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진주대첩
2. 경험담
1) 촉석루와 의암
2) 김시민 장군 전공비
3) 진주성 임진대첩 계사순의단
4) 진주 의기사
5) 진주 창렬사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진주대첩
2. 경험담
1) 촉석루와 의암
2) 김시민 장군 전공비
3) 진주성 임진대첩 계사순의단
4) 진주 의기사
5) 진주 창렬사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주성에 왔는데 이곳에 오지 않는다면 진주성을 왔다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곳이다.
필자는 어렸을 때부터 할머니 손에 이끌려 진주성에 왔을 때부터 무조건 오던 장소였다. 어렸을 때는 존경할만한 분들이라는 생각을 하며 막연하게 제향을 하였지만, 나이가 좀 들어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 이후 제향을 지낼 때 보인 할머니의 표정이 얼마나 엄숙하던지 눈물이 핑 돌 정도였다.
Ⅲ. 맺음말
필자도 사회생활을 하고, 아이들을 키우면서 세월에 치이다 보니 진주성에 가보지 못한 지 벌써 1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다. 할머니가 돌아가신 이후 아무런 연고가 없고, 다소 멀기 때문에 가지 않았던 것도 있다.
서론에서도 언급했지만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진주대첩에 대해서 무조건 알고 있다. 하지만 알고 있는 것과 별개로 진주성에 가본 사람들은 극히 드물 것이라 생각한다. 역사에 관심이 있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혼을 느껴보고 싶다면, 진주성으로 가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호국영령들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했지만, 아래와 같은 생각도 해보았다. ‘친일파가 제대로 청산되지 못한 세상, 친일파의 후손들이 거들먹거리며 사는 세상을 보면서 창렬사에 있는 선조님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계실까? 정말 많이 슬프시지 않으실까?’라 말이다.
Ⅳ. 참고문헌
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진주시청(http://www.jinju.go.kr).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필자는 어렸을 때부터 할머니 손에 이끌려 진주성에 왔을 때부터 무조건 오던 장소였다. 어렸을 때는 존경할만한 분들이라는 생각을 하며 막연하게 제향을 하였지만, 나이가 좀 들어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 이후 제향을 지낼 때 보인 할머니의 표정이 얼마나 엄숙하던지 눈물이 핑 돌 정도였다.
Ⅲ. 맺음말
필자도 사회생활을 하고, 아이들을 키우면서 세월에 치이다 보니 진주성에 가보지 못한 지 벌써 1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다. 할머니가 돌아가신 이후 아무런 연고가 없고, 다소 멀기 때문에 가지 않았던 것도 있다.
서론에서도 언급했지만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진주대첩에 대해서 무조건 알고 있다. 하지만 알고 있는 것과 별개로 진주성에 가본 사람들은 극히 드물 것이라 생각한다. 역사에 관심이 있고,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혼을 느껴보고 싶다면, 진주성으로 가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호국영령들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했지만, 아래와 같은 생각도 해보았다. ‘친일파가 제대로 청산되지 못한 세상, 친일파의 후손들이 거들먹거리며 사는 세상을 보면서 창렬사에 있는 선조님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계실까? 정말 많이 슬프시지 않으실까?’라 말이다.
Ⅳ. 참고문헌
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진주시청(http://www.jinju.go.kr).
오마이뉴스(http://www.ohmynews.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