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종업계의 3개 기업을 정함(1위 기업,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산업평균에 가까운 2개 기업, 총 3개) ex) 삼양라면(동종 1위), 오뚜기, 농심 / 3개 기업에 대해 2,3,4번을 작성
2. 재무비율 수치 (최근년도 2018년)
3. 추세분석 ( 최근 3개연도 - 그래프) 26
4. 분석, 결론, 제언(제안)
2. 재무비율 수치 (최근년도 2018년)
3. 추세분석 ( 최근 3개연도 - 그래프) 26
4. 분석, 결론, 제언(제안)
본문내용
하여 영업이익보다 높게 나왔다. 자기자본 이익률을 보면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나타내지는 지표로서 GS홈쇼핑의 경우는 12%를 기록하였고 업계 평균은 8% 미만으로 나타났다. 총자산 이익률 역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사업에 이용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GS홈쇼핑은 9.5%를 나타낸 반면 일반 기업은 평균 5% 미만을 보였다.
2. 최근 3년도 추세 분석
(1) GS홈쇼핑
GS홈쇼핑의 수익성지표를 보면 16년부터 18년까지 매출액 자체는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1조원 수준의 매출규모를 보이는 반면 이익률에서는 3% 이상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업 구조 등 개선을 통해 수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여진다. 투자 수익률 측면에서 봐도 당기순이익 변동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에 따른 ROE, ROA, ROIC 등의 투자 수익률에는 큰 변동이 없이 미미한 수준이다. 주당 지표 중 주요 항목인 EPS와 PER를 보면 당기순이익/총주식수인 EPS는 큰 변화의 폭이 없지만 주가/EPS를 나타내는 PER는 점차 떨어지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동종업계 평균이 12.26이고 GS홈쇼핑이 8.8인 것을 봤을 때 주가가치가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2) NS쇼핑
NS쇼핑은 적게나마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매출을 키우는 반면 이익률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광고 선전비 등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과 좋은 제품을 소싱하면서 지급수수료 등의 비용이 많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투자수익률 수치도 조금씩 하락세이지만 투자 지표를 보면 BPS(주당순자산), PER 등 기업 가치가 계속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3) K쇼핑(KTH)
K쇼핑은 매출액이 큰 폭으로 상승중이다. 영업이익률도 하락세에서 점차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을 봤을 때 시장 초기 진입 이후 공격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나름 성과를 거두는 것을 볼 수 있다. 투자수익률 면에서는 아직 당기순이익이 저조하면서 투자수익률 자체는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BPS, SPS 등 주가가치가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또 PER가 동종업계 평균 12배인점을 감안하면 약 195배로 기업 가치가 조금 과대 계상되어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사업 성장가도에 있는 기업이지만 낮은 수익률로 리스크를 안고 있다.
참고문헌,
NAVER금융, https://finance.naver.com/
2. 최근 3년도 추세 분석
(1) GS홈쇼핑
GS홈쇼핑의 수익성지표를 보면 16년부터 18년까지 매출액 자체는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1조원 수준의 매출규모를 보이는 반면 이익률에서는 3% 이상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업 구조 등 개선을 통해 수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여진다. 투자 수익률 측면에서 봐도 당기순이익 변동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에 따른 ROE, ROA, ROIC 등의 투자 수익률에는 큰 변동이 없이 미미한 수준이다. 주당 지표 중 주요 항목인 EPS와 PER를 보면 당기순이익/총주식수인 EPS는 큰 변화의 폭이 없지만 주가/EPS를 나타내는 PER는 점차 떨어지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동종업계 평균이 12.26이고 GS홈쇼핑이 8.8인 것을 봤을 때 주가가치가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2) NS쇼핑
NS쇼핑은 적게나마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매출을 키우는 반면 이익률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광고 선전비 등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과 좋은 제품을 소싱하면서 지급수수료 등의 비용이 많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투자수익률 수치도 조금씩 하락세이지만 투자 지표를 보면 BPS(주당순자산), PER 등 기업 가치가 계속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3) K쇼핑(KTH)
K쇼핑은 매출액이 큰 폭으로 상승중이다. 영업이익률도 하락세에서 점차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을 봤을 때 시장 초기 진입 이후 공격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나름 성과를 거두는 것을 볼 수 있다. 투자수익률 면에서는 아직 당기순이익이 저조하면서 투자수익률 자체는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BPS, SPS 등 주가가치가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또 PER가 동종업계 평균 12배인점을 감안하면 약 195배로 기업 가치가 조금 과대 계상되어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사업 성장가도에 있는 기업이지만 낮은 수익률로 리스크를 안고 있다.
참고문헌,
NAVER금융, https://finance.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