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진단검사
ⅲ.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및 위험요소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진단검사
ⅲ.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6) 간호중재
7)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술 시 감염예방
알러지반응 (가려움증, 두드러기), 소변량 횟수의 변화, 배뇨장애, 부종, 구역/구토, 황달증상, 심한 설사, 혈변을 동반한 설사
suspen ER
650mg
1TA*3[P.O] tid pc
P.O
해열 및 감기에 의한 동통과 두통의 완화
알레르기(가려움증, 두드러기, 부종, 자극감), 혈변, 어두움 색뇨, 옅은색 변, 구역, 구토, 식욕 감퇴, 3일 이상 지속되는 열, 비정상적인 출혈, 멍
Eucarbon
1회 2정
1TA*2[P.O] bid pc
P.O
변비
경련, 복통, 설사, 구역/구토, 알러지 반응, 어지러움, 실신, 심한 복통 (가려움, 두드러기, 얼굴/손의 부종)
Albis
1TA*3[P.O] tid pc
P.O
위, 십이지장 궤양, 마취 전 투약
알레르기(가려움증, 두드러기, 입/목의 부종) 흑색뇨, 식욕부진, 구역/구토, 눈 및 피부의 황변, 근육통, 비정상적인 심장박동
Harnal
0.2mg
1TA*1[P.O] qd hs
P.O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심한 어지러움, 기절, 피부 벗겨짐, 물집, 발진, 통증이 있거나 오래 지속되는 발기, 비정상적인 피로감, 눈 및 피부의 황변 등
pethidine
HCI
25mg
25mg*1[IV]*1
IV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마취전 투약, 마취시의 보조
심한 어지러움/ 졸음, 근육경직, 근육통, 보행기능 이상, 심한 변비, 구역/구토, 입마름, 두통, 수전증, 주사부위의 통증/가려움
Lasix
20mg
IV
고혈압, 심성부종, 신성부종
알레르기(가려움증), 물집, 피부벗겨짐, 발진, 흉통, 피부 벗겨짐, 발진, 청각이상, 귀울림, 어지러움, 근육강직
② 처치
처치시간
처치
14:54
V/S check 49hr
22:28
ABR
14:54
NPO : 전신마취시 I/O check : post op로 수술방 I/O하기. 수술 후~ 10pm I/O & hemovac memo
22:26
Deep breathing inspirometer 사용
14:54
Foley catheter kee & functionin : Free drain 유지
14:54
NPO 해제 시 지참 약 중 perindopri crestor만 복용.
ASA 4 cilostan stop
1회 00:00
IV route
1회 00:00
IV set 교환
00:00 , 18:00
bladder irrigation
1회 00:00
Foley cathter 삽입
12 : 00
초음파 잔뇨검사 (PVR)
20 : 00
낙상예방교육
Voiding diary ward ambulation R/U check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간호진단)
1. 수술 후 상태와 관련된 낙상위험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3.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배뇨향상을 위한 준비
4. 방광점막자극과 관련된 급성 통증
5. 수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1. 수술 후 상태와 관련된 낙상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side rail을 보면서) 이거 계속 세워둬야 해요? 걸리적거려요”
- “안경을 안쓰면 앞이 잘 안보여.”
객관적
자료
- side rail이 내려져 있다.
- 낙상 LOW LISK (35점) - 표준낙상 예방활동
- foley cath, 정맥수액관을 하고 있다.
- 5월 14일 전립선에 수술을 했다.
- 수술 후 첫날 운동 금지 오더가 있다.
- iv 폴대에 낙상주의 팻말이 걸려있다.
- 환자는 74세 나이로 행동이 느리다.
환자는 5월 14일 수술로 인해 천천히 걷는다.
- 환자는 걸어다닐 때 iv 폴대에 무게 중심을 싣는다.
- 보호자가 일정시간 (식사시간, 쉬는시간)에 자리를 비운다.
간호목표
(기대결과)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세달 후에도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낙상 교육에대해 시범보인다.
② 환자는 입원기간동안에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③ 낙상점수는 수술 후 3일 이내에 낙상 점수가 13점 이하로 감소한다.
④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낙상 예방 환경조성에 대해 5가지 이상 말로
시범보인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① 환자는 낙상예방교육을 받는다.
