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암의 정의
<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특성 비교 >
Ⅱ. 본론
1.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1.2) 종양의 병기(cancer staging)
1.3) TNM 분류방법
2.1) 혈액 응고 과정의 3단계
2.2)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의 발생기전을 설명
2.3) DIC 관련 혈액검사
2.4)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2.5) DIC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 설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암의 정의
<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특성 비교 >
Ⅱ. 본론
1.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1.2) 종양의 병기(cancer staging)
1.3) TNM 분류방법
2.1) 혈액 응고 과정의 3단계
2.2)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의 발생기전을 설명
2.3) DIC 관련 혈액검사
2.4)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2.5) DIC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 설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응고인자
◆Ⅰ,Ⅱ,Ⅴ,Ⅷ,Ⅸ,Ⅹ, 과 의 이상여부를
평가하는데 이용. 이들 인자중 어떤 한 인
자의 양이 부족하면 PTT 가 지연.
혈액응고 인자 Ⅱ와Ⅹ은 비타민K에 의존하
여 간에서 생성되므로 간세포 질환이나 담
관폐쇄 질환이 있을 경우 PTT가 지연 될
수 있음
혈소판수치
(platelet count)
150,000~400,000/㎣
◆혈액응고에 있어 필수적
◆100,000/㎣ 이하:혈소판감소증, 출혈 가
능성 있음
◆15,000/㎣ 이하:자연적 출혈로 큰 위험
이 우려됨
◆40,000/㎣ 이상:자연적 출혈은 드물지만 간호시 주의
◆400,000/㎣ 이상:혈소판 증가증, 색전증
발생 가능성 있음
출혈시간
(bleeding time)
1~9분
◆정상치 벗어났을 경우 혈액 응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
2.3) DIC 관련 혈액검사
2.4)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1) 항응고제
▶헤파린 (heparin)
·작용 : 프로트롬빈 활성화체 형성을 억제하여 항트롬빈 작용을 유도
(저분자량 헤파린:수술 후 심부정맥의 혈전증 예방)
·단점 : 이미 형성된 혈액응고를 용해하지는 못하지만 새로운 혈괴 형성 억제
·주의 : 투약 후 약 4~6시간 동안 내적 응고과정을 지연시킴으로써 항응고제로 사용
항응고제 치료 시 적절한 PTT 범위는 정상수치의 1.5~2.5배 (약70초)
PTT가 60초 이하:헤파린 투여량을 늘려야 하며, 100초 이상: 투여량을 줄여야 함.
▶쿠마린(coumarin)
·작용 : 비타민K의 길항약물(비타민K의 환원반응을 봉쇄하여 비타민K 의존 혈액응고요인
인 프로트롬빈 합성을 억제하여 항응고작용을 함), 장기간의 치료에 이용
·단점 : 이미 형성된 혈괴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혈괴와 혈전의 확대 억제 할 수 있음
·주의 : 프로트롬빈 시간검사 결과를 참조하여 양을 적절하게 조정 (정상치의 1.3~1.5배
유지) 만약 쿠마린 유도체의 과잉사용으로 출혈이 일어날 경우 비타민K를 천천히 비경구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출혈 조절▶아스피린(aspirin)
·작용 : 혈액응고과정중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하여 혈전형성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약물
혈소판의 ADP 유리를 억제하고 프로스타글란딘과 트롬복산(thromboxan)의 생성을 억제함
으로써 혈소판응집 억제
·단점 : 수시간 내에 체내에서 배설되나 혈소판에 대한 작용은 불가역성이어서 그 혈소판
이 생존하는 동안 지속
·주의점 : 보통 용량의 아스피린을 투여시 항혈전작용은 약물투여 중지 후 수일간 지속
인공심장판막 환자에 항응고제인 와파린(wafarin)과 아스피린을 병용함으로써 혈전-색전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킴.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체
·작용 :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활성화하여 섬유소를 용해시킴 (급성심근경색, 급성
의 허혈성 뇌졸중과 동맥폐색일 때 사용)
종류;우로키나아제(urokinase),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주의 :
우로키나제;출혈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어 외상, 창상, 임신등의 환자에게 사용 금지
스트렙토키나아제:알레르기를 일으켜 발열 및 피부발진,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나타날 수 있다.
2) 출혈 방지 약물
▶섬유소(fibrin) : 섬유소와 같이 단백질망을 형성하여 혈액응고를 촉진하는 약물 (젤라틴스펀지(gelatine sponge)와 하이만 섬유소 거품(hyman fibrin foam), 옥시셀(oxycel)등
▶프로타민 설페이트(protamine sulfate) : 프로타민 설페이트는 헤파린과 이온결합을 하여
안정성 복합물을 형성하여 헤파린의 항응고박용 봉쇄
▶비타민K : 혈액응고과정에서 비타민K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나 지용성이라는 특성
◆Ⅰ,Ⅱ,Ⅴ,Ⅷ,Ⅸ,Ⅹ, 과 의 이상여부를
평가하는데 이용. 이들 인자중 어떤 한 인
자의 양이 부족하면 PTT 가 지연.
