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cent 텐센트 기업전략 분석과 향후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encent 텐센트 기업전략 분석과 향후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encent 텐센트 기업개요

2. 텐센트 기업성장 History

3. 텐센트 기업전략 분석
(1) 기업 M&A전략
(2) 벤치마킹전략
(3) 한국진출전략

4. 향후전망

본문내용

전략 분석
(1) 기업 M&A전략
텐센트는 과감하고 신속한 인수합병 및 현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등 외부 기술 기반의 접근을 통해 급변하는 인터넷환경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새로운 역량을 확보하는 중이다.
북미, 동남아 권의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IM 관련 기업을 주로 인수하고 있다.
인수기업 :(미) Riot Games, PopCap Games, Epic Games (러) DTS, (한) 카카오, CG E&M, 4:33, 파티게임즈 (중) JD.Com
텐센트의 인수합병 대상은 동남아 권의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IM 관련 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 북미등지로 옮겨가는 중이다.
(2) 벤치마킹전략
- 창업시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력을 극복하기 위해 모방을 통한 성장전략 구사하였다 ( 한국 온라인게임 성공장 모방화, 유통 부문에서 무료게임서비스 제공
- 벤치마킹 이후 자체적인 창조성을 추가해서 성과 극대화하였다 ( 홈페이지 게시판 및 자체적으로 구축한 콜센터를 통한 고객만족, 제기된 불만을 신속하게 처리)
(3) 한국진출전략
중국 내에서 어마어마한 성장을 이룬 텐센트가 국내에서 회자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 콘텐츠 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진 대규모의 투자 때문일 것이다. 텐센트는 실제로 국내의 많은 기업들에 대규모의 투자를 진행했으며 그 규모를 따지자면 실로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추측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투자는 2015년 이뤄진 CJ게임즈를 대상으로 한 5000억 원 규모의 투자일 것이다.
CJ게임즈를 대상으로 텐센트는 총 5330억 원을 투자해 지분 28%를 인수했다. CJ게임즈는 투자금을 바탕으로 CJ그룹에서 분리, 현재는 넷마블게임즈로 사명을 변경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외에도 텐센트는 카카오에도 지분 투자를 감행, 720억 원의 투자를 진행하고 카카오 지분 9.9%를 획득해, 현재는 다음카카오의 3대 주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의 주주 구성을 보면 최대 주주인 김범수 의장이 22%, 투자사 케이큐브홀딩스가 17.6%를 보유하고 있으며, 텐센트는 이어 3대 주주이자 이사회의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까지 봤을 때는 텐센트는 순수하게 자금력으로 국내 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졸부로 비춰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카카오나 넷마블과 같은 이미 성공한 게임사들 외에도 중소규모의 콘텐츠 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는 과감함을 보이고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NHN엔터테이먼트의 대표를 역임한 바 있는 이은상 대표가 설립한 신생 모바일 게임 개발사 카본아이드에 대한 대규모 투자다. 텐센트는 카본아이드가 미처 게임을 내놓기 전에도 그 가능성을 엿보고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 10%내외의 지분을 확보했다.소셜게임‘아이러브커피’를 통해 성장해 올해 상장하기도 한 모바일 게임 개발사 파티게임즈에도 텐센트는 200억 원 가량을 투자했다. 파티게임즈에의 투자는 텐센트의 자회사인 TCH AQUARIUS PTE. LTD를 통해 이뤄졌다. 또한 네시삼십삼분에도 라인과 함께 1천억 원 대의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별이되어라’의 개발사 플린트에도 텐센트의 투자금은 흘러들어갔다. 이외에도 텐센트 자사가 주가 된 벤처캐피탈을 통해 중소규모의 많은 국내 IT기업들에 투자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11년에는 한국 지사 텐센트코리아를 설립하고 웹게임 ‘춘추전국시대’를 직접 퍼블리싱했다. 그리고 XL게임즈의 기대작인 ‘아키에이지’의 중국어 퍼플리싱을 맡을 계획이다.이처럼 유망 개발사, 퍼블리셔들을 상대로 전방위적 투자를 진행해, 이제는 한국 콘텐츠 시장을 이야기할 때 텐센트란 이름을 빼놓고는 제대로 설명할 수도 없는 상태가
  • 가격3,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03.27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7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