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레쥬르 SWOT분석과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및 향후시사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뚜레쥬르 SWOT분석과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및 향후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뚜레쥬르 소개

2.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시장트렌드 분석

3. 뚜레쥬르 SWOT분석

4.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는 스프레드류, 떡류, 전병/양갱/모나카세트, 초콜릿/캔디, 무알콜 샴페인, 빙과류, 쿠키류, 샌드위치, 기타 등의 많은 제품과 마지막으로 크림치즈와 잼, 버터가 있고 빙과류에는 끌레도르 아이스크림이 있다. 이러한 다종류의 상품을 고루 갖추고 있다.
(2) 이미지마케팅
뚜레쥬르는 ‘신선한 빵을 공급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왔다. 경쟁 브랜드 보다 뒤늦게 시장에 뛰어든 만큼 확실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했던 CJ는 ‘갓 구운 빵’을 컨셉으로 내세웠던 것이다. TV광고, 지하철 광고, 지면 광고를 통해 신선함을 강조하고 자사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한 고객에게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3) PPL전략
PPL은 ‘Product Placement’의 약자로, 특정 상품을 방송 매체 속에 의도적이고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노리는 광고 전략을 말한다. 뚜레쥬르는 PPL전략으로 과거 SBS ‘신사의 품격’ 등에 케익을 고르는 장면을 등장시켜 사랑스럽고 달콤한 연인의 분위기를 창출한 바 있다. 또한, 올리브쇼 채널에서 방영되었던 케이크 만들기 편에서도 뚜레쥬르 케이크를 등장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뚜레쥬르의 케이크 매대를 노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의 시청자는 뚜레쥬르를 무의식 중에 거부감 없이 각인할 수 있게 되어 매출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결론 및 시사점
고객은 다양한 제품의 빵과 당일 구운 신선한 빵을 원한다. 그러나 일반 영세한 제과점에서는 인건비 부담과 다양한 제품 구색을 갖추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대규모 제과체인에서는 신선도 유지가 관건이었다. 이를 파악한 뚜레쥬르는 하루에 3번 모든 빵을 구워낼 수 있는 뚜레쥬르만의 시스템을 계획하였다. 최고급 원료인 캐나다산 밀가루와 일본과 프랑스에서 도입한 발효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냉동생지를 콜드체인시스템을 통해 가맹점에 공급한다.
하지만 국내 베이커리시장에서는 월등한 차이로 파리바게트가 앞서고 있다. 점유율 2위인 뚜레쥬르가 과열화된 경쟁시장에서 젊어지는 빵이라는 새로운 마케팅을 통해 현재 쥐식빵으로 실추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고 위기감을 느끼는 가맹점주들에게는 계속 점포를 운영해도 안전하다는 믿음을 주고자 한다. 뚜레쥬르는 국내 시장점유율과 점포수를 늘리는 한편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더 높은 이익을 창출하고 고객에게 믿음을 줌으로써 성장할 뿐만 아니라 안전한 먹거리 제공에 기여할 것 이다.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4.02
  • 저작시기202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