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3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4
1. 다이어트의 개념
2. 다이어트의 행동
3. 다이어트의 실태
4. 다이어트의 동기
Ⅲ. 연구방법․․․․․․․․․․․․․․
1. 가설 설정
2. 연구 문제
Ⅳ. 결과 및 고찰․․․․․․․․․․․15
1. 연구의 대상과 표집방법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4
1. 다이어트의 개념
2. 다이어트의 행동
3. 다이어트의 실태
4. 다이어트의 동기
Ⅲ. 연구방법․․․․․․․․․․․․․․
1. 가설 설정
2. 연구 문제
Ⅳ. 결과 및 고찰․․․․․․․․․․․15
1. 연구의 대상과 표집방법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미영(1997)도 다이어트를 체중감소를 위하여 섭식을 제한하는 행동과 인지적 노력 모두를 포괄하는 의미로 정의하고 있으며, Neumark-sztainer 와 Story(1998)는 체중감소를 위한 섭식 행동뿐만 아니라 운동행위는 물론 실제 행동이 아닌 체중감소를 원하는 욕망까지 포함한다고 제시하여 다이어트라는 용어는 신체적인 측면 외에도 의미하는 바가 다양하나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는 않다. ‘미셀 푸코(M.Foucault)의 권력이론’(정일준 역, 1994)에서는 다이어트를 일상적 수준에서 행사되는 미시권력(micro-power)이 인간의 육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전략으로 파악하였다. 즉, 다이어트는 개별적인 개인의 사회적 삶과 육체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 행사되는 권력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Turner(1996)는 다이어트는 일상적 삶과 관련이 깊은 권력이며 육체와 삶의 관심과 통제의 대상으로 삼아 그것을 최대한 이용하려는 속성과 전략을 노출하며 우리의 육체를 끊임없이 분석하고 조정 한다는 관점으로 해석을 내리기도 하였다. 인간의 몸은 주관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장소가 된다. 개인이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또 표현하는데 있어 자신의 몸의 이미지는 중요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몸과 건강한 몸은 주요 관심사가 되어 떠오르게 되므로 신의 몸을 어떻게 보살피고 있는가는 자신의 가치를 높여주고 자신의 지위와 삶의 태도를 상징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다이어트라는 용어가 본래 세간에서 통용되고 있듯이 체중감량, 체중감량식이란 의미만을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누구나 체중감량이란 의미로 다이어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체중감 량이란 의미로써 다이어트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2. 다이어트 행동
다이어트 행동은 실천적 영역으로 다이어트 활동과 관련 있는 다이어트 지식의 응용 및 실행을 뜻한다. 현대에는 여성과 남성을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원하고 또 실제로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다이어트는 더 이상 과도하게 살이 찐 사람이 살을 빼기 위한 노력이 아니며 본인이 만족할 수 있을 만큼 날씬한 몸매를 얻기 위하여 끊임없이 살을 빼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다이어트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만도에 따른 다이어트 방법을 살펴보면 주석범(2003)의 연구에 서는 비만군의 23.5%가 체중조절을 위해 식이요법을 경험하였고,6.1%의 비비만군 보다 식이요법 경험이 더 많았다. 운동요법의 경우, 비만군의 45.7% 비비만군의 21.1%가 체중조절을 위해 운동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호연과 송경희(1995)의 연구에서는 다이어트 방법으로 저체중 군일수록 약물복용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군일수록 자신의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식과 불량한 식습관은 저체중군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체중조절 방법에 따른 연구를 살펴보면, 식이조절이 21.5%, 운동31.6%, 단식 21.9%, 한 가지 식품만 먹는 방법 10.8%, 설사약 복용2.3%, 다이어트용 상품복용 1.8%, 담배를 피우는 경우 0.4%로 나타났다. 그 외에 체중조절을 위해 이뇨제 복용, 구토를 하는 경우, 식욕감퇴제 이용의 방법이 소수가 있었다. 체중조절 방법의 선택경로는 잡지. 신문. TV를 통해서가 54.7%,친구를 통해서가 17.3%로 나타났다. 다이어트에 대한 부작용을 경함한 학생이 43.4%였고 부작용으로는 71.3%가 어지럼증을 느꼈고,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41%, 생활의욕 상실이 26.5%로 나타났다(홍은경 등, 1997; 최은옥, 우경자 &천종희, 1999). 