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2. 심폐소생술의 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2. 심폐소생술의 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 분당 100회 정도의 속도로 가슴압박을 30회 실시한다. 이때 약 5센치 깊이로 환자의 흉골 아래쪽 부위를 압박해야 한다.
넷째. 가슴압박 30회 실시 후,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림으로서 환자의 기도가 열리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후 환자의 입을 크게 벌려 약 1~2초 정도 숨을 불어넣는데, 이때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해야 한다. 이 과정을 2~3회 반복한다.
출처 : 질병관리본부
다섯째. 인공호흡 이후, 다시 가슴압박 30회를 실시하고 인공호흡 2~3회를 계속해서 반복한다.
여섯째. 심폐소생술 도중,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임이 관찰되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중단하고 환자를 옆으로 돌려 기도가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 다시 환자의 호흡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지속한다.
Ⅲ. 결론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3천명의 환자가 심폐소생술을 받게 된다고 하며, 이중 약 40%의 환자가 다시금 소중한 생명을 지키게 된다고 한다. 심정지 상태에 놓인 환자가 제대로된 심폐소생술만 받는다면, 생존확률이 그만큼 큰 것이다.
Ⅳ. 참고자료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 강인혜, 남윤신 외 3명 저 | 범문에듀케이션 | 2019.03.04.
넷째. 가슴압박 30회 실시 후,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림으로서 환자의 기도가 열리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후 환자의 입을 크게 벌려 약 1~2초 정도 숨을 불어넣는데, 이때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해야 한다. 이 과정을 2~3회 반복한다.
출처 : 질병관리본부
다섯째. 인공호흡 이후, 다시 가슴압박 30회를 실시하고 인공호흡 2~3회를 계속해서 반복한다.
여섯째. 심폐소생술 도중,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임이 관찰되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중단하고 환자를 옆으로 돌려 기도가 막히지 않게 해야 한다. 다시 환자의 호흡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지속한다.
Ⅲ. 결론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3천명의 환자가 심폐소생술을 받게 된다고 하며, 이중 약 40%의 환자가 다시금 소중한 생명을 지키게 된다고 한다. 심정지 상태에 놓인 환자가 제대로된 심폐소생술만 받는다면, 생존확률이 그만큼 큰 것이다.
Ⅳ. 참고자료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 강인혜, 남윤신 외 3명 저 | 범문에듀케이션 | 2019.03.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