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한은행 기업소개
(1) 기업개요
(2) 경영철학
2. 은행 산업환경분석
3. 신한은행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신한은행 경영전략
(1) 고객만족경영
(2) 서비스전략
(3) 사회공헌활동 (CSR전략)
5. 신한은행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향후방향제시
(1) 기업개요
(2) 경영철학
2. 은행 산업환경분석
3. 신한은행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신한은행 경영전략
(1) 고객만족경영
(2) 서비스전략
(3) 사회공헌활동 (CSR전략)
5. 신한은행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향후방향제시
본문내용
신한은행
-기업분석
-SWOT분석
-경영전략
-마케팅전략
-향후방향제시
INDEX
1. 신한은행 기업소개
(1) 기업개요
(2) 경영철학
2. 은행 산업환경분석
3. 신한은행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신한은행 경영전략
(1) 고객만족경영
(2) 서비스전략
(3) 사회공헌활동 (CSR전략)
5. 신한은행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향후방향제시
1. 신한은행 기업소개
(1) 기업개요
1982년 7월 창립된 신한은행은 탄탄한 금융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금융 업계의 후발주자라는 불리한 조건에서도 짧은 기간에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다. 신한은행 본점은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2가 120번지에 있고, 전국에 영업점 878개와 해외 20여개국에 163개의 지점을 운영중이며 신한은행의 주요 사업으로 은행업법에 의한 은행업무 및 신탁업무·외국환업무를 취급하고 있다.
(2) 경영철학
1) 인과 의(仁과 義)
(CEO의 경영 원칙과 기준이 되는 철학)
- 인과의를 원칙과 기준으로 함
- 건전한 기업문화를 조성
- 가장 신뢰받는 초우량 은행으로 성장추구
2) 상하동욕자승(上下同欲子)
(신한을 이끄는 리더로서의 철학)
- 행원부터 CEO까지 같은 이상과비전을 가짐
- 하나가 되어 SHB의 꿈과 비전을 실현
3) 공의
(기업 시민으로서 사회책임을 완수하기 위한 철학)
- 고객과 사회 모두에게 이익을 드릴 수 있는 사회 책임을 완수
2. 은행산업 환경분석
(1) 정치적 환경
북한 - 국가보안 차원 (전쟁이라는 위험요소)
외국에서의 투자율이 낮아짐, 북한의 개성공단 등, 은행에서 투자한 공단의 폐업 etc
우선 은행의 입장에서 본다면 외국에서의 투자(예치된)자금들이 잇을 것 입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더욱 불안해진 북한의 위험 때문에 혹시라도 전쟁이 나기라도 하면 자신들의 돈은 바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돈을 맡기진 않겠죠. 그리고 맡겨진 돈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 때문에 예금을 한꺼번에 다 빼가게 된다면, 은행에서 당장 지급해줄 현금의 부족으로 인해 보유 현금 부족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성공단도 은행의 입장에서 본다면 돈을 빌려 줬는데 수익성악화나 최악의 경우 부도가 발생하게 된다면 이를 회수할 길이 없어지게 되므로 어떻게 본다면 북한이 외부 환경 중에서 제일 위험한 존재일수 있습니다.
