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 시조의 명칭과 개념
1. 시조의 정의
2. 시조의 명칭
???? 시조의 기원
1. 외래기원설
1) 한시기원설
2) 불가기원설
2. 재래기원설
1) 민요․신가기원설
2) 향가기원설
3) 고려속요기원설
???? 시조의 발생시기
1. 시조 발생설
1) 삼국시대설
2) 고려조 발생설
3) 조선조 발생설
2. 사설시조 발생
1) 17 ․ 18 세기 설
2) 평시조 병존 설
???? 시조의 형식과 율격
1. 시조의 형식
1) 장, 구의 의미
2) 시조의 형태적 분류
2. 시조의 율격
1) 음수율론
2) 음보율론
???? 시조의 구조
???? 시조의 표현방식
???? 시조의 전개과정과 주요 작품
1) 제 1기 고려 말의 시조
2) 제 2기 조선초기의 시조
3) 조선 중기의 시조
4) 조선 후기의 시조
1. 시조의 정의
2. 시조의 명칭
???? 시조의 기원
1. 외래기원설
1) 한시기원설
2) 불가기원설
2. 재래기원설
1) 민요․신가기원설
2) 향가기원설
3) 고려속요기원설
???? 시조의 발생시기
1. 시조 발생설
1) 삼국시대설
2) 고려조 발생설
3) 조선조 발생설
2. 사설시조 발생
1) 17 ․ 18 세기 설
2) 평시조 병존 설
???? 시조의 형식과 율격
1. 시조의 형식
1) 장, 구의 의미
2) 시조의 형태적 분류
2. 시조의 율격
1) 음수율론
2) 음보율론
???? 시조의 구조
???? 시조의 표현방식
???? 시조의 전개과정과 주요 작품
1) 제 1기 고려 말의 시조
2) 제 2기 조선초기의 시조
3) 조선 중기의 시조
4) 조선 후기의 시조
본문내용
국한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어휘 하나하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님을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시조와 쌍벽을 이루었던 가사의 경우를 보면 “이 몸 삼기실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와 같은 표현을 2개의 구로 파악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시조의 일행을 이구로 파악하여 한 편의 평시조를 육구로 인식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2) 시조의 형태적 분류
지금까지의 시조를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라는 개념이 시조창에서 쓰던 것을 이끌어 온 것이기 때문에 문학에서 쓰는 개념과 너무나 틀리다는 것이다. 시조창에서 말하는 평시조는 중여음(높지도 낮지도 않은 기본음)으로 시작하여 부르는 시조창이고 엇시조는 처음에는 높은 소리로 부르다가 나중에는 창법을 바꾸어서 장단으로 돌아가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사설시조는 엮음시조라고 하는데 여러 가지 창법을 엮어서 부르는 시조창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張
그런데 문학에서는 평시조를3장 6구체의 시조로써 45자 내외로 된 것을 말한다. 그러나 문학에서 말하는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는 다음과 같다.
(1) 평시조
원래 시조는 3행으로 1연을 이루며 각 행은 4보격으로 되어 있고 이 4보격은 중간에 휴지를 두어 두 개의 묶음으로 나눈다. 그리고 각 음보는 종장 2구를 제외하고는 3개 또는 4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정격의 형식이다.
음절수
(첫째음보)
음절수
(둘째음보)
음절수
(셋째음보)
음절수
(넷째음보)
초장(1행)
3
4
4(3)
4
중장(2행)
3
4
4(3)
4
종장(3행)
3
5(5-7)
4
3(4)
이 정격의 기준형에 맞는 시조 몇편을 살펴보자.
오백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하되 인걸(人傑)은 간 듸 업다.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 길재, 회고가 -
이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낙장송되어 있어
백설이 만건곤할제 독야청청 하리라.
- 성삼문, 절의가 -
그러나 이 기본형은 어디까지나 정격으로서의 그 기준형에 지나지 않는다. 시조를 읽다 보면 이 기준형에 맞는 것보다는 맞지 않는 것이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장 둘째 구가 6음절로 된 것을 살펴보자.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있으랴
- 정몽주, 단심가 -
다음은 3행중 어느 한 구가 한자 더하여진 것을 살펴보자
천만리 머나 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야 울어 밤 길 예놋다.
- 왕방연, 戀主歌(연주가) -
다음은 3행 중 1행(초장)이나 2행(중장)에서 음절수가 가감(加減)되어 이루어진 것을 살펴보겠다.
어버이 살아신제 섬길일란 다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닳다 어이하리
평새에 고쳐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 정 철, 訓民歌(훈민가) 중 제4 子孝歌 -
다음은 두 음절 이상 음절수가 많아진 것을 살펴보자.
동짓달 기나 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황진이 -
(2) 엇시조
엇시조는 평시조에서 초,중,종장 중 어느 한 곳이 음수에서 원 규칙에서 벗어난 작품을
말한다.
