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평가사 2차시험 2과목(2019년 5회) 핵심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손해평가사 2차시험 2과목(2019년 5회) 핵심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통 칙
1. 용어의 정의1
2. 손해평가 업무절차2

Ⅱ. 손해평가 및 보험금 산정
1. 적과전종합방식(Ⅱ포함) 과수품목3
2. 특정위험방식 밭작물 16
3. 종합위험 수확감소보장방식 과수 18
4. 종합위험 및 수확전 종합위험 과실손해보장방식 과수32
5. 종합위험 수확감소보장방식 논작물 (벼, 밀)36
6. 종합위험 수확감소보장방식 밭작물43
7. 종합위험 생산비 보장방식 밭작물48
8. 종합위험 원예시설, 버섯51
9. 농업수입감소보장방식 과수작물56
10. 농업수입감소보장방식 밭작물58
11. 보험금 지급 60
12. 가축재해보험62

별표1-1 사과 배 단감 떫은감 포도(수입포함) 복숭아 자두 밤 무화과67
별표1-2 특정위험방식 밭작물 품목(인삼)67
별표1-3 종합위험방식 과수 품목(참다래, 매실, 대추, 오미자)67
별표1-4 종합위험방식 과수 품목(오디, 복분자, 감귤)68
별표1-5 종합위험방식 논작물 품목(벼, 밀)68
별표1-6 종합위험방식 밭작물 품목(고구마, 양파, 마늘, 옥수수, 양배추)68
별표1-7 종합위험방식 밭작물 품목 (감자, 차, 콩) ※ 수입보장 포함68
별표1-8 생산비보장방식 (고추 메밀 브로콜리 배추 무 단호박 파)69
별표1-9 종합위험방식 과수 품목(유자) 69
별표1-10 무화과 품목 사고발생일에 따른 경과비율69
별표2-1 농작물재해보험 미보상비율 적용표 (감자, 고추 제외 전품목)70
별표2-2 농작물재해보험 미보상비율 적용표 (감자 고추)71
매실 품목별 과실 비대추정지수72

본문내용

표단중, 단보
- 벼 : (표본구간 단위면적당 유효중량 X 표본조사대상면적)
+ (단위면적당 보장수확량 X (타작물 및 미보상 면적 + 기수확면적)
- 밀 : (표본구간 단위면적당 유효중량 X 표본조사대상면적)
+ (단위면적당 평년수확량 X (타작물 및 미보상 면적 + 기수확면적)
* 표본구간 단위면적당 유효중량 = 표본구간 유효중량 / 표본구간 면적
** 표본구간 유효중량 = 표본구간 작물중량 합 X (1-Loss율) 표류 중 일로 일함일기
X {(1 - 함수율) / (1 - 기준함수율)}
※ Loss율 : 7% / 기준함수율 : 메벼 15%, 찰벼 13%, 밀 13%
** 표본구간 면적 = 4포기 길이 X 포기당 간격 X 표본구간 수 면사무소 간 길수
* 표본조사대상면적(표대면) = 실제경작면적 - 타작물 및 미보상면적 - 고사면적 - 기수확면적
* 단위면적당 보장(평년)수확량 = 보장(평년)수확량 / 가입면적 단평 평가
미보상감수량
- 벼 : (보수 - 수 ) X 미보상비율 - 밀 : (평수 - 수) X 미보상비율


전수
가X(피-자)
수확량
- 벼 : 조사대상면적 수확량 조대수 단평 타미기
+ (단위면적당 보장수확량 X (타작물 및 미보상면적 + 기수확면적)
- 밀 : 조사대상면적 수확량
+ (단위면적당 평년수확량 X (타작물 및 미보상면적 + 기수확면적)
* 조사대상면적 수확량 = 작물 중량 X {(1-함수율) / (1-기준함수율)} 조대수 중 일함일기
* 기타 공식은 위 표본조사와 동일
미보상감수량 = 위 표본조사와 동일

이직
가 X 10%
자기부담비율
10%
15%
20%
30%
40%
경작불능보험금
가입금액x45%
가입금액x42%
가입금액x40%
가입금액x35%
가입금액x30%
수확불능보험금
가입금액x60%
가입금액x57%
가입금액x55%
가입금액x50%
가입금액x45%
* 수확불능 = 경작불능 + 15%

재이직
가 X 25% X 면적피해율 (= 피면 / 가면)