(2) 경제적 환경
돈의 흐름이 흔행의 예금에서 증권사의 CMA, 펀드로 옮겨감
1) 이자율 - 이자율 ↑ 예금 시 은행 측 손해
이자율 ↑ 대출 시 은행 측 이익 ≫ 예대금리 조정
현재,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이자율을 낮추는 추세
이자율이 오른다면 예금시 벌어들이는 이자가 많아지므로 은행입장에서는 나가는 돈이 늘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은행이 빌려준돈에서도 이자를 벌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예대금리차이를 조정하는것이 문제가 되겠고 너무 차이가 나버리면 안좋겠죠. 아무래도 돈을 다루다 보니 밀접한 관련있는 이자율에 민감합니다. 요즘은 경기가 좋지않기 때문에 이자율을 국제적으로 낮추는 추세이다. 이 때문에 은행에서는 예금등에 들어있는돈이 적은편임
2) 거래기업의 도산 → 부실채권이 늘어남
BIS 비율 (자기자본비율) 최소 8% 이상
BIS자기자본비율 [BIS capital adequacy ratio]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국제결제은행)가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로 1988년 7월 각국 은행의 건전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최소 자기자본비율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적용대상은행은 위험자산에 대하여 최소 8% 이상의 자기자본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즉, 은행이 거래기업의 도산으로 부실채권이 갑자기 늘어나 경영위험에 빠져들게 될 경우 최소 8% 정도의 자기자본을 가지고 있어야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자본비율은 8% 이상이어야 하며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100 > 8%
BIS 비율을 높이려면 위험자산을 줄이거나 자기자본을 늘려야 하는데 위험자산을 갑자기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자기자본을 늘려 BIS 비율을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BIS 비율이 떨어지면 은행의 신인도 하락으로 고객 이탈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은행간 합병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은행들은 BIS 비율 유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3)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빠져나감
- 대출에 필요한 자금을 시장성 조달에 의존
(국민은행은 지난 2분기 대출을 3.2%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시장성 조달 (CD, RP 사채)비중이 1분기 21.3%에서 2분기 23.4%로 크게 확대. 3분기에도 대출 증가율이 2분 기 수준을 넘어 설 것으로 보여 시장성 조달 비중이 추가로 확대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4) 부실금융 기관의 퇴출 - IMF 로 인한 정부 주도의 금융기관 구조조정
(3) 사회. 문화적 환경
1) 은행의 대형화 가속화
2) 겸업화의 확대 - (증권사, 보험사, 업무제휴)→ 고객들에게 모든 금융에 대한 one-stop service를 제공
1),2) 은행권 비중의 증가 - 퇴출과 합병에 의한 거대 은행의 탄생에 의해서 발생
3) 시장개방→ 금융업에 대한 규제 완화로 인한 해외 금융기관들의 진입
3. 신한은행 SWOT분석
(1) Strength
① 소규모 인력을 통한 최대효과 창출
② 국내 은행업계 2위의 자산 및 고객 보유
③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 사회책임보고서 발간, 신한은행 봉사단 운영,
아름다운 은행 사이트 개설(www.beautifulbank.co.kr)
(2) Weakness
① 조흥은행과의 M&A 후유증- 2002년 조흥은행은 정부와
-기업분석
-SWOT분석
-경영전략
-마케팅전략
-향후방향제시
INDEX
1. 신한은행 기업소개
(1) 기업개요
(2) 경영철학
2. 은행 산업환경분석
3. 신한은행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신한은행 경영전략
(1) 고객만족경영
(2) 서비스전략
(3) 사회공헌활동 (CSR전략)
5. 신한은행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향후방향제시
1. 신한은행 기업소개
(1) 기업개요
1982년 7월 창립된 신한은행은 탄탄한 금융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금융 업계의 후발주자라는 불리한 조건에서도 짧은 기간에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다. 신한은행 본점은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2가 120번지에 있고, 전국에 영업점 878개와 해외 20여개국에 163개의 지점을 운영중이며 신한은행의 주요 사업으로 은행업법에 의한 은행업무 및 신탁업무·외국환업무를 취급하고 있다.
(2) 경영철학
1) 인과 의(仁과 義)
(CEO의 경영 원칙과 기준이 되는 철학)
- 인과의를 원칙과 기준으로 함
- 건전한 기업문화를 조성
- 가장 신뢰받는 초우량 은행으로 성장추구
2) 상하동욕자승(上下同欲子)
(신한을 이끄는 리더로서의 철학)
- 행원부터 CEO까지 같은 이상과비전을 가짐
- 하나가 되어 SHB의 꿈과 비전을 실현
3) 공의
(기업 시민으로서 사회책임을 완수하기 위한 철학)
- 고객과 사회 모두에게 이익을 드릴 수 있는 사회 책임을 완수
2. 은행산업 환경분석
(1) 정치적 환경
북한 - 국가보안 차원 (전쟁이라는 위험요소)
외국에서의 투자율이 낮아짐, 북한의 개성공단 등, 은행에서 투자한 공단의 폐업 etc
우선 은행의 입장에서 본다면 외국에서의 투자(예치된)자금들이 잇을 것 입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더욱 불안해진 북한의 위험 때문에 혹시라도 전쟁이 나기라도 하면 자신들의 돈은 바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돈을 맡기진 않겠죠. 그리고 맡겨진 돈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 때문에 예금을 한꺼번에 다 빼가게 된다면, 은행에서 당장 지급해줄 현금의 부족으로 인해 보유 현금 부족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성공단도 은행의 입장에서 본다면 돈을 빌려 줬는데 수익성악화나 최악의 경우 부도가 발생하게 된다면 이를 회수할 길이 없어지게 되므로 어떻게 본다면 북한이 외부 환경 중에서 제일 위험한 존재일수 있습니다.
