무장(武)들에게 있어서는 자신의 몸을 지키는 중요한 도구이자 심벌, 상징으로 정신적인 뜻이 담겨진 소중한 보물이었다. 지금 현재는 개두의 “몸을 지킨다”는 뜻을 중시하여 교통사고나 병에서 소중한 자식을 지켜달라는 소원을 담아 장식한다.
2)오월인형의 원형은 액막이
원래 단오절은 악귀와 재액을 불제하는것이 목적이었다. 무가의 집에서는 담이나 대문에 울타리를 만들어 기발이나 투구(兜),창등을 세우는 바깥장식을 했으나 그 후에 개두를 입힌 무자인형(武者人形)을 장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서민들은 무구(武具)가 없었기때문에 처음에는 두꺼운 종이등으로 만든 투구나 무자인형을 만들어 장식하였다고 한다. 이것이 오월인형의 시작이다.
이어서 겐로쿠시대(元時代)로 들어가자 바깥장식이아니라 실내에 장식하는 조그마한 사이즈의 기발이 등장하면서 동시에 역사에 남는 용맹한 인물들의 무자인형이나 역병에서 사람들을 지켜주는 인형등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즈음에서 무가와 서민들의 장식에 큰 차이가 없어졌고 바깥장식이아니라 실내장식이 주류로 되면서 현재모습에 가까운 양식으로 보급되어 갔다.
3)개두는 건강의 상징
개두가 지금현재의 다양한 모습으로 주로 장식하게 되었던것은 전후라고 한다. 그 이유로서 개두는 오래전부터 생명을 지키는 상징으로 생각되어왔기때문에 사내아이를 사고와 재해에서 지켜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역사에 남는 인물들의 개두는 지금도 국보나 보물로 각지의 신사불각에서 헌상되어 있다. 이러한 생각에서 단오절에서는 개두를 전쟁의 도구로 생각하는 것이아니라 아기의 목숨과 건강을 지켜주는 상징으로 장식하고 있다.
3.고이노보리
1)유래
고이노보리는 중국의 등용문의 고사에 유래된다. 고이노보리의 “고이”는 일본어로 잉어다.
“노보리”는 올라간다는 것을 뜻한다. 황하 상류의 급한 흐름을 잉어가 올라간다는 뜻으로 잉어는 출세어로 생각되어왔고 아이의 출세의 상징으로 에도시대에서 많이 장식되기 시작했다. 또 아이가 태어난 집에서는 “이 집안의 아이를 지켜주십시오”라는 하늘신을 향한 표시로 세웠다는 설도 있다.
2)고이노보리가 널리 알려진 이유
에도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부가 5월5일을 중요한 날로 정하므로 그 풍습이 서민들간에 퍼져가 단오절을 축하하게 되는데 무사들이 세웠던 기발을 서민들이 똑같이 장식하는것은 용납되지 않았다. 그래서 “고이노보리”가 등장하여 서민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로 널리 알려져 보급되어 갔다.
3)등용문의 전설
등용문의 고사는 아주 로멘틱하다. 옛날 중국의 영산(山)에 “용문(門)”이라는 폭포가 있어 그 폭포의 급한 흐름을 올라간 잉어에게는 염묘한 힘이 생겨 용이 된다고 전해져 왔다. 어느 날 한마리의 잉어가 세차게 흐르는 물흐름에 지지않게 열심히 올라간 그 순간! 잉어의 몸은 눈부신 빛을 내며 용으로 변신하여 하늘로 올라갔다는 이야기이다. 중국에서 용은 황제의 상징이므로 인생에 어떤 난관이 닥쳐와도 이 잉어처럼 씩씩하게 헤쳐나갈수있게, 나아가 성공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고이노보리”가 생겼다고 한다.
4)최근의 경향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인해 최근에는 고이노보리를 장식하는 집을 거의 못본다. 그것은 고이노보리를 세울만한 마당이나 장소가 없다는 것때문이다. 그래서인지 고이노보리도 시대의 흐름에 맞게 최소화되고 있다. 요즈음에는 아파트용으로 작게 만든 고이노보리가 대세다. 예전에는 장식할 때 쓰이는 줄이나 잉어를 따로 구입하고 세팅할 필요가 있었는데 요즘에는 그 까다로움을 제거하여 처음부터 세팅되어 있는 고이노보리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上:투구(兜)
下:고이노보리
* 매년 장식되는 고이노보리사진입니다.