혈액응고 인자 Ⅱ와Ⅹ은 비타민K에 의존하
여 간에서 생성되므로 간세포 질환이나 담
관폐쇄 질환이 있을 경우 PTT가 지연 될
수 있음
혈소판수치
(platelet count)
150,000~400,000/㎣
◆혈액응고에 있어 필수적
◆100,000/㎣ 이하:혈소판감소증, 출혈 가
능성 있음
◆15,000/㎣ 이하:자연적 출혈로 큰 위험
이 우려됨
◆40,000/㎣ 이상:자연적 출혈은 드물지만 간호시 주의
◆400,000/㎣ 이상:혈소판 증가증, 색전증
발생 가능성 있음
출혈시간
(bleeding time)
1~9분
◆정상치 벗어났을 경우 혈액 응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
2.3) DIC 관련 혈액검사
2.4)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1) 항응고제
▶헤파린 (heparin)
·작용 : 프로트롬빈 활성화체 형성을 억제하여 항트롬빈 작용을 유도
(저분자량 헤파린:수술 후 심부정맥의 혈전증 예방)
·단점 : 이미 형성된 혈액응고를 용해하지는 못하지만 새로운 혈괴 형성 억제
·주의 : 투약 후 약 4~6시간 동안 내적 응고과정을 지연시킴으로써 항응고제로 사용
항응고제 치료 시 적절한 PTT 범위는 정상수치의 1.5~2.5배 (약70초)
PTT가 60초 이하:헤파린 투여량을 늘려야 하며, 100초 이상: 투여량을 줄여야 함.
▶쿠마린(coumarin)
·작용 : 비타민K의 길항약물(비타민K의 환원반응을 봉쇄하여 비타민K 의존 혈액응고요인
인 프로트롬빈 합성을 억제하여 항응고작용을 함), 장기간의 치료에 이용
·단점 : 이미 형성된 혈괴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혈괴와 혈전의 확대 억제 할 수 있음
·주의 : 프로트롬빈 시간검사 결과를 참조하여 양을 적절하게 조정 (정상치의 1.3~1.5배
유지) 만약 쿠마린 유도체의 과잉사용으로 출혈이 일어날 경우 비타민K를 천천히 비경구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출혈 조절▶아스피린(aspirin)
·작용 : 혈액응고과정중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하여 혈전형성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약물
혈소판의 ADP 유리를 억제하고 프로스타글란딘과 트롬복산(thromboxan)의 생성을 억제함
으로써 혈소판응집 억제
·단점 : 수시간 내에 체내에서 배설되나 혈소판에 대한 작용은 불가역성이어서 그 혈소판
이 생존하는 동안 지속
·주의점 : 보통 용량의 아스피린을 투여시 항혈전작용은 약물투여 중지 후 수일간 지속
인공심장판막 환자에 항응고제인 와파린(wafarin)과 아스피린을 병용함으로써 혈전-색전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킴.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체
·작용 :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활성화하여 섬유소를 용해시킴 (급성심근경색, 급성
의 허혈성 뇌졸중과 동맥폐색일 때 사용)
종류;우로키나아제(urokinase),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주의 :
우로키나제;출혈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어 외상, 창상, 임신등의 환자에게 사용 금지
스트렙토키나아제:알레르기를 일으켜 발열 및 피부발진,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나타날 수 있다.
2) 출혈 방지 약물
▶섬유소(fibrin) : 섬유소와 같이 단백질망을 형성하여 혈액응고를 촉진하는 약물 (젤라틴스펀지(gelatine sponge)와 하이만 섬유소 거품(hyman fibrin foam), 옥시셀(oxycel)등
▶프로타민 설페이트(protamine sulfate) : 프로타민 설페이트는 헤파린과 이온결합을 하여
안정성 복합물을 형성하여 헤파린의 항응고박용 봉쇄
▶비타민K : 혈액응고과정에서 비타민K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나 지용성이라는 특성
추천자료
[2015기초간호과학]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관련 4가지형태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
[기초간호학 공통] 1.면역에 관여 세포, 면역과 관련 4가지 형태 과민반응 특징과 질환 및 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 설명, 면역 과민반응 특징 주요질환, 4가지형태의 과민...
1. 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2) 면역과 관련하여 4가지 형태의...
기초간호과학 공통-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과 전신영향종양의 병기TNM 분류방법혈액응...
[기초간호과학 공통] 1 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무엇인지 2) 종양...
기초간호과학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과 전신영향 종양의 병기 TNM분류방법 혈액응고...
기초간호과학-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종양의 병기TNM 분류방법 혈액응고과정 3단계 범발...
기초간호과학)1 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무엇인지 2) 종양의 병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