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 국 고 전 문 학 약 사
대 륙 문 화 영 향 속 의 삼 국 문 화
통 일 신 라 의 문 학 과 불 교
별 곡, 서 사 시 속 의 고 려 문 학
조 선 전 기 의 문 학
조 선 후 기 의 문 학
대 륙 문 화 영 향 속 의 삼 국 문 화
통 일 신 라 의 문 학 과 불 교
별 곡, 서 사 시 속 의 고 려 문 학
조 선 전 기 의 문 학
조 선 후 기 의 문 학
본문내용
충의가
세 조
성삼문
단종에 대한 일편단심(一片丹心) 노래
충의가
세 조
박팽년
단종에 대한 충성심 노래
오륜가
중 종
주세붕
6수. 삼강 오륜(三綱五倫)을 노래한 교훈적 시조, 연시조
어부가
명 종
이현보
5수. 장가 9편을 포함.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줌, 연시조
자상특사
황국옥당가
명 종
송 순
명종이 옥당에 보낸 국화를 받고 지어 바친 즉흥시조, 충의 표현
농 암 가
명 조
이현보
고향의 농암이라는 바위에 올라가 지은 시조
효 빈 가
명 조
이현보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본뜸.
도산십이곡
명 조
이 황
12수. 일명 도산 6곡(전 6곡-언지(言志), 후 6곡-언학(言學)). 자연의 관조와 학문의 길
고산구곡가
선 조
이 이
10수. 일명 석담구곡가. 주자의 무이구곡가를 본뜸.
한거십팔곡
선 조
권호문
18수. 교훈적인 내용과 인생관이 나타남
훈민가
선 조
정 철
16수.경민편(警民篇)이라고도 하며 오륜과 도덕을 노래함
장진주사
선 조
정 철
최초의 사설시조. 이 백의 장진주(將進酒)에서 영향을 받은 권주가
※ 여 류 : 황진이, 홍랑, 송이, 계랑, 홍장, 이매창, 명옥, 천금 등
※ 조선초 : 회고, 충절, 송축→ 세조 즉위- 충절가(사육신 중심).→성종 이후- 자연 속 유유자적(낙천적 인생관), 작가 계층 확대(기녀 참가)
※ 시조와 가사가 광범한 지반을 얻게 된 이유
한문을 숭상하는 우리들의 손에 의하여 아무리 익숙하게 지어졌다손 치더라도 그것을 향유하는 지반이 지나치게 좁은 악장과 별곡체 이 두 형태를 압도하고 조선 전기 시가 문학의 대표적인 형태로 등장한 것이 곧 시조(時調)와 가사(歌辭)였다. 이렇게 광범한 지반을 얻게 된 이유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니, 첫째로 시조나 가사는 훨씬 우리 겨레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합치된다는 점이라 하겠고, 둘째로는 그 지닌 바 기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이 두 형태의 시가가 가장 이상적인 형식상의 적응성을 갖추었다는 점이라 할 것이다.
시 조
간결하고 소박한 것을 즐겨하는 유가의 서정성을 표현하는데 알맞은 형태
가 사
현실적이고 설복적인 유교 이념을 표현하는 데에 가장 알맞은 형태
패관 문학의 융성과 소설(小說)의 발생
패관 문학
떠돌던 이야기를 채록하는 관리에 의해 채록(채록 과정에서 창의성 가미, 윤색한 것이 패관 문학임) : 소설 문학의 전신
전문화되고, 영역별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임
동인시화(東人詩話) : 서거정이 역대 시문에 대한 일화, 수필, 시화 등을 모아 엮은 비평서
필원잡기(筆苑雜記) : 서거정의 수필집으로 일화, 한담(閑談)등을 모아 엮은 책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 서거정이 시정(市井)에 떠돌아 다니는 이야기를 수집, 기록한 일화집
용재총화(용齋叢話) : 성현이 지은 수필집. 문화(文話), 시화(詩話), 서론(書論), 사화(史話) 등이 기재
패관잡기(稗官雜記) : 어숙권의 수필집. 우리 나라의 각종 설화, 시화 등을 편집한 것
순오지(旬五志) : 홍만종이 지은 일종의 문학 평론집
소설(小說)
발 생
설화
패관문학
가전체
(중국소설의 영향)
판소리 사설
고대소설
특 징
낭독하기에 알맞은 4.4 조의 가사체투를 갖춤
전형적인 인물 설정
문장표현이 文語文으로써 사물을 극히 미화시킴
일상적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것을 그림
주제가 권선징악.
행복한 결말.