낙상예방교육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다.
환자는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 물기가 없는 바닥과 같은 낙상 예방 환경조성을 한다.
미끄러운 신발, 물기있는 바닥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을 제거함으로써 낙상위험도를 낮춘다.
낙상 점수가 수술 후 3일 이내에 13점 이하로 감 소한다.
낙상점수는 대상자의 현재 낙상위험도를 나타내므로 근력 운동 등으로 낙상점수를 줄인다.
④ 간호사는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는 체온, 혈압, 맥박, 호흡으로 대상자의 기본적인 정보이므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환자는 낙상식별 손목밴드를 사용하고 낙상의 위험을 말로 시범보인다.
식별 밴드를 보고 보호자, 의료인 및 타인이 낙상위험에 대한 지남력을 지닐 수 있다.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계획 이론적근거와 같음.)
①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낙상예방교육을 시범보인다.
낙상예방교육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다.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낙상 예방 환경조성에 대해 5가지 이상(변기 옆, 욕조 옆 벽에 손잡이 설치, 기름기 제거,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 물기가 없는 바닥, 고무매트 등) 말로 시범보인다.
미끄러운 신발, 물기있는 바닥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을 제거함으로써 낙상위험도를 낮춘다.
낙상 점수가 수술 후 3일 이내에 13점 이하로 감소한다.
낙상점수는 대상자의 현재 낙상위험도를 나타내므로 근력 운동 등으로 낙상점수를 줄인다.
④ 간호사는 duty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는 체온, 혈압, 맥박, 호흡으로 대상자의 기본적인 정보이므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환자는 낙상식별 손목밴드를 사용하고 낙상의 위험을 말로 시범보인다.
식별 밴드를 보고 보호자, 의료인 및 타인이 낙상위험에 대한 지남력을 지닐 수 있다.
간호 평가
간호는 5월 14일부터 5월 16일까지 수행
알러지반응 (가려움증, 두드러기), 소변량 횟수의 변화, 배뇨장애, 부종, 구역/구토, 황달증상, 심한 설사, 혈변을 동반한 설사
suspen ER
650mg
1TA*3[P.O] tid pc
P.O
해열 및 감기에 의한 동통과 두통의 완화
알레르기(가려움증, 두드러기, 부종, 자극감), 혈변, 어두움 색뇨, 옅은색 변, 구역, 구토, 식욕 감퇴, 3일 이상 지속되는 열, 비정상적인 출혈, 멍
Eucarbon
1회 2정
1TA*2[P.O] bid pc
P.O
변비
경련, 복통, 설사, 구역/구토, 알러지 반응, 어지러움, 실신, 심한 복통 (가려움, 두드러기, 얼굴/손의 부종)
Albis
1TA*3[P.O] tid pc
P.O
위, 십이지장 궤양, 마취 전 투약
알레르기(가려움증, 두드러기, 입/목의 부종) 흑색뇨, 식욕부진, 구역/구토, 눈 및 피부의 황변, 근육통, 비정상적인 심장박동
Harnal
0.2mg
1TA*1[P.O] qd hs
P.O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심한 어지러움, 기절, 피부 벗겨짐, 물집, 발진, 통증이 있거나 오래 지속되는 발기, 비정상적인 피로감, 눈 및 피부의 황변 등
pethidine
HCI
25mg
25mg*1[IV]*1
IV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마취전 투약, 마취시의 보조
심한 어지러움/ 졸음, 근육경직, 근육통, 보행기능 이상, 심한 변비, 구역/구토, 입마름, 두통, 수전증, 주사부위의 통증/가려움
Lasix
20mg
IV
고혈압, 심성부종, 신성부종
알레르기(가려움증), 물집, 피부벗겨짐, 발진, 흉통, 피부 벗겨짐, 발진, 청각이상, 귀울림, 어지러움, 근육강직
② 처치
처치시간
처치
14:54
V/S check 49hr
22:28
ABR
14:54
NPO : 전신마취시 I/O check : post op로 수술방 I/O하기. 수술 후~ 10pm I/O & hemovac memo
22:26
Deep breathing inspirometer 사용
14:54
Foley catheter kee & functionin : Free drain 유지
14:54
NPO 해제 시 지참 약 중 perindopri crestor만 복용.