(2) 경제적 환경
돈의 흐름이 흔행의 예금에서 증권사의 CMA, 펀드로 옮겨감
1) 이자율 - 이자율 ↑ 예금 시 은행 측 손해
이자율 ↑ 대출 시 은행 측 이익 ≫ 예대금리 조정
현재,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이자율을 낮추는 추세
이자율이 오른다면 예금시 벌어들이는 이자가 많아지므로 은행입장에서는 나가는 돈이 늘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은행이 빌려준돈에서도 이자를 벌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예대금리차이를 조정하는것이 문제가 되겠고 너무 차이가 나버리면 안좋겠죠. 아무래도 돈을 다루다 보니 밀접한 관련있는 이자율에 민감합니다. 요즘은 경기가 좋지않기 때문에 이자율을 국제적으로 낮추는 추세이다. 이 때문에 은행에서는 예금등에 들어있는돈이 적은편임
2) 거래기업의 도산 → 부실채권이 늘어남
BIS 비율 (자기자본비율) 최소 8% 이상
BIS자기자본비율 [BIS capital adequacy ratio]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국제결제은행)가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로 1988년 7월 각국 은행의 건전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최소 자기자본비율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적용대상은행은 위험자산에 대하여 최소 8% 이상의 자기자본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즉, 은행이 거래기업의 도산으로 부실채권이 갑자기 늘어나 경영위험에 빠져들게 될 경우 최소 8% 정도의 자기자본을 가지고 있어야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자본비율은 8% 이상이어야 하며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100 > 8%
BIS 비율을 높이려면 위험자산을 줄이거나 자기자본을 늘려야 하는데 위험자산을 갑자기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자기자본을 늘려 BIS 비율을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BIS 비율이 떨어지면 은행의 신인도 하락으로 고객 이탈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은행간 합병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은행들은 BIS 비율 유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3)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빠져나감
- 대출에 필요한 자금을 시장성 조달에 의존
(국민은행은 지난 2분기 대출을 3.2%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시장성 조달 (CD, RP 사채)비중이 1분기 21.3%에서 2분기 23.4%로 크게 확대. 3분기에도 대출 증가율이 2분 기 수준을 넘어 설 것으로 보여 시장성 조달 비중이 추가로 확대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4) 부실금융 기관의 퇴출 - IMF 로 인한 정부 주도의 금융기관 구조조정
(3) 사회. 문화적 환경
1) 은행의 대형화 가속화
2) 겸업화의 확대 - (증권사, 보험사, 업무제휴)→ 고객들에게 모든 금융에 대한 one-stop service를 제공
1),2) 은행권 비중의 증가 - 퇴출과 합병에 의한 거대 은행의 탄생에 의해서 발생
3) 시장개방→ 금융업에 대한 규제 완화로 인한 해외 금융기관들의 진입
3. 신한은행 SWOT분석
(1) Strength
① 소규모 인력을 통한 최대효과 창출
② 국내 은행업계 2위의 자산 및 고객 보유
③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 사회책임보고서 발간, 신한은행 봉사단 운영,
아름다운 은행 사이트 개설(www.beautifulbank.co.kr)
(2) Weakness
① 조흥은행과의 M&A 후유증- 2002년 조흥은행은 정부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