박영숙, 이연화 & 최경숙(1995)의 연구에서는 또한 체중을 감소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법은 식사량을 줄이는 방법이 28.0%, 운동량을 늘리는 방법이 20.5%, 식사를 거르는 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식품이나 약제를 먹어본 사람은 전체 12.2% 정도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용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이어트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은 TV나 신문, 잡지를 보는 시간이 많아 활동계수가 낮았으며, BMI가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외모나 옷맵시 때문에 단일식품 요법이나 단식 및 절식 등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시도하였다. 또한 식욕을 못 참거나 부작용 때문에 체중조절을 중도에 포기함으로써 건강을 해치거나 체중 감량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박명희 & 최영선, 1998). 비만 여성 및 여학생 및 여성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거나 많이 사용하는 체중조절 방법은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나타났지만(Levy& Heaton, 1993; Sedula 등, 1993; 조선진 & 김초강, 1997), 단기간에 체중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많은 여학생들은 건강에 위험한 다이어트용 약을 복용하거나 구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oses(1989)연구에서는 사춘기 여고생은 다이어트를 실행하는데 있어 약 13%의 여고생이 완화제나 이뇨제 같은 약물을 복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3. 다이어트 실태
보건복지부가 고려대 신철교수팀에 의뢰 만11-17세 여학생 2891명과 남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외모인식과 건강수준실태조사’를 벌인결과 여학생의 64.3%, 남학생의 36.1%가 체중감량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 여학생 중에서도29.3%가 체중감량경험이 있었으며 비만도에 대한인식도 왜곡되어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저체중군 여학생의 35.6%가 자신의 체형을 보통이라고 생각하고 정상 체중군의 여학생 41.2%는 자신을 약간 뚱뚱하다고 평가하는 등 실제 체중은 그렇지 않은데도 자신이 비만하다고 느끼는 경우가상당수였다. 체형선호도 조사에서는 여학생들의 61.4%가 마른 것을 이상적 체형으로 생각하는 반면 보통체격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3.4%에 불과했다. 또 여학생의 10.9%, 남학생의 7.5%에서 ‘식이장애 고위험증 세 거식증’이 나타나 무리한 다이어트의 부작용이심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의 상업적 다이어트에는 다이어트식품, 생식, 다이어트약품, 단식원, 피부 비만관리
다이어트라는 용어가 본래 세간에서 통용되고 있듯이 체중감량, 체중감량식이란 의미만을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누구나 체중감량이란 의미로 다이어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체중감 량이란 의미로써 다이어트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2. 다이어트 행동
다이어트 행동은 실천적 영역으로 다이어트 활동과 관련 있는 다이어트 지식의 응용 및 실행을 뜻한다. 현대에는 여성과 남성을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원하고 또 실제로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다이어트는 더 이상 과도하게 살이 찐 사람이 살을 빼기 위한 노력이 아니며 본인이 만족할 수 있을 만큼 날씬한 몸매를 얻기 위하여 끊임없이 살을 빼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다이어트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만도에 따른 다이어트 방법을 살펴보면 주석범(2003)의 연구에 서는 비만군의 23.5%가 체중조절을 위해 식이요법을 경험하였고,6.1%의 비비만군 보다 식이요법 경험이 더 많았다. 운동요법의 경우, 비만군의 45.7% 비비만군의 21.1%가 체중조절을 위해 운동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호연과 송경희(1995)의 연구에서는 다이어트 방법으로 저체중 군일수록 약물복용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만군일수록 자신의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식과 불량한 식습관은 저체중군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체중조절 방법에 따른 연구를 살펴보면, 식이조절이 21.5%, 운동31.6%, 단식 21.9%, 한 가지 식품만 먹는 방법 10.8%, 설사약 복용2.3%, 다이어트용 상품복용 1.8%, 담배를 피우는 경우 0.4%로 나타났다. 