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토사면 문제점 및 대책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절토사면 문제점 및 대책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깎기비탈면 붕괴원인 및 형태
1.1 토사, 리핑암 비탈면의 붕괴원인 및 형태
1.1.1 붕괴원인
1.1.2 붕괴형태
1.1.3 지반조건에 따른 비탈면활동파괴형상

1.2 발파암의 붕괴원인 및 형태
1.2.1 퇴적암(이암, 셰일) 비탈면의 붕괴원인
1.2.2 화성암 및 변성암 비탈면의 붕괴원이 및 형태

1.3 화성암, 변성암 비탈면의 붕괴원인 및 형태
1.3.1 붕괴원인
1.3.2 붕괴형태

2. 깎기비탈면 붕괴에 따른 문제점 및 사례
2.1 토사, 리핑암 비탈면의 문제점 및 사례
2.1.1 원호파괴 발생사례
2.1.2 평면형파괴 발생사례

2.2 퇴적암 비탈면의 문제점 및 사례
2.2.1 이암, 셰일구간의 평면파괴 사례
2.2.2 셰일과 사암에서의 차별풍화로 인한 붕괴 사례
2.2.3 탄질셰일 분포구간의 원호파괴 사례

2.3 화성암, 변성암 비탈면의 문제점 및 사례
2.3.1 편마암 비탈면의 단층에 의한 평면파괴 사례
2.3.2 편마암 비탈면의 절리에 의한 평면파괴 사례
2.3.3 화강암 비탈면의 단층에 의한 평면 및 전도파괴 사례

3. 비탈면 보강대책공법
3.1 토사 비탈면 보강대책공법 비교

3.2 토사 비탈면 보강대책공법
3.2.1 쐐기식 네일링 공법
3.2.2 압력식 네일링 공법
3.2.3 FRP 보강그라우팅 공법
3.2.4 억지 말뚝 공법

3.3 암반 비탈면 보강대책공법 비교

3.4 암반 비탈면 보강대책공법
3.4.1 AAM 앵커 공법
3.4.2 SEC 압축형 앵커 공법
3.4.3 Rock Bolt 공법
3.4.4 PAP 옹벽 공법
3.4.5 PEM 옹벽 공법

3.5 비탈면 보호공법
3.5.1 적용기준
3.5.2 배수공법
3.5.3 블록공법 및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3.5.4 식생공법
3.5.5 낙석 제어공법

