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국제거래상 인코텀즈의 필요성을 설명
2. 인코텀즈 2010의 11가지 거래조건의 특징에 대해 설명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국제거래상 인코텀즈의 필요성을 설명
2. 인코텀즈 2010의 11가지 거래조건의 특징에 대해 설명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소나 기타 자신이 지정한 장소에서 물품을 매수인의 임의처분상태로 놓았을 때, 매도인이 인도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 DAT - Delivered At Terminal
DAT란 매수인과 매도인이 지정한 도착항구나 도착장소의 터미널에서 물품이 한 차례 이상 매수인의 임의 처분하에 적치된다면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 DAP - Delivered At Place
DAP란 물품이 매수인이 지정한 도착장소에서 운반준비를 마친 상태로, 매수인이 임의처분하에 인도할 때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 DDP - Delivered Duty Paid
DDP란 수입통관된 물품이 도착지에서 운송준비를 마친 상태에서 매수인의 임의처분하에 적치가 될 때 인도할 때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Ⅲ. 결론
국제거래상 인코텀즈는 복잡한 무역거래방식을 명문화했다는 것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국제거래상 인코텀즈의 존재로 무역거래상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책임소재가 더욱 분명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Ⅳ. 참고자료
국제무역보험의 이해 이제홍, 유승균 저 | 보명BOOKS | 2012.09.03.
* DAT - Delivered At Terminal
DAT란 매수인과 매도인이 지정한 도착항구나 도착장소의 터미널에서 물품이 한 차례 이상 매수인의 임의 처분하에 적치된다면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 DAP - Delivered At Place
DAP란 물품이 매수인이 지정한 도착장소에서 운반준비를 마친 상태로, 매수인이 임의처분하에 인도할 때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 DDP - Delivered Duty Paid
DDP란 수입통관된 물품이 도착지에서 운송준비를 마친 상태에서 매수인의 임의처분하에 적치가 될 때 인도할 때 거래가 완료되었다고 보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Ⅲ. 결론
국제거래상 인코텀즈는 복잡한 무역거래방식을 명문화했다는 것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국제거래상 인코텀즈의 존재로 무역거래상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책임소재가 더욱 분명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Ⅳ. 참고자료
국제무역보험의 이해 이제홍, 유승균 저 | 보명BOOKS | 2012.09.03.
추천자료
[보험론]위험과 보험 위험관리
[어업재해보상제도][관행어업][세계어업기구][어업경영][어업관측제도][어업손실보상제도][어...
무역 거래상 위험과 보험의 역할
[국제거래]국제거래(무역거래)의 분류, 필요성, 국제거래(무역거래)의 수량조건, 국제거래(무...
인코텀즈 2010의 개정 이유와 그 특징 및 내용.ppt
INCOTERMS 2010 인코텀즈 2010 (그 중 EXW:공장인도).ppt
INCOTERMS2010과 분쟁사례 [인코텀즈].ppt
인코텀즈 2010 - 국내와 국제 무역조건의 사용을 위한 ICC 룰
인코텀즈 2020 주요 개정 내용과 각 조건별 핵심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