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능력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5. 교육에서 창의성과 종합적 이해력과 통찰력, 판단력이 강조되어야 한다.
정보화 시대에서의 전쟁은 정보전쟁이며, 정보전쟁이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벌리는 지식과 창의력과 아이디어의 전개이다.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개인의 창의성과 다양성이다. 또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서는 여러 개념을 연계시킨 이해력과 통찰력이 가장 중요한 것이 된다. 인류의 근본적인 가치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과학기술 문명사회,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평가와 선택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과 판단력을 요구하게 된다. 왜냐하면 과학기술 그 자체는 의사결정의 기준과 규범을 제공 해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6. 지식 기반사회를 주도할 역량 배양의 학교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실)의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시설과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도서실 기능을 단순히 책을 읽는 곳이란 인식은 버리고, 단순 도서비치 기능에서 종합학습 정보센터 역할 수행 체제로 기능을 다양화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영상매체, 인쇄매체, 전자매체 등의 자료 비치와 PC통신 등의 멀티미디어 활용 기반을 점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단순 취미나 흥미, 교양독서에서 교과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독서교육으로 전환 할 수 있도록 정보화 시대의 독서교육은 전 교과, 전 교육과정으로 확대시켜 기본적 학습기능, 필수적 생활기능으로서의 독서 기능 및 태도 육성에 중점을 두고 독서교육이 단순히 과외 활동으로 그치지 않고 정규 교과교육의 핵심적 교육활동으로 자리잡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그 동안 우리가 땀 흘려 쌓은 국가 경쟁력과 산업 생산성의 추락의 원인이 무엇이며 어떻게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은 정부의 각종 규제와 정치적 후진성, 비효율적인 운용시스템, 선진경영기법의 부재, 주먹구구식 경영 등 여러 가지 문제 요인을 지적 할 수 있으나 그 원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선진국과의 지식격차」가 너무도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이 뒤떨어진 국가 경쟁력과 선진국과의 생산성 격차를 해소하는 유일한 수단은 “지식혁명시대”의 흐름을 남들보다 먼저 소화시켜 지식강국이 되어야 한다는 전 국민의 “지식창조”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다. 이에, 우리교육은 새로운 지식기반 사회에서 전개될 학교교육의 전략을 새롭게 수립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21C 지식기반 사회를 맞이하는 학교경영의 방향은 학교와 교사와 학습자라는 종래의 개념을 학습자 중심의 다원적 열린 교육체제로 대전환을 꾀하고, 학교 교육과정은 기초, 기본을 살리고 다학문간(多學問間)의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적이고 역동적인 능력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며, 앞으로는 초중학교에서 컴퓨터 과목을 실과나 기술과목에서만 다룰것이 아니라 교과과정 전반에 PC를 접목시켜 전 과목이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수업이 되도록 교육과정편성운영 및 교수-학습 환경을 전환하여야겠다.
학교 수업의 방향을 실사회 생활에 적응하며, 유용한 지식과 정보의 선택, 처리 능력 및 활용등 문제해결중심 교수-학습 방법으로 전환하여야 하며, 교육평가는 양적 평가에서 질적 평가 중심 평가 체제로 혁신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바램을 수용하고 최신 다중매체와 재정지원을 적정하게 배분하여 고객 만족 중심 학교경영 관리로 지역사회 평생학습의 중심이 되도록 하며, 21C 지식기반 사회를 주도하는 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고지식의 장악을 위해 구도자적 자세로 변화를 선도하는 신지식인으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다 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유형에 따른 교사의 역할-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1호(1998. 6) p.187-209 최 욱(고려대 연구조교수)
교육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교육개혁위원회(1996). (보고서)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교육부(1999.10) - 이돈희, 강인애, 강태중, 김태완, 이무근
한국교육비전 2020-교육전략- 한국교육개발원(1998) - 곽병선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한국직업 능력개발원(1999) - 독일 교육부의 델파이 조사 보고서 -이무근
세계화. 정보화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 교육개혁위원회(1996)
세계화. 정보화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Ⅲ) 교육개혁위원회(1996)
교육부(1995). 고도 정보화사회 대비 교육정보화 종합추진계획(1995- 2003)
한국교육개발원(1995). 정보화시대의 한국교육(특별기획). 교육개발. 95호, 27~69.
5. 교육에서 창의성과 종합적 이해력과 통찰력, 판단력이 강조되어야 한다.