다나 쓰나 니탁주 좋고 대테 메온 질병들이 더욱 좋이
어론자 박구기를 둥지둥지 띄어 두고
아해야 저리김칠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 채유후, 청구영언 164 -
(3) 사설시조
사설시조는 평시조형태에서 중장이 2구이상 길어진 것을 가리킨다.
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창 내고자
들장지 열장지 고무장지 세살장지, 암돌쩌귀 수돌쩌귀, 쌍배목 외걸쇠를, 크나큰 장도리로 뚝딱뚝딱 박아 이내 가슴 창 내고자.
임 그려 하 답답할 제면 여닫어나 볼까 하노라.
- 무명씨, 청구영언 -
(4) 연시조(聯詩調)
연시조는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 율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노계 박인로의 <오륜가>, 송강 정철의 <훈민가> 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현대시조는 거의가 연시조로 창작되어짐을 볼 수 있다.
◎ 도산십이곡 <前六曲:言志(언지)>
其一
이런들 엇더며 저런들 엇더료
草野(초야) 愚生(우생)이 이러타 엇더료
하물며 泉石(천석) 膏(고황)을 교텨 므슴료
其二
煙霞(연하)로 지블 삼고 風月(풍월)로 버들 사마
太平聖代(태평성대)에 병으로 늘거가니
이듕에 라 이른 허므리나 업고쟈
其三
淳風(순풍)이 죽다니 眞實(진실)로 거즛마리
人性(인성)이 어지다 니 진실로 올마리
천하에 許多英才(허다영재)를 소겨 말 가
其四
幽蘭(유란)이 在谷(재곡)니 自然(자연)이 듣디 됴해
白雲(백운)이 在山(재산)니 紫煙(자연)이 보기 됴해
이 듕에 彼美一人(피미일인)을 더욱 닛디 못에
其五
山前(산전)에 有臺(유대)고 臺下(대하)에 有水(유수)로다
ㅔ 만흔 며기 오명가명 거든
엇더타 皎皎白駒(교교백구) 머리 고
其六
春風(춘풍)에 花萬山(화만산)고 秋夜(추야)에 月萬臺(월만대)라
四時佳興(사시가흥)이 과 가지라
물며 魚躍鳶飛(어약연비) 雲影天光(운영천광)이야 어ㅣ 그지 이슬가
<後六曲>:言學(언학)>
其一
天雲臺(천운대) 도라드러 琓樂齋(완락재) 瀟灑(소쇄)ㅣ
萬卷(만권) 生涯(생애)로 樂事(낙사) 無窮(무궁) 애라
이 듕에 往來(왕래) 風流(풍류)를 닐러 므고
其二
雷霆(뇌정)이 破山(파산)여도 聾者(농자) 못 듣니
白日(백일)이 中天(중천)야도 者(고자) 못 보니
우리 耳目聰明(이목총명) 男子(남자)로 聾(농고) 티 마르리
其三
古人(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고인을 못 뵈아도 녀뎐 길 알ㅣ 잇ㅣ
녀뎐 길 알ㅣ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其四
當時(당시)예 녀던 길흘몃ㅣ를 려 두고
어듸가 니다가 이제사 도라온고
이제나 도라오니 년듸 마르리
其五
靑山(청산)은 엇뎨야 萬古(만고)에 프르르며
流水(유수)는 엇뎨야 晝夜(주야)애 긋디 아니고
우리도 그치디마라 萬古常靑(만고상청) 리라
其六
愚夫(우부)도 알며 거니 긔 아니 쉬운가
聖人(성인)도
2) 시조의 형태적 분류
지금까지의 시조를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라는 개념이 시조창에서 쓰던 것을 이끌어 온 것이기 때문에 문학에서 쓰는 개념과 너무나 틀리다는 것이다. 시조창에서 말하는 평시조는 중여음(높지도 낮지도 않은 기본음)으로 시작하여 부르는 시조창이고 엇시조는 처음에는 높은 소리로 부르다가 나중에는 창법을 바꾸어서 장단으로 돌아가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사설시조는 엮음시조라고 하는데 여러 가지 창법을 엮어서 부르는 시조창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張
그런데 문학에서는 평시조를3장 6구체의 시조로써 45자 내외로 된 것을 말한다. 그러나 문학에서 말하는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는 다음과 같다.
(1) 평시조
원래 시조는 3행으로 1연을 이루며 각 행은 4보격으로 되어 있고 이 4보격은 중간에 휴지를 두어 두 개의 묶음으로 나눈다. 그리고 각 음보는 종장 2구를 제외하고는 3개 또는 4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정격의 형식이다.
음절수
(첫째음보)
음절수
(둘째음보)
음절수
(셋째음보)
음절수
(넷째음보)
초장(1행)
3
4
4(3)
4
중장(2행)
3
4
4(3)
4
종장(3행)
3
5(5-7)
4
3(4)
이 정격의 기준형에 맞는 시조 몇편을 살펴보자.
