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 시 간호 및 종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혈 시 간호 및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수혈이란.
2. 종류
3. 준비사항.(수혈 전 검사)
4. 수혈 전 간호.
5. 수혈 중 간호
6. 수혈 후 간호
7. 수혈 부작용
8. 부작용시 처치

본문내용

혈기구 사용
임상증상 : 갑작스런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심한 저혈압, 쇼크
치료/예방 : 혈액이 담긴 혈액백과 튜브는 혈액은행으로 보냄, 처방에 의해 항생제, 수액요법, 혈관 수축제 등을 투여,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시 수혈 중단, 혈액은행에 규졍에 의해 혈액을 채취, 관리, 수혈, 수혈 전 준비된 혈액제제에 공기 거품이나 응고물, 색깔변화가 있는지 관찰하며 4시간 이내에 수혈 끝냄.
- 대표적 수혈전파성 질환들
바이러스. A형간염, B형간염, C형간염,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엡스타인 바 감염, 사람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기생충 : 말라리아, 톡소플라즈마증. 바베아시증, 샤가스병.
세균 : 매독, 브루셀라증, 라임병
8. 부작용시 처치
공급 즉시 중단
생리식염수로 연결
vital sign check
air way 유지, 산소투여
혈액확인(ABO type, 혈액등록번호).환자이름 확인
sampling :blood urine. foley cath 삽입(혈액이 담긴 팩은 폐기하지 않는다)
Bun/creatine, 검은 소변
PT,PTT, PLT, FDP확인
Dr. notify후 항히스타민제 투약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0.09.0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