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날짜
3. 결과 및 토의
2. 실험날짜
3.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ⅰ)Casein 제거시의 오차
-Casein은 칼슘이온을 붙들고 있는데 등전점에서 분리되지만 분리되지 않은 칼슘이온이 남아 있을 수 있다. Casein에 의해서 형성된 미셀 안에 Ca2+가 완전히 빠져 나오지 못하고 남아있기 때문에 Ca2+ 의 전체적인 양이 이론값보다 작게 된다.
우유 용액을 Casein의 등전점에 가까운 pH로 맞추어주고 (pH meter의 사용) 온도변화에 따른 pH 변화에 유의 하여야 한다. 또한 침전시킬 때 혼합 용액을 섞는다면 침전을 방해하므로 주의한다.
-Casein은 칼슘이온을 붙들고 있는데 등전점에서 분리되지만 분리되지 않은 칼슘이온이 남아 있을 수 있다. Casein에 의해서 형성된 미셀 안에 Ca2+가 완전히 빠져 나오지 못하고 남아있기 때문에 Ca2+ 의 전체적인 양이 이론값보다 작게 된다.
우유 용액을 Casein의 등전점에 가까운 pH로 맞추어주고 (pH meter의 사용) 온도변화에 따른 pH 변화에 유의 하여야 한다. 또한 침전시킬 때 혼합 용액을 섞는다면 침전을 방해하므로 주의한다.
추천자료
환원당정량
[분석화학실험]킬레이트적정
[분석화학실험]침전적정
완충용액 예비 보고서
[분석화학] EDTA 적정실험 - 물속의 금속이론 EDTA에 반영시켜 전체 금속 이온 농도를 구하여...
지하수 내의 Ca2+, Mg2+의 EDTA적정
[분석화학실험] EDTA Titration (우유속의 칼슘정량) 예비레포트
[분석화학실험] Preparing standard solution & Acid-Base Titration(식초 중의 아세트산...
[분석화학실험] Redox titration (Iodine법을 사용한 Vitamin C의 정량) 결과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