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형태와 증상분석 및 코로나 이후 사회변화와 정부 대응정책 분석 및 치료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로나바이러스 형태와 증상분석 및 코로나 이후 사회변화와 정부 대응정책 분석 및 치료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코로나바이러스 구조와 형태

2. 코로나 주요증상

3. 코로나바이러스 전염경로

4. 코로나 이후의 사회변화
(1) 경제의 변화
(2) 교육의 변화

5. 우리나라의 코로나 대응 분석
(1) 방역정책
(2) 한국판 뉴딜정책

6. 코로나바이러스 환자유형

7.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수칙

8.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료
(1) 치료원리
(2) 코로나19 치료제 소개
- 렘데시비르 소개
- 렘데시비르 작용과 부작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수
- 기침, 재채기 시 옷소매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기
- 의료기관 또는 선별진료소 방문 시 마스크 착용하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말기
-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자와 접촉 피하기
- 감염병이 의심될 땐 관할 보건소 또는 1339콜센터, 지역번호+120 상담
- 임산부, 65세 이상, 만성질환자*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 방문 자제하기
* 당뇨병, 심부전, 만성호흡기 질환, 신부전, 암환자 등
-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등)이 나타나면 출근을 하지 않고 외출을 자제하기
8.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료
(1) 치료원리
코로나바이러쇼 치료원리를 알기 위해선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및 증식 원리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코로나는 왕관을 의미하며 이는 바이러스의 모양이 왕관 모양을 하고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왕관 위 모양에서 가장 끝의 갈고리 같은 돌기가 중요하다. 돌기는 글라이코 프로틴 (S 프로틴 또는 스파이크)라고 하는 단백질이다. 이단백질이 중요한 이유는 단백질의 돌기 모양이 붙는 기능을 하며 바이러스의 전염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특히 이 스파이크는 ACE2라는 체내의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이 점이 중요하다. 글라이코 프로틴이라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체내의 특히 폐에 모여있는 ACE2(수용체)라는 단백질에 붙어 상호작용하여 감염되고 이에 숙주를 찾은 바이러스는 증식을 시작한다. 이 점이 항체 치료제를 만드는 데 있어 핵심이 된다. 항체치료제 중 항체란 간단히 말해 우리 몸속에 항원이 침투해오면 이를 방어하는 면역반응의 주된 단백질이다. 인체의 항원-항체 면역반응의 원리를 이용한 치료제이며 특정 세포만을 공격하는 표적치료제로 인위적인 항체를 제조하여 사용하기에 혈장 치료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2) 코로나19 치료제 소개
- 렘데시비르 소개
렘데시비르는 원래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에볼라 시험용 치료제로 개발했던 의약품이었다. 이미 미국에서는 렘데시비르 긴급사용을 승인했는데, 이는 정식 치료제가 아니고 중증환자 치료용에 한해서이다. 혈중 산소량이 적거나, 산소요법치료, 인공호흡기 등 으로 치료받아야 하는 환자가 대상이다. 아직 임상시험으로 부작용이 검토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미국은 부작용보다 사용으로 인한 이득이 더 크다는 입장에서 렘데시비르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승인한 것이고, 우리나라 보건당국은 아직 임상시험이 진행중이기에 안전성과 유효성을 판단할 수 는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은 어떤 이점을 보고 렘데시비르를 승인한 것일까?
- 렘데시비르 작용과 부작용
렘데시비르 구조식에서 왼쪽 구조물은 체내에 들어가면 떨어져 나가서 오른쪽 부분이 활성형이 되고, 이후 인산 3개가 달라붙게 되는데, 삼인산 아데노신 이라는 ATP 구조와 매우 흡사하게 된다. 왜 이러한 유사구조를 하고 있는 것인가 하면 바로 아데닌이라는 RNA 구성 염기를 모방한 것이다. 바이러스의 RNA가 복제시 아데닌에 들어갈 때 아데닌 유사 구조물인 렘데시비르 약이 대신 들어가면 그 복제 과정에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길리어드 사에서 1단계 임상시험 결과를 통해 부작용을 공개했는데, 첫째날 200mg 투여 후 이빚날부터 5일 혹은 10일 차까지 1일 1회 100mg 주사 투약방식으로 진행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약 10%가 메스꺼움을 느꼈고, 급성호흡부전과 구토증세가 관찰됐다. 3급 이상의 간 수치 상승으로 투여를 중단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코로나19로 인한 거시경제적 영향 및 대응방향
코로나19에 따른 산업별 영향 분석
  • 가격3,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10.07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7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