정보화 시대에서의 전쟁은 정보전쟁이며, 정보전쟁이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벌리는 지식과 창의력과 아이디어의 전개이다.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개인의 창의성과 다양성이다. 또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서는 여러 개념을 연계시킨 이해력과 통찰력이 가장 중요한 것이 된다. 인류의 근본적인 가치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과학기술 문명사회,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평가와 선택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과 판단력을 요구하게 된다. 왜냐하면 과학기술 그 자체는 의사결정의 기준과 규범을 제공 해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6. 지식 기반사회를 주도할 역량 배양의 학교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실)의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시설과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도서실 기능을 단순히 책을 읽는 곳이란 인식은 버리고, 단순 도서비치 기능에서 종합학습 정보센터 역할 수행 체제로 기능을 다양화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영상매체, 인쇄매체, 전자매체 등의 자료 비치와 PC통신 등의 멀티미디어 활용 기반을 점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단순 취미나 흥미, 교양독서에서 교과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독서교육으로 전환 할 수 있도록 정보화 시대의 독서교육은 전 교과, 전 교육과정으로 확대시켜 기본적 학습기능, 필수적 생활기능으로서의 독서 기능 및 태도 육성에 중점을 두고 독서교육이 단순히 과외 활동으로 그치지 않고 정규 교과교육의 핵심적 교육활동으로 자리잡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그 동안 우리가 땀 흘려 쌓은 국가 경쟁력과 산업 생산성의 추락의 원인이 무엇이며 어떻게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은 정부의 각종 규제와 정치적 후진성, 비효율적인 운용시스템, 선진경영기법의 부재, 주먹구구식 경영 등 여러 가지 문제 요인을 지적 할 수 있으나 그 원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선진국과의 지식격차」가 너무도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이 뒤떨어진 국가 경쟁력과 선진국과의 생산성 격차를 해소하는 유일한 수단은 “지식혁명시대”의 흐름을 남들보다 먼저 소화시켜 지식강국이 되어야 한다는 전 국민의 “지식창조”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다. 이에, 우리교육은 새로운 지식기반 사회에서 전개될 학교교육의 전략을 새롭게 수립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21C 지식기반 사회를 맞이하는 학교경영의 방향은 학교와 교사와 학습자라는 종래의 개념을 학습자 중심의 다원적 열린 교육체제로 대전환을 꾀하고, 학교 교육과정은 기초, 기본을 살리고 다학문간(多學問間)의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적이고 역동적인 능력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며, 앞으로는 초중학교에서 컴퓨터 과목을 실과나 기술과목에서만 다룰것이 아니라 교과과정 전반에 PC를 접목시켜 전 과목이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수업이 되도록 교육과정편성운영 및 교수-학습 환경을 전환하여야겠다.
학교 수업의 방향을 실사회 생활에 적응하며, 유용한 지식과 정보의 선택, 처리 능력 및 활용등 문제해결중심 교수-학습 방법으로 전환하여야 하며, 교육평가는 양적 평가에서 질적 평가 중심 평가 체제로 혁신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바램을 수용하고 최신 다중매체와 재정지원을 적정하게 배분하여 고객 만족 중심 학교경영 관리로 지역사회 평생학습의 중심이 되도록 하며, 21C 지식기반 사회를 주도하는 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고지식의 장악을 위해 구도자적 자세로 변화를 선도하는 신지식인으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다 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유형에 따른 교사의 역할-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1호(1998. 6) p.187-209 최 욱(고려대 연구조교수)
교육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교육개혁위원회(1996). (보고서)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교육부(1999.10) - 이돈희, 강인애, 강태중, 김태완, 이무근
한국교육비전 2020-교육전략- 한국교육개발원(1998) - 곽병선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한국직업 능력개발원(1999) - 독일 교육부의 델파이 조사 보고서 -이무근
세계화. 정보화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 교육개혁위원회(1996)
세계화. 정보화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Ⅲ) 교육개혁위원회(1996)
교육부(1995). 고도 정보화사회 대비 교육정보화 종합추진계획(1995- 2003)
한국교육개발원(1995). 정보화시대의 한국교육(특별기획). 교육개발. 95호, 27~69.
키워드
추천자료
지식기반사회 교과교육과정 개발방향과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의 비판적 논의
지식기반사회 학교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문제와 Polanyi의 지식이론
평생교육 학습공동체 이념의 구현과 YMCA의 평생교육활동사
[인성교육][인성지도]인성교육(인성지도)의 개관, 인성교육(인성지도)의 개념, 인성교육(인성...
[여성HRD]여성인적자원개발(여성HRD)의 중요성, 여성인적자원개발(여성HRD)의 실태, 여성인적...
대안교육(대안학교)의 정의, 대안교육(대안학교)의 특성, 대안교육(대안학교)의 등장 배경, ...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교육과정(curriculum) 패러다임
[교재요약정리] 교육사회학 - 갈등주의 패러다임 (갈등주의 이론,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패러...
인간과교육)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 및 교육적 시사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