효 시 : 김시습(金時習)의「금오신화 (金鰲新話)」(한문소설) : 세조 때
우리 나라 최초의 고대소설로 작자가 만년에 경주 금오산(지금의 남산)에 들어가 지은 것임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하였고, 등장인물도 우리 나라 사람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함
한문 전기 소설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剪燈新話)에 영향을 받음
5편만이 전함(단편 소설집)
-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 중국소설의 영향
전등신화 ⇒ 금오신화, 서유기 ⇒ 홍길동전, 구운몽, 옥루몽 , 수호전 ⇒ 홍길동전, 삼국지연의 ⇒ 군담소설류
작 품
작 품
작 가
내용
금오신화
김시습
최초의 한문소설. 구우의 전등신화에 영향을 받음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화사(花史)
임제
국가와 군신을 꽃에 비유하여 치국 흥망의 역사를 기록한 의인체 한문소설
수성지
임제
세상에 대한 불만과 현실에 대한 저주를 그린 의인체 한문소설
원생몽유록
임제
남효온의 처지를 슬퍼하여 쓴 전기소설. 세조의 왕위찬탈을 배경으로 한 정치 권력의 모순을 폭로함
조선 후기의 문학
시대개관
임진왜란 이후~갑오경장까지 약 300년간. 산문성. 평민의식성장. 실사구시 학풍과 서학의 도래로 자주적인 민중문학 발달
임병 양란 이후 사대부의 권위가 실추되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의식의 새로운 내용이 작품에 투영됨.
비현실적, 소극적인 유교문학에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실학문학으로 발전됨
작품의 제재, 주제의 변화와 함께 작자의 범위가 확대됨.
산문정신에 의해 운문 중심에서 산문 중심 문학으로 이행, 발전함.
소설문학
형 성 : 평민의 자각, 산문 정신, 현실주의적 사고(실학사상)가 소설 발생의 배경이 되었다.
특 징 : 주제면에서 대부분 권선징악. 구성은 일대기적 구성이나 행복한 결말. 사건의 비현실성(전기적), 우연성. 사상은 주로 무격신앙, 유교, 불교, 도교 등, 인물은 전형적 평면적 인물을 작가가 직접 제시함. 운문체, 구송체
작 품
분 류
작 품
작 가
해설
설화소설
심청전
미 상
연권녀, 효녀지은설화. 도덕소설
장끼전
미 상
\'웅치전\'이라고도 함. 풍자소설
흥부전
미 상
\'방이설화\', \'박타는 처녀\'에서 발전
왕랑반혼전
보 우
고려 이래 민간에서 전해오던 불교설화가 소설화된 것
사회소설
홍길동전
허 균
수호지의 영향을 받음. 최초의 한글 소설
전우치전
미 상
홍길동전의 아류작
군담소설
임진록
미 상
\'삼국지연의\'의 영향을 받음
곽재우전
미 상
\'천간홍의 장군\'이라는 제목으로 출간
임경업전
미 상
\'임장군전\'이라고도 함. 전기적 소설
박씨전
미 상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의 전기적 소설
가정소설
사씨남정기
김만중
숙종이 인현왕후를
세 조
성삼문
단종에 대한 일편단심(一片丹心) 노래
충의가
세 조
박팽년
단종에 대한 충성심 노래
오륜가
중 종
주세붕
6수. 삼강 오륜(三綱五倫)을 노래한 교훈적 시조, 연시조
어부가
명 종
이현보
5수. 장가 9편을 포함.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줌, 연시조
자상특사
황국옥당가
명 종
송 순
명종이 옥당에 보낸 국화를 받고 지어 바친 즉흥시조, 충의 표현
농 암 가
명 조
이현보
고향의 농암이라는 바위에 올라가 지은 시조
효 빈 가
명 조
이현보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본뜸.
도산십이곡
명 조
이 황
12수. 일명 도산 6곡(전 6곡-언지(言志), 후 6곡-언학(言學)). 자연의 관조와 학문의 길
고산구곡가
선 조
이 이
10수. 일명 석담구곡가. 주자의 무이구곡가를 본뜸.
한거십팔곡
선 조
권호문
18수. 교훈적인 내용과 인생관이 나타남
훈민가
선 조
정 철
16수.경민편(警民篇)이라고도 하며 오륜과 도덕을 노래함
장진주사
선 조
정 철
최초의 사설시조. 이 백의 장진주(將進酒)에서 영향을 받은 권주가
※ 여 류 : 황진이, 홍랑, 송이, 계랑, 홍장, 이매창, 명옥, 천금 등
※ 조선초 : 회고, 충절, 송축→ 세조 즉위- 충절가(사육신 중심).→성종 이후- 자연 속 유유자적(낙천적 인생관), 작가 계층 확대(기녀 참가)
※ 시조와 가사가 광범한 지반을 얻게 된 이유
한문을 숭상하는 우리들의 손에 의하여 아무리 익숙하게 지어졌다손 치더라도 그것을 향유하는 지반이 지나치게 좁은 악장과 별곡체 이 두 형태를 압도하고 조선 전기 시가 문학의 대표적인 형태로 등장한 것이 곧 시조(時調)와 가사(歌辭)였다. 이렇게 광범한 지반을 얻게 된 이유는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니, 첫째로 시조나 가사는 훨씬 우리 겨레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합치된다는 점이라 하겠고, 둘째로는 그 지닌 바 기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이 두 형태의 시가가 가장 이상적인 형식상의 적응성을 갖추었다는 점이라 할 것이다.
