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lmann의 의미 변화 이론과 그 적용(Ⅱ) - Semantics 의미 과학 입문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llmann의 의미 변화 이론과 그 적용(Ⅱ) - Semantics 의미 과학 입문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의미 변화의 원인
1.1. 언어적 원인
1.2. 역사적 원인
1.3. 사회적 원인
1.4. 심리적 원인
1.5. 의미 변화의 원인으로서 외국어의 영향
1.6. 의미 변화의 원인으로서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
2. 의미변화의 특성
2.1. 뜻들 사이의 유사(은유)
2.2. 뜻들의 인접(환유)
2.3. 이름들의 유사(민간 어원)
2.4. 이름들의 인접(생략)
3. 의미 변화의 결과
3.1. 의미 범주의 변화 : 의미의 확대와 축소
3.2. 의미 평가의 변화 : 타락적 발달과 개량적 발달

III. 결론

본문내용

Ullmann의 의미 변화 이론과 그 적용(Ⅱ)
-Semantics : 의미 과학 입문을 중심으로-
목차
서론
본론
의미 변화의 원인
1.1. 언어적 원인
1.2. 역사적 원인
1.3. 사회적 원인
1.4. 심리적 원인
1.5. 의미 변화의 원인으로서 외국어의 영향
1.6. 의미 변화의 원인으로서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
의미변화의 특성
2.1. 뜻들 사이의 유사(은유)
2.2. 뜻들의 인접(환유)
2.3. 이름들의 유사(민간 어원)
2.4. 이름들의 인접(생략)
의미 변화의 결과
3.1. 의미 범주의 변화 : 의미의 확대와 축소
3.2. 의미 평가의 변화 : 타락적 발달과 개량적 발달
결론
서론
고대 이래로 말의 의미가 변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것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근대 언어학 시대, 즉 20세기의 문턱을 넘어서면서부터다. 초기의 많은 의미 변화에 관한 연구와 연구서가 있지만 Ullmann 이전에 연구됐던 작품으로는 Meillet, Guiraud, Nyrop, Thomas, Sperber, Wellander, Stern 등에 의해 발표된 논문과 저서가 있어 왔다. 이들은 Ullmann의 의미 변화 체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것은 Ullmann의 의미 변화 연구였다. Ullmann의 저서 The prinriples of Semantics(1957)와 Semantics: An Introduction to the Semantics(1962)는 근대 언어학의 의미론 분야에서의 발전을 표한다. 의미 변화에 대한 논의의 적절성과 그 분류체계의 수월성이 있어 다른 연구자의 의미 변화 이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Semantics를 주로 살펴보게 된다. 변화의 요인을 사적인 면에 국한시키려는 태도에서 자유로워지는 Semantics는 의미론 전 분야인 prinriples(1957)보다는 비중이 양적인 면에서는 낮아졌으나, 내용면에서 볼 때 원인론에 머물지 않고 특성과 결과로까지 확대된다.
본론
의미 변화의 원인
의미 변화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요소들로 언어의 불연속성, 애매성, 유연성, 모호한 문맥, 유기적이면서도 산만한 어휘 구조 등이 지적된다. 이러한 요소들의 작용으로 인해 의미 변화의 양상은 중복적인 성향을 피하기 어렵다. 여기서는 그 양상을 변화의 원인, 변화의 성질, 변화의 결과로 구분하여 다룬다.
변화 요인은 다음 6가지로 진술되는데 하나하나 자세하게 살펴보자.
1.1. 언어적 원인
단어들이 말들 사이의 또는 문장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상 작용에 의해 의미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다.
라틴어
passus (발걸음)
punctum e (점)
persona (사람)
rem, res (대격)
j am (지금 이미)
불어
ne…pas (아니)
ne…point (아니, 결코…아니다)
ne…personne (아무도…아니다)
ne…rien (아무것도…아니다)
ne…jamais (결코…아니다)
1.2. 역사적 원인
물건, 관념, 제도, 과학적 개념이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이때 많은 경우 이름은 그대로 보존되면서, 그 내용이나 재료 또는 인식이 변한다.
1.2.1. 지시물 : 이름은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 있는 데, 지시물 자체가 변했다. 예를 들어 car는 사륜차를 뜻했고 캘트어에서 기원된 말이지만, 지시물(사물)의 형태만 변했다.
1.2.2. 제도 : 이름은 변하지 않았지만 제도가 변화하여 의미가 바뀐다. 예를 들어 고대 불어 parlement에서 차용된 parliament는 고대 왕조의 평의회를 뜻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영감, 대감, 양반, 장원’ 따위가 사회 제도가 변화하면서 그 의미 가치가 하락(일반화)되었다.
1.2.3. 관념(인식) : 과학 문명의 발달로 사람의 인식이나 관념 또는 사람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다. 예를 들어 humour는 고대 불어에서 생리적 개념을 나타내는 말로, 피, 가래, 담즙, 흑담즙의 비율에 의해 신체적 정신적 경향이 결정된다고 인식했었는데 지금은 그런 인식이 없어졌고 또한 생활방식에 관한 말이라고 이해하고 사용한다.
1.2.4. 과학적 개념 : 과학 지식의 발달에 따라 개념 자체가 변한 것으로, humour가 과학적 내지 준과학적 뜻의 표현이었으나, 그와는 관계가 없는 말이 된 것이 그 예이다. 똑같은 예로 평면설이 구면설로, 천동설이 지동설이 된 것도 같다.
1.3. 사회적 원인
어떤 단어가 어떤 언어 속에서 특수화된 이름으로 쓰일 때, 뜻이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또 이와는 반대의 경향으로(일반화 현상) 변하는 경향도 있다. 환유와 제유, 의미의 일반화(확장)와 특수화(축소)에 관한 내용으로, 1957에서는 인접 지각에서 다루어진 것들이다.
1.3.1. 의미의 특수화 : 다의의 근원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뜻을 대신하기 때문에 단어의 지시범위는 좁아진다.
라틴어
cubare(도저눕다)
mutare(변화시키다)
ponere(두다)
trahere(끌다)
불어
couver(품다)
muer(털갈이하다)
pondre(알을 낳다)
traire(젖을 짜다)
1.3.2. 의미의 일반화 : 특수 사회나 계층에서 또는 전문 분야에서 쓰는 말들이 널리 쓰이면서 의미의 지시 범주가 넓어진 경우이다. 국어에서 ‘왕’(임금)이 ‘최고, 제1인자’의 뜻으로, ‘영감’(당상관에 이르는 관직)이 ‘노인, 남편’에 대한 호칭으로 일반화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