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민족의 기원
..........
4)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2.삼국 시대
...........
3)신라의 삼국 통일
4.고려 시대
..........
4)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2.삼국 시대
...........
3)신라의 삼국 통일
4.고려 시대
본문내용
) 침입으로 몰락하고, 고려 북쪽 땅은 원이 지배하는 등 ‘원’의 간섭이 시작되었다.
공민왕은 원에 빼앗긴 북쪽 땅을 되찾아오고,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려고 여러 가지 개혁 정책을 펼쳤지만 실패하였다.
고려 말 중국에 새로 들어선 명나라가 고려의 북쪽 땅을 지배하려고 하자, 권력을 잡고 있던 권문세력(최영 등 친원파)은 이성계를 보내어 명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이성계는 중간에 위화도에서 군대를 되돌린(위화도 회군) 후 우왕과 최영을 쫓아냈다.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들은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데 마지막 걸림돌이었던 정몽주를 제거하고,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인데 왕위를 물려 받고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다.(1392년)
*권문세족
원나라가 고려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원나라를 등에 업고 등장한 친원파 세력들을 권문세족(권문귀족)이라 하였다. 이들은 백성들의 땅을 빼앗기도 하고, 왕을 마음대로 움직이면서 많은 재산을 축척했고, 세력을 키워 나갔다.
*신진 사대부
고려 말에 친원파 권문세족에 대항하면서 새롭게 떠오르던 세력이다. 이들은 당시의 성리학(중국 송나라 때 유학의 한 계통)을 무기 삼아 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권문세족의 부정부패를 신랄하게 비판했었다.
공민왕은 원에 빼앗긴 북쪽 땅을 되찾아오고,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려고 여러 가지 개혁 정책을 펼쳤지만 실패하였다.
고려 말 중국에 새로 들어선 명나라가 고려의 북쪽 땅을 지배하려고 하자, 권력을 잡고 있던 권문세력(최영 등 친원파)은 이성계를 보내어 명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이성계는 중간에 위화도에서 군대를 되돌린(위화도 회군) 후 우왕과 최영을 쫓아냈다.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들은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데 마지막 걸림돌이었던 정몽주를 제거하고,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인데 왕위를 물려 받고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다.(1392년)
*권문세족
원나라가 고려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원나라를 등에 업고 등장한 친원파 세력들을 권문세족(권문귀족)이라 하였다. 이들은 백성들의 땅을 빼앗기도 하고, 왕을 마음대로 움직이면서 많은 재산을 축척했고, 세력을 키워 나갔다.
*신진 사대부
고려 말에 친원파 권문세족에 대항하면서 새롭게 떠오르던 세력이다. 이들은 당시의 성리학(중국 송나라 때 유학의 한 계통)을 무기 삼아 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권문세족의 부정부패를 신랄하게 비판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