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기개론[전동기의 종류와 기본원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전기개론[전동기의 종류와 기본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전동기의 종류
2) 전동기의 원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전하게 되므로 브러쉬와 정류자에서 마모,분진 및 소음이 발생 하며 정류자가 더러워 지게 된다.
-속도,토크 및 회전방향 제어가 용이하다.
-농형 유도 전동기보다 고가이다.
-정류기가 필요하다.
-소형 직류전동기는 대게 저 전압(12V)에서 작동한다.
-브러쉬 부착 전동기는 정기적인 보수점검이 필요하다.
-정류 문제나 기계적인 강도상의 문제로 고속화에 제한이 있다.
*직류전동기의 종류
①직권전동기(series-wound motor)
-계자극 권석과 전기자 권선이 직렬로 연결된 직류전동기이다.
-기동 토크가 크고,부하가 적어지면 속도는 상승하여 완전 무부하로 되면 속도가 무한에 가까워져서 위험하다.
-항공기 시동용에 사용된다.
②분권전동기(shunt-wound motor)
-계자극 권석과 전기자 권선이 병렬로 연결된 직류전동기이다.
-부하변동에 따른 속도의 변화가 일정하다.(정속도 특성)
-컨베이어 벨트,공작기계,송풍기,펌프 등에 사용된다
③복권전동기(compound motor)
-전기자 권선과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계자극 권선을 가지고 있다.
-직권정동기와 분권정동기의 장점을 다 가지고 있어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동복권전동기와 차동복권전동기가 있다.
⑤타여자전동기(separately excted motor)
-전기자 권선과 계자극 권선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⑥교류 직류전동기
-직류와 교류에서 운전할 수 있는 전동기로, 사용되는 교류는 대개 단상교류이다.
-교류에서도 운전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직권전동기의 일종이다.
-대부분 분수마력 전동기로, 수동 전동공구나 목공기계와 믹서나 재봉기같은 가전제품에 많이 사용한다.
⑦가역전동기(reversible motor)
-회전방향을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반대로도 할 수 있는 전동기
2)교류전동기
-교류 정류자 전동기는 유도전동기의 고정자와 직류전동기의 전기자를 조합하여 만든 구조로서 직류전동기와 작동원리 뿐만 아니라 모양과 구조가 같다. 단지 교류와 직류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류전동기의 종류
①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자 권선이 삼상인 것과 단상인 것이 있다. 삼상 고정자 권선에 교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서 회전자에 토크가 발생하여 전동기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단상 고정자 권선에서는 교류가 흐르면 교번 자기장만이 발생되어 회전자에 기동 토크가 발생하지 않아서 별도의 기동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직류 전동기가 정류기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는 것과는 달리 유도전동기는 전원에 바로 연결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동기이다.
-구조가 간단하고 튼튼하며 염가이고 취급 용이하다.
-원래 정속도 전동기이지만 가변속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slip이 있다.
②동기전동기(synchronous motor)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자는 유도전동기의 고정자 같으나, 회전자는 자극과 여자권선으로 되어있으며 이 권선에 brush와sliping을 통하여 직류 전류를 공급하여 자극을 여자하게 된다. 즉, 고정자 권선에는 흐르는 교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회전자기장 속에서 직류 전류에 의하여 여자된 회전자에 토크가 발생하여 회전하게 된다.
-전원주파수와 극수로 결정되는 속도로 완전 동기되어, 정확히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부하의 증감으로 회전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slip이 없다)
-역륙이 항상 1이다.
-기동 토크가 작고 구조와 취급이 복잡하다.
-여자용 직류 전원이 필요하다.
-convey belt용 전동기, 소형시계 또는 timing motor에 사용된다.
-종류에는 릴럭턴스 전동기,히스테리시스 전동기, 세이딩코일형 히스테리시스 전동기, 워렌전동기, 인덕터 전동기 등이있다.
③단상유도전동기(single phase induction motor)
-단상교류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전원이므로, 단상 유도 전동기는 가정용과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자력 기동을 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기동권선이 필요하다.
-대개 1-2hp 정도의 크기이다.
④분상기동형[단상유도]전동기(split phase motor)
-고정자,회전자,엔드플레이트 또는 브래킷, 원심력 스위치의 4가지 주요부품으로 되어있다.
-회전자는 농형권선으로 되어있고, 고정자는 주권선인 운전권선과 보조권선이 기동권선이 병렬로 감겨져 있어서 이 병렬회로에 단상 교류전압을 가하면 운전권선과 보조권선 사이의 리액턴스 차이로 두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위상차이가 생겨서 회전 자기장이 발생하여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원심력 스위치는 기동권선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동초기에는 스위치가 on 상태로 있다가 회전자의 속도가 증가하여 정격속도의 75%정도에 이르면 스위치가 off되어 기동권선 회로가 개방되고, 전동기는 운전권선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게 된다.
-가격이 싸나, 기동 토크가 작고 원심력 스위치 때문에 부피가 크며 큰 기동전류 때문에, 소형 분수마력형 전동기[냉장고,펌프,세탁기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⑤콘덴서 기동형[단상유도]전동기(capacitor start motor)
-분상기동형 전동기와 비슷하나, 기동토크 증대 목적으로 콘덴서를 기동권선과 직렬로 연결한 점이 다르다.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축전기는 오일커페시터와 전해커페시터의 2가지이다.
-분상기동형 전동기에 비하여 기동토크가 크고 기동전류가 작으며,분수 마력형에 10여마력까지 다양하고, 펌프 에어컨 냉장고등에 사용된다.
⑥영구콘덴서형[단상유도]전동기
(PSC motor, permanent split capacitor motor)
-콘덴서 기동형 전동기에서 원심력 스위치를 제거한 것. 따라서 컨덴서를 기동시 뿐만 아니라 정상 운전시에도 계속하여 사용한다.
-용량이 적은 콘덴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동 토크는 콘덴서 기동형 전동기 보다 작으나, 원심력 스위치가 없어서 구조가 간단하다.
-oil-filled capacitor가 주로 사용되며, 큰 기동 토크가 필요하지 않은 선풍기나 세탁기 등에 많이 사용된다.
⑦셰이딩 코일형[단상유도]전동기(shaded pole motor)
-각각의 고정자 자극의 한쪽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1.01.06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3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