ASA 4 cilostan stop
1회 00:00
IV route
1회 00:00
IV set 교환
00:00 , 18:00
bladder irrigation
1회 00:00
Foley cathter 삽입
12 : 00
초음파 잔뇨검사 (PVR)
20 : 00
낙상예방교육
Voiding diary ward ambulation R/U check
ⅴ. 간호과정
1) 건강문제 (간호진단)
1. 수술 후 상태와 관련된 낙상위험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3.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배뇨향상을 위한 준비
4. 방광점막자극과 관련된 급성 통증
5. 수술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1. 수술 후 상태와 관련된 낙상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side rail을 보면서) 이거 계속 세워둬야 해요? 걸리적거려요”
- “안경을 안쓰면 앞이 잘 안보여.”
객관적
자료
- side rail이 내려져 있다.
- 낙상 LOW LISK (35점) - 표준낙상 예방활동
- foley cath, 정맥수액관을 하고 있다.
- 5월 14일 전립선에 수술을 했다.
- 수술 후 첫날 운동 금지 오더가 있다.
- iv 폴대에 낙상주의 팻말이 걸려있다.
- 환자는 74세 나이로 행동이 느리다.
환자는 5월 14일 수술로 인해 천천히 걷는다.
- 환자는 걸어다닐 때 iv 폴대에 무게 중심을 싣는다.
- 보호자가 일정시간 (식사시간, 쉬는시간)에 자리를 비운다.
간호목표
(기대결과)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세달 후에도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낙상 교육에대해 시범보인다.
② 환자는 입원기간동안에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③ 낙상점수는 수술 후 3일 이내에 낙상 점수가 13점 이하로 감소한다.
④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낙상 예방 환경조성에 대해 5가지 이상 말로
시범보인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① 환자는 낙상예방교육을 받는다.
낙상예방교육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다.
환자는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 물기가 없는 바닥과 같은 낙상 예방 환경조성을 한다.
미끄러운 신발, 물기있는 바닥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을 제거함으로써 낙상위험도를 낮춘다.
낙상 점수가 수술 후 3일 이내에 13점 이하로 감 소한다.
낙상점수는 대상자의 현재 낙상위험도를 나타내므로 근력 운동 등으로 낙상점수를 줄인다.
④ 간호사는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는 체온, 혈압, 맥박, 호흡으로 대상자의 기본적인 정보이므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환자는 낙상식별 손목밴드를 사용하고 낙상의 위험을 말로 시범보인다.
식별 밴드를 보고 보호자, 의료인 및 타인이 낙상위험에 대한 지남력을 지닐 수 있다.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계획 이론적근거와 같음.)
①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낙상예방교육을 시범보인다.
낙상예방교육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다.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낙상 예방 환경조성에 대해 5가지 이상(변기 옆, 욕조 옆 벽에 손잡이 설치, 기름기 제거,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 물기가 없는 바닥, 고무매트 등) 말로 시범보인다.
미끄러운 신발, 물기있는 바닥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을 제거함으로써 낙상위험도를 낮춘다.
낙상 점수가 수술 후 3일 이내에 13점 이하로 감소한다.
낙상점수는 대상자의 현재 낙상위험도를 나타내므로 근력 운동 등으로 낙상점수를 줄인다.
④ 간호사는 duty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는 체온, 혈압, 맥박, 호흡으로 대상자의 기본적인 정보이므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환자는 낙상식별 손목밴드를 사용하고 낙상의 위험을 말로 시범보인다.
식별 밴드를 보고 보호자, 의료인 및 타인이 낙상위험에 대한 지남력을 지닐 수 있다.
간호 평가
간호는 5월 14일부터 5월 16일까지 수행
추천자료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결장암케이스
경막하 혈종(SDH : subdural hematoma)
전립선비대증과 간호과정
전립선비대증과 경요도전립선 수술. 후 간호
응급실(ER)case - 응급실 환자 Case Study
양성전립선비대증(BPH)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통증, 지식부족, 수면장애 간...
폐렴 케이스 폐렴간호과정 폐렴간호진단 폐렴케이스 폐렴사례관리 폐렴케이스스터디 pneumoni...
전립선암케이스스터디 A+ (전립선암 전립선CASE STUDY Prostate 간호과정 사례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