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역사 공통]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1896) 작품을 골라서 읽고 독자적으로 분석하여 글을 작성하시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역사 공통]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1896) 작품을 골라서 읽고 독자적으로 분석하여 글을 작성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갈매기〉의 작가와 극중 인물

2. 〈갈매기〉의 내용
1) 1막
2) 2막
3) 3막
4) 4막

3. 〈갈매기〉의 시간과 공간
1) 무대 위 시간과 공간
2) ‘극중의 극’의 시간과 공간
3) 『갈매기』에 투영된 시대 상황

4. 〈갈매기〉의 극중 인물
1) 아르까지나
2) 뜨레쁠레프
3) 니나
4) 뜨리고린
5) 소린
6) 마샤
7) 도른
8) 체홉

5. 〈갈매기〉의 극중 인물의 역할체계
1) 고착된 인물
2) 뜨레쁠레프
3) 니나

6. 〈갈매기〉의 인물분석
1)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적 관계
2) 예술에 대한 인물들의 태도
3) 현실의 거대한 벽에 막혀 방황하는 인물
4) 가치관의 차이로 소통이 단절된 인물

7. 〈갈매기〉의 플롯
1) 갈등과 사건의 부재
2) ‘도착과 떠남’의 모티브

8. 〈갈매기〉(1896) 작품을 골라서 읽고 독자적으로 분석

9. 느낀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논의했던 예술관에 대한 태마에서 시작한다. 『갈매기』에서 계속해서 등장인물들의 대화 소재가 되는 예술관은 극의 시작에서부터 막에 이르기까지 주요 테마가 된다. 또한 사랑에 대한 테마 역시 계속해서 그 긴장감을 유지시켜준다. 그런데 이 두 가지 테마가 극 전체에서 공통된 귀결점을 갖는지 않는다는 점과, 일관된 이념적 태도를 보이지 않는 다는 점에서 플롯을 이끌어가는 힘으로 보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있다. 이 테마들은 사건의 주요한 소재가 되지만, 사건 자체를 무대 위에 배치하지 않았던 체호프의 구성 의도에 따라 그 기능이 현저히 축소되었다. 이러한 축소된 기능을 대신하여 등인물들이 만나고 이야기 나누는 상황, 그리고 갑자기 모든 상황이 종료되었다가 다시 만나게 되고, 극단적인 결말이 간결하게 전달되기까지의 상황들을 이끄는 주요한 장치가 존재한다.
8. 〈갈매기〉(1896) 작품을 골라서 읽고 독자적으로 분석
<갈매기>의 내용에 대한 인상은 다음과 같다. 작품에서 언급되는 예술과 사랑이라는 두 가지 중심 테마가 등장인물들의 세계를 관통하는 것 같다. 또한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온전하지 못한 개인이나 그들이, 서로간의 관계 속에서 결핍된 그 무엇을 극복하려 노력하지만, 이내 자신의 한계와 주변 환경에 막혀 좌절하거나 고통 받는다. 즉 개개인의 존재가치를 인정내지는 증명하려 노력하는 인간 군상들의 삶의 단면들을 다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갈매기>는 이룰 수 없는 꿈과 욕망을 안고 살아가고 있는 모든 인간들을 은유적으로 풍자한다. 따라서 동시대의 관점으로도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보편적 주제로 삶을 예리하게 관조하는 것이다. 희곡의 분위기는 다음과 같다,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소통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인물들이 위태롭고 답답하게 다가온다. 즉 소통의 부재 속에 인물들 간의 관계가 얽혀 있어 갈등과 분열을 암시한다. 또한 권태롭고 반복되는 지루한 일상 속에서 마치 정착하지 못하고 호수 위를 떠도는 ‘10마리의 갈매기’처럼 <갈매기> 인물들의 환유로서 상징적으로 느껴진다. 그리고 욕망에 대한 인물들의 다양한 반응들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인물들의 인상은 다음과 같다.
“개개인의 성격적 장애 즉 결핍이 발견되고, 이러한 결핍의 증폭은 <갈매기> 인물들의 행동의 기폭제로서 인물 상호간의 다양한 관계 형성에 동인으로 작용됨이 목격된다. 또한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들 즉 가치관의 차이는 인물 상호간에 대립과 충돌의 원인으로 작용되며 따라서 정신적 불일치를 동반하고, 그 결과 소통의 부재와 다양한 갈등관계들이 포착된다.”
