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직이론 중 현대적 조직이론에 속하는 목표관리론(MBO)과 총체적품질관리론(TQM)에 대해 서술하고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적용의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직이론 중 현대적 조직이론에 속하는 목표관리론(MBO)과 총체적품질관리론(TQM)에 대해 서술하고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적용의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목표관리
1. 목표관리론
2. 목표관리론을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할 때의 유용성
3. 목표관리론을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할 때의 한계점

II. 총체적 품질관리
1. 총체적 품질관리론
2. 사회복지조직에서의 TQM
3. 다른 조직이론과 TQM의 차이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M의 차이점
한편, TQM은 다른 이론과 일정부분 차이점을 보이는데, 앞에서 소개한 MBO와 비교할 때, MBO는 조직단위별 통제와 성취에 역점을 두는 내향적 관심을 두며, 상대적으로 수량적 목표와 단기적 시간관을 갖는다. 반면, TQM은 고객의 필요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는 외향적 관심을 두며, 상대적으로 질적 목표와 장기적 시간관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점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전통적 관리 이론과 비교할 때, 전통적 관리 이론은 관리자와 전문가에 의한 고객의 수요를 결정하고, 기준범 위 내 에서 결점을 용인하며, 직감에 의한 의사결정을 하고, 사후적 통제를 하며, 단기적 계획을 세우고, 개인적 업무수행을 대상으로 한 관리를 하며, 현상유지의 성격을 갖고, 계선적 조직구조를 띤다. 반면, TQM은 상대적으로 고객 에 의한 수요결정을 하고, 결점에 대해서는 용인이 불가하며, 과학적 기법에 의한 의사결정을 하고, 사전적 통제를 하며, 장기적 계획을 세우고, 집단적 업무수행을 대상으로 한 관리를 하며, 개혁주의적 성향이 있고, 분권적 조직구조를 갖는 점 등이 차이점으로 나타난다.
어쨌든 TQM은 고객 중심주의, 통합주의, 인간주의, 총체주의, 합리주의, 무결점주의, 그리고 개혁주의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조직사회에서 요청받는 것이라는 점 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결점발생을 두려워하여 조직구성원이 꺼리는 문제 등은 한계로 작용한다. 한편, TQM을 사회복지조직 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사기업과 비교하면 사회복지조직의 품질을 명확히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점, 상대적으로 비시장적 비경쟁성으로 말미암아 TQM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11.03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16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