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1) 단량체(monomer)
(2) 라디칼 개시제(radical initiator)
(3) 정제의 목적 및 종류(Purification)
(3-1) 단량체 정제법
(3-1-2) 감압증류법(Vacuum distillation)
(3-2) 라디칼 개시제 정제법
(3-2-1) 재결정법(Recrystallization)
(4) 단량체의 순도
(4-1) 비닐 단량체 불순물의 종류
(5) 중합금지제(Inhibitor)
(6) 감압 펌프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6. 고찰
- 단량체에 중합금지제를 넣어 보관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시오.
- 단량체에 감압증류하기 전에 NaOH 수용액으로 수세하는 이유
- 라디칼 개시제를 넣은 에탄올이 40가 넘지 않도록 하는 이유
- 정제된 단량체와 라디칼 개시제에 빛을 차단하는 이유
- 그 외의 오차
7. 참고문헌
2. 실험원리
(1) 단량체(monomer)
(2) 라디칼 개시제(radical initiator)
(3) 정제의 목적 및 종류(Purification)
(3-1) 단량체 정제법
(3-1-2) 감압증류법(Vacuum distillation)
(3-2) 라디칼 개시제 정제법
(3-2-1) 재결정법(Recrystallization)
(4) 단량체의 순도
(4-1) 비닐 단량체 불순물의 종류
(5) 중합금지제(Inhibitor)
(6) 감압 펌프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과정
5. 실험 결과
6. 고찰
- 단량체에 중합금지제를 넣어 보관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시오.
- 단량체에 감압증류하기 전에 NaOH 수용액으로 수세하는 이유
- 라디칼 개시제를 넣은 에탄올이 40가 넘지 않도록 하는 이유
- 정제된 단량체와 라디칼 개시제에 빛을 차단하는 이유
- 그 외의 오차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액 제조를 할 때 정확하게 측정이 어려워서 오차가 생긴다.
- 분별 깔때기에서 유기층을 뺄 때, 충분히 빠져나가게 하지 않으면 불순물이 빠져나가지 못해서 오차가 발생한다. 이는 충분히 유기층을 빼고, 분별 깔때기에 넣어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횟수를 늘리면 더욱 오차 줄일 수 있다.
- 무수 황산 마그네슘이 여과지에 안 걸러져서 불순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더 촘촘한 여과지를 사용하고, 여과하는 횟수를 늘리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AIBN) 정제법에서,
- 에탄올의 온도가 40가 넘을 수 있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기구를 전자기구로 바꾸거나 40를 넘지 않게 조절을 섬세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 냉장고에 넣어 AIBN 결정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지만 덜 생겼을 때 꺼냈을 수도 있다. 이는 결정이 생길만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냉장고에 넣어두면 된다.
정제된 단량체와 개시제가 호일을 감쌀 때 그 전에 빛이 들어갈 수 있으며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이는 정제가 되자마자 최대한 빨리 호일에 감싸고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을 하면 된다.
7. 참고문헌
[1] 사이언스올, “단량체”, https://www.scienceall.com/단위체monomer-單位體/
[2] 고분자 화학과 기술, “라디칼 개시제”,
http://chemistryculture.org/cypct-frontpage/cypolychemtech/PC-11-RadicalPolymerization/pcw9initiator.html
[3] 사이언스올, “정제”, https://www.scienceall.com/%ec%a0%95%ec%a0%9cpurification/
[4]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혼합물 분리, 혼합물 정제”,
http://www.ktword.co.kr/word/abbr_view.php?m_temp1=5580
[5] 제이오텍 Lab Companion, “감압 펌프”, https://www.jeiotech.com/
[6] 플라스틱 용어사진, “중합금지제”,
http://www.kfpic.or.kr/popup/dictionary_view.asp?num=1262&page=6&str1=&str2=&str3=&str4=i&str5=&str6=&str7=&str8=&str9=&str10=
[7] 이공계실험, “불순물의 종류”, https://chemup.tistory.com/notice/111
- 분별 깔때기에서 유기층을 뺄 때, 충분히 빠져나가게 하지 않으면 불순물이 빠져나가지 못해서 오차가 발생한다. 이는 충분히 유기층을 빼고, 분별 깔때기에 넣어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횟수를 늘리면 더욱 오차 줄일 수 있다.
- 무수 황산 마그네슘이 여과지에 안 걸러져서 불순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더 촘촘한 여과지를 사용하고, 여과하는 횟수를 늘리면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AIBN) 정제법에서,
- 에탄올의 온도가 40가 넘을 수 있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기구를 전자기구로 바꾸거나 40를 넘지 않게 조절을 섬세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 냉장고에 넣어 AIBN 결정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지만 덜 생겼을 때 꺼냈을 수도 있다. 이는 결정이 생길만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냉장고에 넣어두면 된다.
정제된 단량체와 개시제가 호일을 감쌀 때 그 전에 빛이 들어갈 수 있으며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이는 정제가 되자마자 최대한 빨리 호일에 감싸고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을 하면 된다.
7. 참고문헌
[1] 사이언스올, “단량체”, https://www.scienceall.com/단위체monomer-單位體/
[2] 고분자 화학과 기술, “라디칼 개시제”,
http://chemistryculture.org/cypct-frontpage/cypolychemtech/PC-11-RadicalPolymerization/pcw9initiator.html
[3] 사이언스올, “정제”, https://www.scienceall.com/%ec%a0%95%ec%a0%9cpurification/
[4]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혼합물 분리, 혼합물 정제”,
http://www.ktword.co.kr/word/abbr_view.php?m_temp1=5580
[5] 제이오텍 Lab Companion, “감압 펌프”, https://www.jeiotech.com/
[6] 플라스틱 용어사진, “중합금지제”,
http://www.kfpic.or.kr/popup/dictionary_view.asp?num=1262&page=6&str1=&str2=&str3=&str4=i&str5=&str6=&str7=&str8=&str9=&str10=
[7] 이공계실험, “불순물의 종류”, https://chemup.tistory.com/notice/1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