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염, 약물의 영향, 전해질 대사의 이상, 인공심박조율의 기능 확인 등의 진단적인 가치가 있는 비혈관적 검사로 수술이나 마취전, 항암 혹은 약물치료 전에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검사이다.
normal
chest PA
4/8
결핵, 기흉, 이물질, 심장의 형태 확인을 위해 사용
normal
Ultra sonography
타병원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검사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는 간편하고, 검사 시 환자가 편안하며,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영상 검사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검사법이다. 특히 유방, 갑상선, 근골격과 같이 우리 몸의 표면에 위치한 구조를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에 비해 검사 장비를 쉽게 움직일 수 있으며 실제 움직이는 구조물을 볼 수 있어, 중환자나 수술 직후 환자의 중재적 시술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IMP) cystocele
7.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1) 진단 #1 골반과 하복부 염증성 감염과 관련된 급성통증
→ 대상자는 3년 전부터 밑이 빠질 듯한 통증으로 인해 타병원 tx받은 후 본원에서 op recommend 받고 colporrhaphy하기 위해 입원하였다. 대상자는 입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아래가 빠지는 듯한 통증으로 진통제 처방을 원하였으며, 이에 따라 통증 사정하여 비 약물적인 중재 및 약물적인 중재 시행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간호진단 내리게 되었다.
(2) 진단 #2 피부 절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 대상자는 cystocele 진단받은 환자로 4월 9일 anterior colporrhaphy 시행하였으며 수술 과정에서 diamond 형태로 vaginal에 incision 하였고 그에 따른 수술 후 수술부위 감염의 위험성이 있고 대상자가 항생제에 대해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감염을 나타내는 징후를 보여 다음과 같은 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3) 진단 #3 수술 후 회복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대상자는 colporrhapy 과정에서 diamond incision을 내고 방광이 탈출되지 않게 봉합사로 질의 전벽을 성형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로 인해 환자는 회복과정에서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피부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 간호계획과 수행을 통해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자 다음과 같은 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8.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1) 간호진단 / 사정 /목표
일시 : 2019/04/08 ~ 2019/04/17
간호진단: #1 피부 절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자료>
- “수술 부위가 우리한 느낌이 있는데 소독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
- “아래가 따끔따끔 거려요”
“항생제를 굳이 맞을 필요까지 있나요?”
<객관적자료>
- POD 6일째
- 투여약물: Combicin 3g (tid, IV) , ONG Vaginal Soft Capsule (qd, 질정)
- Vaginal Bleeding (수술부위 사정)2019-04-09
13:30 손바닥크기 22:30 패드에 묻어나는 정도
2019-04-10
14:00 Bleeding(-)
2019-04-11
10:00 동전 100원 크기 17:00 Bleeding(-)
- op시 anterior vaginal wall에 diamond incision 넣음
op site로 hemovac drain 중임.
- IV line 24G, foley catheter insert keep state 중임.
- 수술부위 감염징후 사정 : 4/9 (post op.) 발열(+), 발적(-), 부종(+), 통증(+), 기능부전(-)
Lab
4/1
4/9
4/10
WBC
5.46
▲14.39
▲12.33
Neutrophil
64.2
▲86.2
▲82.8
- 수술 후 검사결과(CBC)
활력징후
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감염을 나타내는 검사의 결과가 정상범위 내 유지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수술 후 hemovac 제거 시까지 깨끗한 피부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수술 후 1일 후까지 항생제를 투여하는 목적을 알고 약물투여에 협조적일 것이다.
2. 대상자는 수술 후 1일 후까지 감염의 징후/증상을 알고 설명해 보일 것이다.
3. 대상자는 수술 후 2일 후까지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일 것이다.
2) 간호계획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임상경과를 확인한다.
3. 매 Duty 마다 대상자의 수술부위 통증을 확인한다.
4. 매 duty별로 수술부위 및 배액관 부위를 관찰한다.
(삼출물 유무, 배액관의 색깔, 냄새, 양을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환자에게 처치 및 간호를 제공하기 전, 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다.
2. Dressing 실시 할 시, 무균술을 적용하여 Dressing한다.
3.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한다.
4. 환자에게 깨끗한 환경을 제공한다.
교육적 계획
1. 상처의 오염과 감염 및 외상을 줄이기 위해 환자가 수술부위를 만지거나 드레싱 된 거즈를 열지 못하게 하고, 손 씻기 중요성을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2.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 및 감염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에 대하여 교육한다.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증상이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수행날짜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2019/4/9
~
2019/4/15
1. 진단적 수행
1.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Lab
4/1
4/9
4/10
WBC
5.46
▲14.39
▲12.33
Neutrophil
2.88
64.2
▲86.2
2.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임상경과를 확인하였다.
3. 매 Duty 마다 대상자의 수술부위 통증을 확인하였다.
2019-04-09
14:10
부위 : Vaginal orifice
성격 : 욱신거림, 찌릿함, 따가움
시간적 양상: 지속적 통증호소
NRS : 6/10점
16:40
“너무 욱신거려요”
19:10
“또 아파요.”