본문내용

긴장재 항복하중의 0.9배 이하로 함
확인시험 : 앵커 설치 20개소당 1개소를 시행하며 하중의 크기는 인장시험보다 조금 작게 함
적용지반
토사, 풍화암, 연/경암
3.5 비탈면 보호공법
비탈면보호공법은 안전율을 유지시키는 공법을 말한다. 평상시 안정한 비탈면이라도 여러가지 자연적 원인에 의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이 감소되어 결국 비탈면이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려면 자연적 요인으로부터 비탈면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예방하여 비탈면을 보호하여야 한다.
3.5.1 적용기준
1) 녹화설계 일반
○ 비탈면 녹화설계는 환경친화적이면서 비탈면의 안정성 유지, 토양 유실방지, 경관복원, 자연식생천이 유도, 이산화탄소 저감에 유리한 식생구조를 조성하기 위해 자연환경, 토양환경, 지질 및 토질(암질) 특성, 식생기반재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한다. 또한 설계시 기본적으로 지역 환경에 대한 선행조사, 분석, 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녹화지역구분과 생태자연도의 등급에 따라 설정된 비탈면 복원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녹화공법을 설계한다.
○ 도로비탈면 녹화설계는 「그림 3-1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를 참고하여 적합한 녹화공법을 선정한다. 선정절차에서 제시한 공법은 일반적인 것으로써 설계 시에는 지역 특성에 부합되는 다양한 녹화공법을 검토하여 적합한 공법으로 설계해야 한다. 다만, 쌓기 비탈면은「그림 3-1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에 제시한 일반적인 공법을 설계에 적용한다.
○ 절리, 풍화가 없고 붕락의 위험이 없는 양호한 암반비탈면은 녹화공법을 적용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보전하거나 덩굴식물식재를 적용한다. 다만, 암질이 양호한 지역이더라도 자연경관복원형의 복원목표지역과 도심지 미관이 요구되는 지역에서는 비탈면 녹화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 붕락의 위험이 없는 양호한 암반비탈면에 덩굴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비탈면 주변과 비탈면에 침입한 나무를 감고 올라가면서 경관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암질이 양호한 지역 덩굴식물식재 모형도」와 같은 형태로, 암반비탈면 맨 아랫단에, 제한적인 범위에서, 식재한다. 특히, 덩굴식물 뿌리로 인해 암반의 균열 우려가 염려되는 곳과 자연경관복원의 복원목표 적용지역에서는 등나무 등의 덩굴식물식재를 금한다.
비탈면의 녹화 모형도
일반적인 깎기지역 비탈면녹화 모형도
암질이 양호한 지역 덩굴식물 식재 모형도
2)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
[그림 3-1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절차]
※ 상기공법은 토질특성과 경사도에 따라 일반적인 공법을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이외에도 식생매트, 식생네트, 자생종 포트묘식재+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표층토 활용공법, 식물발생재 활용공법, 친환경소재 활용공법, 조경수 식재공법 등 다양한 녹화공법이 있으며 리핑암 풍화암구간의 거적덮기와 종자뿜어붙이기는 암 풍화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 가능한 공법이다. 식재는 초본류 식재, 초본관목류 식재, 목본류 식재 등이 있다.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두께도 일반적인 값을 제시한 것이며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정하게 설계한다.
3) 비탈면 녹화 시공두께 적용기준
시공두께
적 용 대 상 지 역
비 고
T=1㎝
구배 1:1.2 이상의 토사, 견질토사, 풍화토
얇은식생기반재취부공법
T=1∼2㎝
구배 1:1.2 이하의 토사, 견질토사, 풍화토
T=1∼3㎝
구배 1:1.0 이상의 리핑암, 풍화암
T=5㎝ 미만
구배 1:1.0 이하의 리핑암, 풍화암
T=5∼15㎝
구배 1:1.0 이하의 신성암, 특수암, 이암 등
두꺼운식생기반재취부공법
T=5∼15㎝
구배 1:0.7 이상의 발파암
T=5∼15㎝
구배 1:0.7 이하의 발파암
T=10㎝ 이상
구배 1:0.7 이하의 숏크리트 등
3.5.2 배수공법
1) 지표수 배제
구 분
산마루측구
소단배수로
수직도수로
개요도
공법개요
상부자연비탈면의 지표수가 비탈면내로 침투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함.
절토비탈면 끝에서 2m정도 떨어진 지점에 설치하며 측구와 지표는 반드시 밀착시켜야 함.
절취비탈면에 흐르는 빗물이나 용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폭이 3m 이상인 넓은 소단에 설치함.
절취비탈면 상부 또는 비탈면내 집수된 물을 수로 또는 도로 외부로 유출시킴.
대규모 비탈면인 경우 연장 100m 간격으로 설치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원칙으로 함.
2) 지하수 배제
구 분
수평 배수공
개요도
공법개요
비탈면이나 옹벽의 배면에 과도한 수압이 걸리지 않도록 지하수를 유도 배수하는 공법
적용범위
지하수위가 높거나 수압이 큰 경우
암반비탈면에 절리를 따라 용출수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
표면보호공(숏크리트) 등으로 인해 지하수의 유도 배수가 필요한 경우
적용지반
토사, 풍화암, 연/경암
3.5.3 블록공법 및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구 분
CON\'C 격자블럭
섬유대 몰탈 격자블럭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깎기 비탈면을 격자블럭으로 덮어 중력에 의한 비탈면 토층 이동 방지를 도모하는 공법
깎기 비탈면에 고강도 토목섬유로 직조한 섬유대 거푸집에 몰탈을 채워 격자기둥을 형성시켜 비탈면 토사 이동등을 방지하는 공법
깎기 비탈면 표면에 Mortar을 뿜어붙여 비탈면 풍화 침식을 방지하는 공법



적 용
지 반
토사, 풍화암, 연/경암
토사, 풍화암
토사, 풍화암, 연/경암
적 용
범 위
용수가 있는 대깎기 비탈면이나 식생을 실시하더라도 표면 붕락이 염려되는 구간
대규모 파괴가 예상되어 비탈면 보강공법의 병행이 필요한 비탈면
식생에 의한 미관 조성이 필요한 비탈면
비탈면 표면의 평탄성이 불량한 비탈면
비탈면 보강공법과 병행이 필요한 비탈면
풍화되기 쉬운 암석으로 구성된 비탈면
호박돌, 암석섞인 토사로 구성되어 식생이 불가한 비탈면
장단점
보강공법과 혼합적용시 안정성 우수
기성제품 사용시 자재수급 용이
격자블럭 단면이 커서 블록내 식생공, 숏크리트 타설이 필요함
비탈면 형상에 대한 적용성 우수
공종이 단순하고 경제적
식생가능, 미관우수
시공실적이 비교적 적음
비탈면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저항력 우수
식생불가, 미관 불량
장기적 배수 문제 발생
3.5.4 식생공법
1) 토사 및 풍화대 구간
구 분
거적덮기 + Seed Spray
  • 가격2,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20.02.05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