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전치태반 & 제왕절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전치태반 & 제왕절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상자 건강문제 고찰
1. 대상자 간략소개
2.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1. 간호 사정 도구(Nursing assessment tool)
2. 신체 검진
3. 임상 검사결과 보고
4. 진단 검사
5. 사용약물 보고
6. 간호과정
7. 퇴원개요

본문내용

골반사강염, 자궁주위조직염
발진, 가려움, 과립구 감소, 설사, 구역, 발열, 스트븐스-존슨증후근 등
1)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 환자
3)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의해 용혈성 빈혈을 보이는 환자
4) 리도카인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근육주사에 한함.)
Lasix 20mg
( Furosemide 20mg )
이뇨제
IV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급성폐부종
수분, 전해질배설 증가, 탈수, 저혈량증, BUN·Cr상승, 구갈 등
1)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저혈량증 또는 탈수 환자
3) 무뇨환자
4) 신부전 환자
5) 중증의 저칼륨혈증 환자
6) 중증의 저나트륨혈증 환자
7) 중증의 간장애 환자
8) 임산부, 수유부
9) 테르페나딘 또는 아스테미졸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Mobinul 0.2mg
(Glycopyrrolate 0.2mg )
항콜린성제
IM
- 수술전 타액분비, 기관기관지액 분비, 인두분비, 위액의 유리산 분비 감소
- 마취시나 마취유도시 심장미주신경 억제반사의 방지
구갈, 배뇨장애, 산동, 빈맥, 두통, 졸음, 구역, 변비 등
이 약에 과민증 환자
Kytril 3mg
(granisetron hydrochloride)
진토제
IV
-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으로 인한 구역 및 구토
-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두통, 변비, 과민반응 등
1) 아급성의 장폐색의 징후가 있는 환자
2) 심장관련 동반질환, 심장독성 화학요법 및/또는 전해질 이상을 수반하는 환자
Eruvin 0.2mg
(Methylergonovine Maleate )
자궁수축제
IM
태반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구역, 설사, 혈압상승, 두통, 어지러움, 경련 등
1) 임부
2) 분만 중인 여성
3) 자간(eclampsia) 환자
4) 분만 유도 환자
5) 고혈압
Oxytocin 10U
(Oxytocin)
자궁수축제
IV
분만유도, 진통미약, 분만후 출혈, 이완성 자궁출혈, 자궁퇴축부전, 제왕절개술(태아만출 후), 유산, 인공임신중절
자궁의 과도한 진통, 자궁파열, 경관열상, 양수색전증, 이완출혈 등
1)분만유도, 진통미약의 치료 목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2)아두골반불균형, 자궁의 과도한 진통, 자궁절박파열 또는 태아가사상태의 환자
3)상위(常位)태반조기박리상태의 환자
4)자궁패혈증 환자
5)임신중독증 및 다태임부
6)양수색전증 및 양수과다증 환자
7)중증 전자간중독증 환자
FiBrix 50mg
(Aminomethylbenzoic acid)
지혈제
IV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출혈 예방 및 치료
빈맥, 구역, 구토, 설사, 어지러움, 혈전성 정맥염
1) 임신초기의 임부
2) 중증 신부전
3) 유리체 출혈
4) 과다응고 환자
Intrafusin 10% 500ml
아미노산수액제
IV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산증 등
1) 간성혼수
2) 중증의 신장애 환자, 고질소혈증 환자
3) 소모성 심부전증 환자
4) 폐부종 환자
5) 핍뇨증, 무뇨증 환자
6) 알칼로시스 환자
7) 방실블럭, 중증근무력증 환자
8) 만 2세 이하의 영아
Pentaspan 10% 500mL
혈장대용액
IV
- 출혈, 수술, 화상 또는 기타 외상으로 인한 혈액량 부족증
- 백혈구분리반출술(Leukapheresis)의 보조요법
응고장애, 출혈, 두통, 설사, 허약감, 어지러움, 과민반응
1) 패혈증 환자
2) 중증 간 질환 환자
3) 히드록시에칠전분에 과민반응 환자
4) 중증 출혈장애 환자
5) 울혈성심부전 환자
6) 핍뇨나 무뇨를 수반한 신부전 환자
7) 급성 뇌경색 환자
6. 간호과정
1) 분만과 관련된 불안
2)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제왕절개 분만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4) 분만 후 감각이상과 관련된 배뇨장애
DATE
12/09 ~ 12/10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객관적사정
“갑자기 환자가 된 느낌이에요.”
“당황스러워요.”
“당장 내일 수술이라고 하니까 무섭고 불안하네요.”
“출혈이 심하진 않겠죠? 수혈까지는...”
“전치태반이 왜 생겨가지구...”
진단명 : PL previa totalis
동공이 흔들림.
불안한 표정(+)
목소리 떨림(+)
안절부절(+)
간호진단
분만과정과 관련된 불안
간호계획
간호목표
대상자는 수술 중 합병증(감염위험, 과다출혈, 방광손상, 장기손상, 무기폐 등) 없이 분만을 한다.
대상자는 분만에 대한 불안이 감소하였다고 말한다.
간호지시(이론적근거)
1. 대상자의 불안을 사정하고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불안은 말로 표현될 때 감소 될 수 있다.)
2. 대상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경청한다.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불안을 줄이고 건강상태에 대해 알리기 전에 사정을 하여 교육 시 반영한다.)
3. 수술과 수술 후 예상되는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한다.
(막연하고 불분명한 상황은 불안을 증가시키므로 정확한 정보 를 제공한다.)
4. 대상자의 신체적 요구(영양식이, 수면 등)를 충족시킨다.
(신체적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킨다.)
5. 대상자와 가족이 간호와 치료를 결정하고 대응하는데 참여하도록 한다.
(대상자가 간호계획에 참여함으로서 치료적 행동에 보다 협조적이고 적극적이 되며 가족이 대상자를 지지하여 불안감이 감소한다.)
6. 불안 경감을 위한 대체요법(이완요법, 심호흡 등)에 대한 유인물을 배부하고 교육한다.
(비약물적인 방법으로 불안을 경감시키고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7.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조용한 분위기는 대상자를 안정시킬 수 있다.)
8. 필요 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항불안제는 효과적으로 불안을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불안을 사정하고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경청하였다. (by. SN)
12/9 16:25
“내일 수술인데 어떠세요?”
“불안해요. 당황스럽기도하고... 무섭네요. 수혈까지 하면 어쩌죠? 갑자기 환자 된 거 같고 수술 잘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