오백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하되 인걸(人傑)은 간 듸 업다.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 길재, 회고가 -
이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낙장송되어 있어
백설이 만건곤할제 독야청청 하리라.
- 성삼문, 절의가 -
그러나 이 기본형은 어디까지나 정격으로서의 그 기준형에 지나지 않는다. 시조를 읽다 보면 이 기준형에 맞는 것보다는 맞지 않는 것이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장 둘째 구가 6음절로 된 것을 살펴보자.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있으랴
- 정몽주, 단심가 -
다음은 3행중 어느 한 구가 한자 더하여진 것을 살펴보자
천만리 머나 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야 울어 밤 길 예놋다.
- 왕방연, 戀主歌(연주가) -
다음은 3행 중 1행(초장)이나 2행(중장)에서 음절수가 가감(加減)되어 이루어진 것을 살펴보겠다.
어버이 살아신제 섬길일란 다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닳다 어이하리
평새에 고쳐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 정 철, 訓民歌(훈민가) 중 제4 子孝歌 -
다음은 두 음절 이상 음절수가 많아진 것을 살펴보자.
동짓달 기나 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황진이 -
(2) 엇시조
엇시조는 평시조에서 초,중,종장 중 어느 한 곳이 음수에서 원 규칙에서 벗어난 작품을
말한다.
다나 쓰나 니탁주 좋고 대테 메온 질병들이 더욱 좋이
어론자 박구기를 둥지둥지 띄어 두고
아해야 저리김칠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 채유후, 청구영언 164 -
(3) 사설시조
사설시조는 평시조형태에서 중장이 2구이상 길어진 것을 가리킨다.
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창 내고자
들장지 열장지 고무장지 세살장지, 암돌쩌귀 수돌쩌귀, 쌍배목 외걸쇠를, 크나큰 장도리로 뚝딱뚝딱 박아 이내 가슴 창 내고자.
임 그려 하 답답할 제면 여닫어나 볼까 하노라.
- 무명씨, 청구영언 -
(4) 연시조(聯詩調)
연시조는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 율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노계 박인로의 <오륜가>, 송강 정철의 <훈민가> 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현대시조는 거의가 연시조로 창작되어짐을 볼 수 있다.
◎ 도산십이곡 <前六曲:言志(언지)>
其一
이런들 엇더며 저런들 엇더료
草野(초야) 愚生(우생)이 이러타 엇더료
하물며 泉石(천석) 膏(고황)을 교텨 므슴료
其二
煙霞(연하)로 지블 삼고 風月(풍월)로 버들 사마
太平聖代(태평성대)에 병으로 늘거가니
이듕에 라 이른 허므리나 업고쟈
其三
淳風(순풍)이 죽다니 眞實(진실)로 거즛마리
人性(인성)이 어지다 니 진실로 올마리
천하에 許多英才(허다영재)를 소겨 말 가
其四
幽蘭(유란)이 在谷(재곡)니 自然(자연)이 듣디 됴해
白雲(백운)이 在山(재산)니 紫煙(자연)이 보기 됴해
이 듕에 彼美一人(피미일인)을 더욱 닛디 못에
其五
山前(산전)에 有臺(유대)고 臺下(대하)에 有水(유수)로다
ㅔ 만흔 며기 오명가명 거든
엇더타 皎皎白駒(교교백구) 머리 고
其六
春風(춘풍)에 花萬山(화만산)고 秋夜(추야)에 月萬臺(월만대)라
四時佳興(사시가흥)이 과 가지라
물며 魚躍鳶飛(어약연비) 雲影天光(운영천광)이야 어ㅣ 그지 이슬가
<後六曲>:言學(언학)>
其一
天雲臺(천운대) 도라드러 琓樂齋(완락재) 瀟灑(소쇄)ㅣ
萬卷(만권) 生涯(생애)로 樂事(낙사) 無窮(무궁) 애라
이 듕에 往來(왕래) 風流(풍류)를 닐러 므고
其二
雷霆(뇌정)이 破山(파산)여도 聾者(농자) 못 듣니
白日(백일)이 中天(중천)야도 者(고자) 못 보니
우리 耳目聰明(이목총명) 男子(남자)로 聾(농고) 티 마르리
其三
古人(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고인을 못 뵈아도 녀뎐 길 알ㅣ 잇ㅣ
녀뎐 길 알ㅣ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其四
當時(당시)예 녀던 길흘몃ㅣ를 려 두고
어듸가 니다가 이제사 도라온고
이제나 도라오니 년듸 마르리
其五
靑山(청산)은 엇뎨야 萬古(만고)에 프르르며
流水(유수)는 엇뎨야 晝夜(주야)애 긋디 아니고
우리도 그치디마라 萬古常靑(만고상청) 리라
其六
愚夫(우부)도 알며 거니 긔 아니 쉬운가
聖人(성인)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