수불
자기부담율별 보험금
벼밀
경불
자기부담율별 보험금
6. 종합위험 수확감소보장방식 밭작물
가. 적용대상 : 마늘 양파 고구마 양배추 감자(봄, 가을, 고랭지) 옥수수 콩 차 마파가 고배 감옥에 수감되어 콩차만 먹다
나. 조사방법
구분
대상
시기
표본구간
조사내용
지급사유
보험금
피해사실
확인조사
사고접수
全농지
사고접수
직후
- 보상하는 재해로 인한 피해 여부 확인
- 추가(수확량, 경작불능, 재파종)조사 필요여부판단
마늘
재파종
필요농지
피해사실
확인조사
직후
별표1-7
보손여부, 실제경작면적 조사
1차조사
-표본구간수, 표본구간선정(종방 감안)
-표본구간 길이 및 출현주수 조사 (이랑길이방향 8주 또는 1M)
2차조사 : 재파종 완료 후 이행여부 확인
- 1차와 동일하게 표본구간 선정,
- 표본구간별 이랑길이, 이랑폭, 파종주수
가입금액 X 35% X 표준출현피해율
*표준출현피해율
= (30,000-출현주수) / 30,000
양배추
재정식
필요농지
- 전조사 : 보손, 실제경작
면적, 피해면적
- 후조사 : 재정식 완료여부,
재정식 미이행면적 제외
피해면적 판정 : 고사 또는 살아있으나 수확불능면적
-면적피해율>자기부담율
-재정식한 경우
보험가입금액 X 20% X 면적피해율
*면적피해율 = 피해면적/가입변적
* 1회만 보험금 지급
차 外
경작
불능
필요농지
예상농지
피사직후
또는
접수직후
보손여부,
실제경작면적, 식물체 피해율
경작불능보험금 신청여부
수확량 조사 대상 여부 확인
식물체 피해율 65%이상여부 확인
(65%미만, 65%이상중 미신청 : 수확량조사)
-식물체피해율 65%이상
-계약자가 신청한 경우
가입금액 X 자기부담금별 보험금
전품목
수확량조사
(공통)

수확직전
(차:가능
시기)
별표1-7
별표1-8
별표1-9
보손여부, 조사적기판단/시기결정, 표본구간수/표본구간 선정, 실경면적, 수불면적, 타작물/미보상면적, 기수확면적, 표본구간 면적, 조사방법 결정, 수확량 조사
수확면적률 확인(차만)
수확량조사 적기표 및 표본구간면적조사방법 암기
가입금액X(피해율-자기부담율)
* 피해율 =((평수-수-미보) / 평수
* 감자 =(평수-수-미보
+병충해감수량) /평수
수확량
(표본)
필요농지
표본구간수, 표본구간, 수확량 조사
양파, 마늘 :
비대지수 추정

수확량조사
(전수)
필요농지
전수조사대상농지여부 확인
중량 (전체 무게)
함수비
미보상비율
무게측정 애로시 10포대 이상 선정 측정
함수비 : 10회이상 측정한 평균값
☞ 별표1-7 적용시 : 가입면적 기준으로 표본구간 선정, 10%차이면 실경면적기준 / ☞ 수확량조사 : 사료용 옥수수 제외
♣ 피사결과 추가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 또는 경불조사 결과 수확량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결정된 농지
다. 수확량조사 세부 내용
① 품목별 수확량조사 적기
품목
수확량조사 적기
양파
양파의 비대가 종료된 시점 (식물체의 도복이 완료된 때)
마늘
마늘의 비대가 종료된 시점 (잎과 줄기가 ½~⅔ 황변하여 말랐을 때와 해당 지역의 통상 수확기가 도래하였을 때)
고구마
고구마의 비대가 종료된 시점 (삽식일로부터 120일 이후에 농지별로 적용)
양배추
양배추의 수확 적기 (결구 형성이 완료된 때)
감자 (고랭)
감자의 비대가 종료된 시점 (파종일로부터 110일 이후)
감자 (봄)
감자의 비대가 종료된 시점 (파종일로부터 95일 이후)
감자 (가을)
감자의 비대가 종료된 시점 (파종일로부터 제주지역은 110일 이후, 이외 지역은 95일 이후)↔수입감소는 95일만
옥수수
옥수수의 수확적기 (수염이 나온 후 25일 이후)
차(茶)
조사 가능일 직전 (조사 가능일은 대상 농지에 식재된 차나무의 대다수 신초가 1심2엽의 형태를 형성하며 수확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신초장 4.8cm이상, 엽장 2.8cm이상, 옆폭 0.9cm이상)로 자란 시기를 의미하며 해당 시기가 5월1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5월10일을 기준으로 함)

콩의 수확 적기 (생리적 성숙기로부터 7~14일이 지난 시기)
* 생리적 성숙기 : 콩잎이 누렇게 변하여 떨어지고 꼬투리의 80~ 90% 이상이 고유한 성숙(황색)색깔로 변하는 시기
② 품목별 표본구간 면적조사
  • 가격10,0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19.05.12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8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