22:40
“아이고, 너무 아프다. 진통제 맞을 시간 안
normal
chest PA
4/8
결핵, 기흉, 이물질, 심장의 형태 확인을 위해 사용
normal
Ultra sonography
타병원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검사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는 간편하고, 검사 시 환자가 편안하며,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영상 검사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검사법이다. 특히 유방, 갑상선, 근골격과 같이 우리 몸의 표면에 위치한 구조를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에 비해 검사 장비를 쉽게 움직일 수 있으며 실제 움직이는 구조물을 볼 수 있어, 중환자나 수술 직후 환자의 중재적 시술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IMP) cystocele
7.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1) 진단 #1 골반과 하복부 염증성 감염과 관련된 급성통증
→ 대상자는 3년 전부터 밑이 빠질 듯한 통증으로 인해 타병원 tx받은 후 본원에서 op recommend 받고 colporrhaphy하기 위해 입원하였다. 대상자는 입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아래가 빠지는 듯한 통증으로 진통제 처방을 원하였으며, 이에 따라 통증 사정하여 비 약물적인 중재 및 약물적인 중재 시행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간호진단 내리게 되었다.
(2) 진단 #2 피부 절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 대상자는 cystocele 진단받은 환자로 4월 9일 anterior colporrhaphy 시행하였으며 수술 과정에서 diamond 형태로 vaginal에 incision 하였고 그에 따른 수술 후 수술부위 감염의 위험성이 있고 대상자가 항생제에 대해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감염을 나타내는 징후를 보여 다음과 같은 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3) 진단 #3 수술 후 회복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대상자는 colporrhapy 과정에서 diamond incision을 내고 방광이 탈출되지 않게 봉합사로 질의 전벽을 성형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로 인해 환자는 회복과정에서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피부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 간호계획과 수행을 통해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자 다음과 같은 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8.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1) 간호진단 / 사정 /목표
일시 : 2019/04/08 ~ 2019/04/17
간호진단: #1 피부 절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자료>
- “수술 부위가 우리한 느낌이 있는데 소독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
- “아래가 따끔따끔 거려요”
“항생제를 굳이 맞을 필요까지 있나요?”
<객관적자료>
- POD 6일째
- 투여약물: Combicin 3g (tid, IV) , ONG Vaginal Soft Capsule (qd, 질정)
- Vaginal Bleeding (수술부위 사정)2019-04-09
13:30 손바닥크기 22:30 패드에 묻어나는 정도
2019-04-10
14:00 Bleeding(-)
2019-04-11
10:00 동전 100원 크기 17:00 Bleeding(-)
- op시 anterior vaginal wall에 diamond incision 넣음
op site로 hemovac drain 중임.
- IV line 24G, foley catheter insert keep state 중임.
- 수술부위 감염징후 사정 : 4/9 (post op.) 발열(+), 발적(-), 부종(+), 통증(+), 기능부전(-)
Lab
4/1
4/9
4/10
WBC
5.46
▲14.39
▲12.33
Neutrophil
64.2
▲86.2
▲82.8
- 수술 후 검사결과(CBC)
활력징후
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감염을 나타내는 검사의 결과가 정상범위 내 유지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수술 후 hemovac 제거 시까지 깨끗한 피부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수술 후 1일 후까지 항생제를 투여하는 목적을 알고 약물투여에 협조적일 것이다.
2. 대상자는 수술 후 1일 후까지 감염의 징후/증상을 알고 설명해 보일 것이다.
3. 대상자는 수술 후 2일 후까지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일 것이다.
2) 간호계획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임상경과를 확인한다.
3. 매 Duty 마다 대상자의 수술부위 통증을 확인한다.
4. 매 duty별로 수술부위 및 배액관 부위를 관찰한다.
(삼출물 유무, 배액관의 색깔, 냄새, 양을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1. 환자에게 처치 및 간호를 제공하기 전, 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다.
2. Dressing 실시 할 시, 무균술을 적용하여 Dressing한다.
3.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투여한다.
4. 환자에게 깨끗한 환경을 제공한다.
교육적 계획
1. 상처의 오염과 감염 및 외상을 줄이기 위해 환자가 수술부위를 만지거나 드레싱 된 거즈를 열지 못하게 하고, 손 씻기 중요성을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2.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 및 감염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에 대하여 교육한다.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증상이 있을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수행날짜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2019/4/9
~
2019/4/15
1. 진단적 수행
1.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Lab
4/1
4/9
4/10
WBC
5.46
▲14.39
▲12.33
Neutrophil
2.88
64.2
▲86.2
2.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임상경과를 확인하였다.
3. 매 Duty 마다 대상자의 수술부위 통증을 확인하였다.
2019-04-09
14:10
부위 : Vaginal orifice
성격 : 욱신거림, 찌릿함, 따가움
시간적 양상: 지속적 통증호소
NRS : 6/10점
16:40
“너무 욱신거려요”
19:10
“또 아파요.”
22:40
“아이고, 너무 아프다. 진통제 맞을 시간 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