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rexit의 개념과 2. Brexit의 태동과 전개 과정
3. Brexit의 현재 진행 상황 및 향후 전망
4. Brexit와 Ireland
3. Brexit의 현재 진행 상황 및 향후 전망
4. Brexit와 Ireland
본문내용
당시 북아일랜드를 둘러싼 갈등의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었지만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가 EU 단일시장과 관세동맹의 일원으로서 교류해 나간다면 유럽시민이라는 공동체 의식 속에서 차이점을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본 신념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었음.
만약 브렉시트로 인해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 물리적 국경이 세워질 경우, 이는 국가 간 국경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될 우려가 있음.
√ 따라서 아일랜드는 브렉시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북아일랜드 평화과정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브렉시트 이후에도 자유로운 인적 · 물적 왕래가 유지되어야 하며, 영국(최소한 북아일랜드 지역)이 브렉시트 후에도 EU와의 관세동맹 및 단일시장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입장임.
이를 위해 북아일랜드 · 아일랜드 국경 간 물리적 국경이 설치되어서는 안되며, 공동여행구역(CTA, Common Travel Area)도 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음
● EU · 영국 간 협상 동향
√ 2017년 12월 EU와 영국은 북아일랜드 문제와 관련, 보다 나은 합의가 도출되지 않는다면 북아일랜드를 EU의 관세동맹으로 간주하기로 하는 안전장치(backstop measure)를 합의하였으며, 이는 2018년 3월 EU 정상회의에서 승인됨.
√ 영국 정부는 최근 각료회의(2018.5.15)에서 EU와의 미래 무역관계 협상이 실패할 경우에도 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간의 물리적 국경(hard boader) 문제의 해결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영국 전역이 EU 관세동맹에 남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이는 6월 열리는 EU정상회의에서 다루어질 예정
만약 브렉시트로 인해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 물리적 국경이 세워질 경우, 이는 국가 간 국경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될 우려가 있음.
√ 따라서 아일랜드는 브렉시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북아일랜드 평화과정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브렉시트 이후에도 자유로운 인적 · 물적 왕래가 유지되어야 하며, 영국(최소한 북아일랜드 지역)이 브렉시트 후에도 EU와의 관세동맹 및 단일시장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입장임.
이를 위해 북아일랜드 · 아일랜드 국경 간 물리적 국경이 설치되어서는 안되며, 공동여행구역(CTA, Common Travel Area)도 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음
● EU · 영국 간 협상 동향
√ 2017년 12월 EU와 영국은 북아일랜드 문제와 관련, 보다 나은 합의가 도출되지 않는다면 북아일랜드를 EU의 관세동맹으로 간주하기로 하는 안전장치(backstop measure)를 합의하였으며, 이는 2018년 3월 EU 정상회의에서 승인됨.
√ 영국 정부는 최근 각료회의(2018.5.15)에서 EU와의 미래 무역관계 협상이 실패할 경우에도 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간의 물리적 국경(hard boader) 문제의 해결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영국 전역이 EU 관세동맹에 남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이는 6월 열리는 EU정상회의에서 다루어질 예정
키워드
추천자료
근대정치사상 태동과정
영국과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와 전개과정
[생활속의경제] 유럽연합(EU)의 형성과정과 현황, 브렉시트(Brexit)의 의미와 배경, 경제적 ...
[2020 영어권국가의이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브렉시트(Brexit)는 영국 현대사 및 유럽연합(E...
[영어권국가의이해 공통] 현재 진행되고 있는 브렉시트(Brexit)는 영국 현대사 및 유럽연합(E...
현재 진행되고 있는 브렉시트(Brexit)는 영국 현대사 및 유럽연합(EU)의 역사에서 중요한 한 ...
영문불문 = 영어권국가의이해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브렉시트(Brexit)는 영국 현대사 및 유럽...
영어권국가의이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브렉시트(Brexit)는 영국 현대사 및 유럽연합(EU)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