이와 같이 <갈매기>의 첫인상을 내용과 분위기 그리고 인물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프로덕션의 참여자들이 가진 희곡 텍스트의 첫 관극 상태를 공유함으로써 무대 형상화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또한 첫인상 도출을 통해 <갈매기> 무대 형상화의 극적 아이디어를 제공 받을 수 있었는데, 시적 공간과 상징적 오브제의 활용이 그것이다. 무대 공간, 장치, 오브제, 배우의 신체 등의 연극요소들이 상호 유기적 결합을 통해 시청각적 이미지로 형상화된다면 <갈매기>의 극적의미를 명료히 전달하는데 충분히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9. 느낀점
연극은 배우의 연기를 통해 무대 위에서 관객과 호흡하며, 작가의 사상과 연출의 의도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연출의 작품에 대한 분석력과 표현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못지않게 배우 역시 작품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통해 자신만의 인물을 창조하여 표현해야만 한다. 배우의 연기는 배우가 직접 역할로서 무대에서 살고, 느끼고, 존재하고, 모든 상황을 체험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식적인 의미로서, 배우가 역할의 정서를 무대의 조건과 상황, 그리고 이야기의 사건에 따라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한 의미로서, 역할과 같은 심적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무대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각 상황의 조건에 직접적으로 반응하고 느끼며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무대는 일상과는 다르게, 이미 정해진 상황이 있고, 그에 따른 결말이 있다. 그러나 일상에서 배우의 정서가 예견치 않은 상황과 맞부딪혔을 때, 자신의 의식과 관계없이 잠재의식적인 행동과 표현이 생겨나듯이, 무대에서 역할의 심리상태로 어떠한 상황에 맞는 정서를 구축하기 위해, 이미 계획된 조건으로, 정서의 기관들을 유도하는 것은 배우의 의식이고, 결국 이 의식이 유도한 상황에 부딪혀 상황에 필요한 정서를 유발시키는 것은 잠재의식의 기관인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1896) 작품을 골라서 읽고 독자적으로 분석하여 글을 작성해 보았다. 배우는 작가가 쓴 작품 속의 인물들의 진실을 찾고, 관계를 정립하고, 무대 위에서 그 배역들의 삶을 살고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어떤 목적과 형태를 향해서 무대 위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닌 자신이 맡은 배역의 빙의와도 같은 것이다. 배우의 배역에 대한 이해와 공감 없이 무대 위에서 행하는 행동은, 그것이 아무리 위대한 극작가의 작품이건, 연출가의 연출이건 관객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극장을 찾은 관객들은 무대 위에서 읽어주는 희곡을 경청하러 오는 것이 아닌 자신과는 다른 다양한 삶의 단편들을 진실로 만끽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나병철(2008).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이상섭(2007). 『문학비평 용어사전』. 민음사.
안톤 체홉, 『갈매기』, 홍기순 옮김, 범우, 2015.
안톤 체홉, 『갈매기』, 동 완 옮김, 신원문화사, 2013.
오종우, 『체호프 드라마의 웃음 세계』, 연극과 인간, 2000.
오종우(2005). 체호프의 코미디와 진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이병욱(2008). \"체호프의 4대 희곡에 대한 분석적 논평\". 정신분석.
추다꼬프, А. П 저, 강명수 옮김(2004) 『체호프와 그의 시대』. 소명출판.
체호프, 안톤(2011). 『갈매기』. 강명수 옮김. 지식을 만드는 지식.
네미로비치 단첸코 저, 권세호 옮김(2000). 『모스크바 예술극단의 회상』. 연극과 인간.
백준희(1995). \"안톤 체홉의 희곡 『갈매기』연구-삶과 예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0.03.03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