그 외에 체중조절을 위해 이뇨제 복용, 구토를 하는 경우, 식욕감퇴제 이용의 방법이 소수가 있었다. 체중조절 방법의 선택경로는 잡지. 신문. TV를 통해서가 54.7%,친구를 통해서가 17.3%로 나타났다. 다이어트에 대한 부작용을 경함한 학생이 43.4%였고 부작용으로는 71.3%가 어지럼증을 느꼈고,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41%, 생활의욕 상실이 26.5%로 나타났다(홍은경 등, 1997; 최은옥, 우경자 &천종희, 1999). 박영숙, 이연화 & 최경숙(1995)의 연구에서는 또한 체중을 감소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법은 식사량을 줄이는 방법이 28.0%, 운동량을 늘리는 방법이 20.5%, 식사를 거르는 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식품이나 약제를 먹어본 사람은 전체 12.2% 정도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용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이어트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은 TV나 신문, 잡지를 보는 시간이 많아 활동계수가 낮았으며, BMI가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외모나 옷맵시 때문에 단일식품 요법이나 단식 및 절식 등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시도하였다. 또한 식욕을 못 참거나 부작용 때문에 체중조절을 중도에 포기함으로써 건강을 해치거나 체중 감량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박명희 & 최영선, 1998). 비만 여성 및 여학생 및 여성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거나 많이 사용하는 체중조절 방법은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나타났지만(Levy& Heaton, 1993; Sedula 등, 1993; 조선진 & 김초강, 1997), 단기간에 체중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많은 여학생들은 건강에 위험한 다이어트용 약을 복용하거나 구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oses(1989)연구에서는 사춘기 여고생은 다이어트를 실행하는데 있어 약 13%의 여고생이 완화제나 이뇨제 같은 약물을 복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3. 다이어트 실태
보건복지부가 고려대 신철교수팀에 의뢰 만11-17세 여학생 2891명과 남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외모인식과 건강수준실태조사’를 벌인결과 여학생의 64.3%, 남학생의 36.1%가 체중감량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 여학생 중에서도29.3%가 체중감량경험이 있었으며 비만도에 대한인식도 왜곡되어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저체중군 여학생의 35.6%가 자신의 체형을 보통이라고 생각하고 정상 체중군의 여학생 41.2%는 자신을 약간 뚱뚱하다고 평가하는 등 실제 체중은 그렇지 않은데도 자신이 비만하다고 느끼는 경우가상당수였다. 체형선호도 조사에서는 여학생들의 61.4%가 마른 것을 이상적 체형으로 생각하는 반면 보통체격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3.4%에 불과했다. 또 여학생의 10.9%, 남학생의 7.5%에서 ‘식이장애 고위험증 세 거식증’이 나타나 무리한 다이어트의 부작용이심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의 상업적 다이어트에는 다이어트식품, 생식, 다이어트약품, 단식원, 피부 비만관리
추천자료
외모지상주의와 청소년기의 신체적자아상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의 차이
[가족해체] 가족해체의 원인과 다양한 형태 및 가족해체의 문제점, 영향에 대한 가족해체 극...
D도시 간호학과 여대생들의 비만지수와 신체상에 관한 연구
[기능성 화장품][화장품][기능성 화장품 개념][기능성 화장품 실험규칙][기능성 화장품 출현...
성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고, 결혼후 가사분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인간과사회 A형)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하나 골라서 사회학적 상상력과 분...
성사랑사회C : [성사랑사랑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
[성사랑사회 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과 의료에 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