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익히게 했다.)
3. story의 level을 상, 중, 하로 나눠 수준을 다양하게 분류하여 모든 아이들이 돌아가며 수준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story (하)를 공부할 경우 (상)수준의 아이들은 스토리에 나오지 않는 얘기라도 그림이나 인물을 보고 스토리를 창작(creation) 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하지 않는 수업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보완을 하여 6월4일 동일한 학급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수업을 재실행 하였다:
자료: story(하) 에 해당하는 동화“Ginger Bread Man”을 가지고 수업 하였다. (쉬운 이야기 자료가 없을 경우 교사나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려 자체 제작 하거나 전체의 동영상 내용 중 쉬운 부분만을 편집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학급: 정자동 B 초등학교 4학년 4반 (중, 하 수준의 아이들)
수업 목표: 이야기를 듣고 스토리를 이해한 후 어휘와 간단한 표현을 이야기 순서에 맞게 말하기((중, 하) 수준에 초점을 둔 수업)
수업 방식:
1. 4명이 한 조가 되어 팀 리더를 정해 놓고 자리 배치를 한다. (팀 리더는 조에서 영어 구사력이 가장 좋은 학생으로 하되 아이들이 가질 수 있는 영어 열등감을 고려하여 리더라 칭하지 않는다.)
2.story(하)“Ginger Bread Man”를 들려준다.(story telling)아이들에게 주요 어휘를 기억하라고 지시한다.
3. 스토리를 다 듣고 난 후 교사가 그림을 제시하면 한 조에서 한 명씩 그림에 해당하는 어휘나 기본적인 표현을 말하게 한다. (하) 수준의 아이들에게 어려운 단어일 경우 스펠링을 제시하며 정확한 발음을 알게 한다. (중, 하) 수준의 아이들이 기본적인 어휘나 표현을 말 하고 난 후 4번째 학생에게 (팀 리더) 조원들에게 그림의 스토리를 1~3개의 문장으로 전개 시킨다.
4. 스토리 전개를 다 하고 난 후 스크립트를보며 복습 한다.
* 수업 변형: 책상 가운데 puppet를 이용하여story에서 나왔단 캐릭터를 흉내 내는 수업을 하면 아이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
결과: 지난 수업에서 소외 되었던 아이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쉬운 어휘나 표현을 말함으로써 영어도 익히고 자신감도 가질 수 있는 수업이었다. 영어에 자신이 없고 사교육을 통해 영어 선행 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이 주가 되는 수업이어서 더욱 의미가 컸다. 마지막 script를 볼 수 있어서 아이들이 더 정확하게 영어 공부를 하고 복습하기에도 효과적이었다.
VIII.결 론
스토리텔링 및 재구성 수업안이 같은 수준의 초등학교 학급에 적용되었고 보완수업을 실행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입력가설 및 암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수준보다는 다소 난이도가 있는 내용이었지만, 학생들이 이야기의 전체 흐름과 다양한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학생들이 전체적인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어서 전체적인 수업을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이끌어내기에는 매우 적절했다. 약간의 문제점들이 발견
3. story의 level을 상, 중, 하로 나눠 수준을 다양하게 분류하여 모든 아이들이 돌아가며 수준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story (하)를 공부할 경우 (상)수준의 아이들은 스토리에 나오지 않는 얘기라도 그림이나 인물을 보고 스토리를 창작(creation) 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하지 않는 수업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보완을 하여 6월4일 동일한 학급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수업을 재실행 하였다:
자료: story(하) 에 해당하는 동화“Ginger Bread Man”을 가지고 수업 하였다. (쉬운 이야기 자료가 없을 경우 교사나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려 자체 제작 하거나 전체의 동영상 내용 중 쉬운 부분만을 편집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학급: 정자동 B 초등학교 4학년 4반 (중, 하 수준의 아이들)
수업 목표: 이야기를 듣고 스토리를 이해한 후 어휘와 간단한 표현을 이야기 순서에 맞게 말하기((중, 하) 수준에 초점을 둔 수업)
수업 방식:
1. 4명이 한 조가 되어 팀 리더를 정해 놓고 자리 배치를 한다. (팀 리더는 조에서 영어 구사력이 가장 좋은 학생으로 하되 아이들이 가질 수 있는 영어 열등감을 고려하여 리더라 칭하지 않는다.)
2.story(하)“Ginger Bread Man”를 들려준다.(story telling)아이들에게 주요 어휘를 기억하라고 지시한다.
3. 스토리를 다 듣고 난 후 교사가 그림을 제시하면 한 조에서 한 명씩 그림에 해당하는 어휘나 기본적인 표현을 말하게 한다. (하) 수준의 아이들에게 어려운 단어일 경우 스펠링을 제시하며 정확한 발음을 알게 한다. (중, 하) 수준의 아이들이 기본적인 어휘나 표현을 말 하고 난 후 4번째 학생에게 (팀 리더) 조원들에게 그림의 스토리를 1~3개의 문장으로 전개 시킨다.
4. 스토리 전개를 다 하고 난 후 스크립트를보며 복습 한다.
* 수업 변형: 책상 가운데 puppet를 이용하여story에서 나왔단 캐릭터를 흉내 내는 수업을 하면 아이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
결과: 지난 수업에서 소외 되었던 아이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쉬운 어휘나 표현을 말함으로써 영어도 익히고 자신감도 가질 수 있는 수업이었다. 영어에 자신이 없고 사교육을 통해 영어 선행 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이 주가 되는 수업이어서 더욱 의미가 컸다. 마지막 script를 볼 수 있어서 아이들이 더 정확하게 영어 공부를 하고 복습하기에도 효과적이었다.
VIII.결 론
스토리텔링 및 재구성 수업안이 같은 수준의 초등학교 학급에 적용되었고 보완수업을 실행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입력가설 및 암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수준보다는 다소 난이도가 있는 내용이었지만, 학생들이 이야기의 전체 흐름과 다양한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학생들이 전체적인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어서 전체적인 수업을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이끌어내기에는 매우 적절했다. 약간의 문제점들이 발견
추천자료
[영어교육]영어교육 스토리텔링(구연동화, 동화구연)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영어교육 스토리...
스토리텔링(동화구연, 구연동화)의 정의와 종류, 스토리텔링(동화구연, 구연동화)의 이론적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말하기교육과 동화활용교육,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구연...
특별보충과정(수업학습)의 정의와 도입배경, 특별보충과정(수업학습)의 연구사례와 연구과정,...
[초등영어] 초등영어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수업 지도기법
영어과교육(영어교육) 활동중심학습,과제중심학습(과업중심학습), 영어과교육(영어교육) 침묵...
영어교육(영어과교육) 침묵식교수법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교육(영어과교육) 활동중심...
영어(영어과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영어과교육) 이야기중심학습(...
영어과, 국어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지도, 수학과, 사회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