4.창포(菖蒲)
1)유래
창포는 강한 해독작용이 있어 위약으로서, 또 신경의 긴장을 풀고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며 타박상에도 효과가 있는 약초로 옛날부터 진중되어 왔다. 특히 중국에서는 효과있는 약주로 쓰여 단오절에는 꼭 이 창포주를 마셨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단오절에 “창포탕”이아니라 “난꽃의 탕”에 들어갔으며 오히려 창포는 술로 마셨다고 한다. 또 창포는 쑥과 함께 집에 꽂고 액막이로 쓰였다. 지붕위에 창포를 두는 것으로 액병이나 나쁜 기를 막았다. 또는 창포탕으로 목욕을 하는 것으로 몸을 깨끗하게 하고 피곤을 풀려고 했다.
창포는 일본말로 “쇼우부”라 한다. 똑같은 발음으로 쓰이는 “승부(勝負 쇼우부)”,”상무(武 쇼우부-무예를 숭상함)”과 통한다고 생각되어 마침 단오절에 피는 창포꽃에 “이 사회, 세상에 지지않게 현명하게 씩씩하게 잘하라”는 소원을 담아 장식되어 왔다.
2)창포탕의 효능
창포탕은 혈액순환촉진, 진통작용, 허리의 통증과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 가정용으로 팔리는 창포는 잎부분이 대부분이지만 혈액촉진과 보습효과가 있는 정유성분이 들어간 부분은 뿌리부분이다. 그리고 창포에는 아로마오일에도 들어있는 정유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고 편안하게 쉴 수있는 아로마와 똑같은 효과를 볼 수있다.
* 창포
* 창포탕
5.단오절의 음식
1)카시와모치(柏)
카시와모치에 쓰이는 “카시와”는 측백나무의 잎이다. 측백나무는 새싹이 움트지 않은이상 절대 잎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런 뜻으로 인해 집안에 후손이 끊기지 않고 집안이 오래오래 번영한다는 연기(起)가 좋은 나무로 생각되어 그 잎이 음식으로 쓰여왔다. 카시와모치는 이미 무로마치(室町)시대말경부터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음식으로 사랑되어 왔다. 지금은 떡소로 단팥이 들어있지만 그 당시는 단팥이아니라 된장이였다고 한다.
* 카시와모치
2)치마키
치마키는 중국의 음식으로 단오절과 함께 일본으로 들어왔다. 치마키는 찹쌀을 나뭇잎으로 싸서 찜한 것이다. 치마키에는 띠(茅)나 대나무잎으로 만든것이 있다. 대나무잎에는 장을 깨끗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약효과있는 잎을 벗기면 찹쌀이 녹색으로 물들어 아주 예쁘고 건강에도 좋은 음식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리고 치마키에는 전설이 있다. 고대중국 유명한 전략가였던 굴원(屈原)이라는 사람이 계략으로 인해 도성을
2)오월인형의 원형은 액막이
원래 단오절은 악귀와 재액을 불제하는것이 목적이었다. 무가의 집에서는 담이나 대문에 울타리를 만들어 기발이나 투구(兜),창등을 세우는 바깥장식을 했으나 그 후에 개두를 입힌 무자인형(武者人形)을 장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서민들은 무구(武具)가 없었기때문에 처음에는 두꺼운 종이등으로 만든 투구나 무자인형을 만들어 장식하였다고 한다. 이것이 오월인형의 시작이다.
이어서 겐로쿠시대(元時代)로 들어가자 바깥장식이아니라 실내에 장식하는 조그마한 사이즈의 기발이 등장하면서 동시에 역사에 남는 용맹한 인물들의 무자인형이나 역병에서 사람들을 지켜주는 인형등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즈음에서 무가와 서민들의 장식에 큰 차이가 없어졌고 바깥장식이아니라 실내장식이 주류로 되면서 현재모습에 가까운 양식으로 보급되어 갔다.
3)개두는 건강의 상징
개두가 지금현재의 다양한 모습으로 주로 장식하게 되었던것은 전후라고 한다. 그 이유로서 개두는 오래전부터 생명을 지키는 상징으로 생각되어왔기때문에 사내아이를 사고와 재해에서 지켜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역사에 남는 인물들의 개두는 지금도 국보나 보물로 각지의 신사불각에서 헌상되어 있다. 이러한 생각에서 단오절에서는 개두를 전쟁의 도구로 생각하는 것이아니라 아기의 목숨과 건강을 지켜주는 상징으로 장식하고 있다.
3.고이노보리
1)유래
고이노보리는 중국의 등용문의 고사에 유래된다. 고이노보리의 “고이”는 일본어로 잉어다.
“노보리”는 올라간다는 것을 뜻한다. 황하 상류의 급한 흐름을 잉어가 올라간다는 뜻으로 잉어는 출세어로 생각되어왔고 아이의 출세의 상징으로 에도시대에서 많이 장식되기 시작했다. 또 아이가 태어난 집에서는 “이 집안의 아이를 지켜주십시오”라는 하늘신을 향한 표시로 세웠다는 설도 있다.
