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4학년 생활과건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4학년 생활과건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시오.
< 급성 >
1. 당뇨병성 케톤산혈증
2. 고삼투압성 고혈당 증후군
3. 저혈당
< 만성 >
1. 관상동맥질환
2. 말초동맥질환
3. 당뇨병성 신장병증
4. 말초성신경병증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중심으로 교육자료를 구성해보시오.
1. 제2형 당뇨병 환자 식이요법
2. 제2형 당뇨병 환자 운동요법

본문내용

성 말초신경병증이라고 불리우고 있으며, 신경전도 검사 상 말초신경의 손상이 발견된다. 말초신경은 우리 몸에서 감각과 운동자극을 중추신경으로 연결하는 통로라고 잘 알려져 있는데, 50세 이상의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통증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 중에 하나이며, 환자에 따라 발생하는 빈도가 다양하다.
(1) 원인과 증상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원인은 말초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신경섬유의 손상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또한 통증이 발생함과 동시에 비대칭적으로 몸 쪽에 변화가 생기며 일반적으로 당뇨환자 중에 유병기간이 길고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환자에서 이러한 신경병증이 나타난다. 주로 저리거나 쑤시는 증상과 칼에 베이는 듯한 통증과 전기가 찌릿찌릿하고 발에 무언가 붙어있는 듯한 증상, 감각이 없어지는 증상을 동반한다.
(2) 치료
일단 기본적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혈당을 유지하는 것에서 부터 치료가시작되며경정맥 인슐린 투여 방법을 이용한 엄격한 당뇨조절이 필요하다.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중심으로 교육자료를 구성해보시오.
1. 제2형 당뇨병 환자 식이요법
- 당질이 함유된 식품은 항상 일정하게 섭취한다. (밥, 떡, 크래커, 과일, 우유 등)
- 설탕이 많이 들어감 음식은 피하고 조리 시에 양념은 조금만 사용한다.
- 당질이 농축된 식품들은 혈당을 빨리 올리고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하므로 가능한 피한다. (설탕,꿀,매실엑기스, 물엿,잼, 초콜릿,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과즙음료 등)
-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섬유소는 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혈당조절에 도움을 주며 공복감을 덜어주기 때문에 많이 섭취한다.
- 기름을 많이 쓰는 튀김보다는 찌거나 삶는 조리방법을 선택한다.
- 가능한 간은 짜지 않고 싱겁게 해서 먹고, 가공식품과 염장식품의 섭취를 줄인다.
- 인슐린을 사용할 경우 주사의 작용시간, 운동 등에 따라 식사와 간식을 일정하게 배분하고, 인슐린이 최고로 작용하는 시간에 음식이 이용될 수 있도록 식사나 간식을 섭취한다.
- 술은 영양소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서 열량을 많이 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2. 제2형 당뇨병 환자 운동요법
- 주치의와 상담하여 운동계획을 세운다. 잘 맞는 신발과 양말 등 발의 보호에 신경 쓰고, 기온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 적당한 양의 음식을 먹은 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뇨병 환자에게 좋은 운동은 식후 운동이며, 식후 30분~1시간 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 경구 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주사로 약물요법을 시행하고 있거나 공복 시에 운동을 할 경우 저혈당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 혈당이 300mg/dl이상으로 올라가면 운동을 중단하여야 되며, 운동 후 수 시간이 지난 후에라도 근육에서는 운동을 하는 동안 소모된 당을 보충하기 위하여 근육으로 당을 지속적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이것이 저혈당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네이버 ‘하루 3분’건강 이야기
네이버 카페 ‘건강과 달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1.26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