시 조
간결하고 소박한 것을 즐겨하는 유가의 서정성을 표현하는데 알맞은 형태
가 사
현실적이고 설복적인 유교 이념을 표현하는 데에 가장 알맞은 형태
패관 문학의 융성과 소설(小說)의 발생
패관 문학
떠돌던 이야기를 채록하는 관리에 의해 채록(채록 과정에서 창의성 가미, 윤색한 것이 패관 문학임) : 소설 문학의 전신
전문화되고, 영역별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임
동인시화(東人詩話) : 서거정이 역대 시문에 대한 일화, 수필, 시화 등을 모아 엮은 비평서
필원잡기(筆苑雜記) : 서거정의 수필집으로 일화, 한담(閑談)등을 모아 엮은 책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 서거정이 시정(市井)에 떠돌아 다니는 이야기를 수집, 기록한 일화집
용재총화(용齋叢話) : 성현이 지은 수필집. 문화(文話), 시화(詩話), 서론(書論), 사화(史話) 등이 기재
패관잡기(稗官雜記) : 어숙권의 수필집. 우리 나라의 각종 설화, 시화 등을 편집한 것
순오지(旬五志) : 홍만종이 지은 일종의 문학 평론집
소설(小說)
발 생
설화
패관문학
가전체
(중국소설의 영향)
판소리 사설
고대소설
특 징
낭독하기에 알맞은 4.4 조의 가사체투를 갖춤
전형적인 인물 설정
문장표현이 文語文으로써 사물을 극히 미화시킴
일상적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것을 그림
주제가 권선징악.
행복한 결말.
효 시 : 김시습(金時習)의「금오신화 (金鰲新話)」(한문소설) : 세조 때
우리 나라 최초의 고대소설로 작자가 만년에 경주 금오산(지금의 남산)에 들어가 지은 것임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하였고, 등장인물도 우리 나라 사람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함
한문 전기 소설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剪燈新話)에 영향을 받음
5편만이 전함(단편 소설집)
-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 중국소설의 영향
전등신화 ⇒ 금오신화, 서유기 ⇒ 홍길동전, 구운몽, 옥루몽 , 수호전 ⇒ 홍길동전, 삼국지연의 ⇒ 군담소설류
작 품
작 품
작 가
내용
금오신화
김시습
최초의 한문소설. 구우의 전등신화에 영향을 받음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화사(花史)
임제
국가와 군신을 꽃에 비유하여 치국 흥망의 역사를 기록한 의인체 한문소설
수성지
임제
세상에 대한 불만과 현실에 대한 저주를 그린 의인체 한문소설
원생몽유록
임제
남효온의 처지를 슬퍼하여 쓴 전기소설. 세조의 왕위찬탈을 배경으로 한 정치 권력의 모순을 폭로함
조선 후기의 문학
시대개관
임진왜란 이후~갑오경장까지 약 300년간. 산문성. 평민의식성장. 실사구시 학풍과 서학의 도래로 자주적인 민중문학 발달
임병 양란 이후 사대부의 권위가 실추되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의식의 새로운 내용이 작품에 투영됨.
비현실적, 소극적인 유교문학에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실학문학으로 발전됨
작품의 제재, 주제의 변화와 함께 작자의 범위가 확대됨.
산문정신에 의해 운문 중심에서 산문 중심 문학으로 이행, 발전함.
소설문학
형 성 : 평민의 자각, 산문 정신, 현실주의적 사고(실학사상)가 소설 발생의 배경이 되었다.
특 징 : 주제면에서 대부분 권선징악. 구성은 일대기적 구성이나 행복한 결말. 사건의 비현실성(전기적), 우연성. 사상은 주로 무격신앙, 유교, 불교, 도교 등, 인물은 전형적 평면적 인물을 작가가 직접 제시함. 운문체, 구송체
작 품
분 류
작 품
작 가
해설
설화소설
심청전
미 상
연권녀, 효녀지은설화. 도덕소설
장끼전
미 상
\'웅치전\'이라고도 함. 풍자소설
흥부전
미 상
\'방이설화\', \'박타는 처녀\'에서 발전
왕랑반혼전
보 우
고려 이래 민간에서 전해오던 불교설화가 소설화된 것
사회소설
홍길동전
허 균
수호지의 영향을 받음. 최초의 한글 소설
전우치전
미 상
홍길동전의 아류작
군담소설
임진록
미 상
\'삼국지연의\'의 영향을 받음
곽재우전
미 상
\'천간홍의 장군\'이라는 제목으로 출간
임경업전
미 상
\'임장군전\'이라고도 함. 전기적 소설
박씨전
미 상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의 전기적 소설
가정소설
사씨남정기
김만중
숙종이 인현왕후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