2)고이노보리가 널리 알려진 이유
에도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부가 5월5일을 중요한 날로 정하므로 그 풍습이 서민들간에 퍼져가 단오절을 축하하게 되는데 무사들이 세웠던 기발을 서민들이 똑같이 장식하는것은 용납되지 않았다. 그래서 “고이노보리”가 등장하여 서민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로 널리 알려져 보급되어 갔다.
3)등용문의 전설
등용문의 고사는 아주 로멘틱하다. 옛날 중국의 영산(山)에 “용문(門)”이라는 폭포가 있어 그 폭포의 급한 흐름을 올라간 잉어에게는 염묘한 힘이 생겨 용이 된다고 전해져 왔다. 어느 날 한마리의 잉어가 세차게 흐르는 물흐름에 지지않게 열심히 올라간 그 순간! 잉어의 몸은 눈부신 빛을 내며 용으로 변신하여 하늘로 올라갔다는 이야기이다. 중국에서 용은 황제의 상징이므로 인생에 어떤 난관이 닥쳐와도 이 잉어처럼 씩씩하게 헤쳐나갈수있게, 나아가 성공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고이노보리”가 생겼다고 한다.
4)최근의 경향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인해 최근에는 고이노보리를 장식하는 집을 거의 못본다. 그것은 고이노보리를 세울만한 마당이나 장소가 없다는 것때문이다. 그래서인지 고이노보리도 시대의 흐름에 맞게 최소화되고 있다. 요즈음에는 아파트용으로 작게 만든 고이노보리가 대세다. 예전에는 장식할 때 쓰이는 줄이나 잉어를 따로 구입하고 세팅할 필요가 있었는데 요즘에는 그 까다로움을 제거하여 처음부터 세팅되어 있는 고이노보리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上:투구(兜)
下:고이노보리
* 매년 장식되는 고이노보리사진입니다.
4.창포(菖蒲)
1)유래
창포는 강한 해독작용이 있어 위약으로서, 또 신경의 긴장을 풀고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며 타박상에도 효과가 있는 약초로 옛날부터 진중되어 왔다. 특히 중국에서는 효과있는 약주로 쓰여 단오절에는 꼭 이 창포주를 마셨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단오절에 “창포탕”이아니라 “난꽃의 탕”에 들어갔으며 오히려 창포는 술로 마셨다고 한다. 또 창포는 쑥과 함께 집에 꽂고 액막이로 쓰였다. 지붕위에 창포를 두는 것으로 액병이나 나쁜 기를 막았다. 또는 창포탕으로 목욕을 하는 것으로 몸을 깨끗하게 하고 피곤을 풀려고 했다.
창포는 일본말로 “쇼우부”라 한다. 똑같은 발음으로 쓰이는 “승부(勝負 쇼우부)”,”상무(武 쇼우부-무예를 숭상함)”과 통한다고 생각되어 마침 단오절에 피는 창포꽃에 “이 사회, 세상에 지지않게 현명하게 씩씩하게 잘하라”는 소원을 담아 장식되어 왔다.
2)창포탕의 효능
창포탕은 혈액순환촉진, 진통작용, 허리의 통증과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 가정용으로 팔리는 창포는 잎부분이 대부분이지만 혈액촉진과 보습효과가 있는 정유성분이 들어간 부분은 뿌리부분이다. 그리고 창포에는 아로마오일에도 들어있는 정유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고 편안하게 쉴 수있는 아로마와 똑같은 효과를 볼 수있다.
* 창포
* 창포탕
5.단오절의 음식
1)카시와모치(柏)
카시와모치에 쓰이는 “카시와”는 측백나무의 잎이다. 측백나무는 새싹이 움트지 않은이상 절대 잎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런 뜻으로 인해 집안에 후손이 끊기지 않고 집안이 오래오래 번영한다는 연기(起)가 좋은 나무로 생각되어 그 잎이 음식으로 쓰여왔다. 카시와모치는 이미 무로마치(室町)시대말경부터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음식으로 사랑되어 왔다. 지금은 떡소로 단팥이 들어있지만 그 당시는 단팥이아니라 된장이였다고 한다.
* 카시와모치
2)치마키
치마키는 중국의 음식으로 단오절과 함께 일본으로 들어왔다. 치마키는 찹쌀을 나뭇잎으로 싸서 찜한 것이다. 치마키에는 띠(茅)나 대나무잎으로 만든것이 있다. 대나무잎에는 장을 깨끗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약효과있는 잎을 벗기면 찹쌀이 녹색으로 물들어 아주 예쁘고 건강에도 좋은 음식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리고 치마키에는 전설이 있다. 고대중국 유명한 전략가였던 굴원(屈原)이라는 사람이 계략으로 인해 도성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