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CKD 만성신부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CKD 만성신부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1) 주증상 (Chief complaints)
2) 현병력 (present illness)
3) 과거병력 (past history)
4) 가족력 (family history)
5) 질병 진행과정 (Progress of Disease)

3.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4. 약물

5. 특수치료 및 시술
1) 수술

6. 간호과정
1) 신기능 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2) 질병관리 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3) 복막투석으로 인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4) 처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본문내용

단) 고지혈증 - 5/5 START
toujeo, novorap : (1999년도 진단) 당뇨 - 5/5 START
⑪ folic acid : RBC, Hb, Hct 저하(빈혈 증상) - 5/5 START
⑬ nephro : 만성신부전으로 인한 인산의 배출 저하 5/5 START
⑭ cough syrip : 목 통증 5/11 START
levotuss : 목 통증 5/14 START
⑮ hexamedine : 구강간호 5/14 START
⑧ tasna , ⑨ pantoloc (PPI) : 위장 손상 보호 - 5/15 START
⑩ duphalac : 복압상승방지 - 5/16 START
CAPD2 1.5% 2000㎖ : 복막투석(첫시행) - 5/17 START
5/5
5/6
5/7
5/8
5/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① aspirin (항혈전, 혈소판응집 억제제)
② palvix (항혈전, 혈소판응집 억제제)
③ maxdio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길항제)
④ diatrend (혈압강하제)
⑤ sigmart (혈관확장제)
⑥ lipitor (고지혈증 치료제)
⑦ furix (이뇨제)
⑧ tasna (제산제)
⑨ pantoloc (PPI)
⑩ duphalac (변비 완화제)
⑪ folic acid (비타민 B)
⑫ bonky (Vit.A, D, E)
⑬ nephro (고인산혈증)
⑭ cough (진해거담제 & 기침감기약)
⑮ hexamedin (구내염, 구강 살균소독제)
levotuss (진해거담제 & 기침감기약)
toujeo (장시간형 인슐린)
novorap (중간형 인슐린)
CAPD2 1.5% 2000㎖(복강 투석액)
Ⅴ. 특수치료 및 시술
1) 수술
① CAPD Catheter 삽입술
- 날짜 : 5/10
시술 목적 : 복막투석을 위해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간호내용
∞ 수술 부위인 복부 skin prep
∞ MN부터 NPO 유지
∞ Catheter inserstion 수술 동의서
∞ N/S 1000 ㎖ IV
∞ 수술 전 자연배뇨 확인
∞ 속옷, 안경, 틀니 등을 제거함을 확인하였고 환의만 착용한 것을 확인함
∞ V/S 측정
BT
R
BP
P
36.5℃
16회/분
135/93
55회/분
∞ 수술실로 보호자와 함께 이동함을 확인함
결과 : 수술 부위 oozing없으며, NRS 0점을 호소하였으나 병동생활 중에 복부 불편감을 호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Ⅵ. 간호과정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1. 신기능 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2. 질병관리 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3. 복막투석으로 인한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4. 처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1. 신기능 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DATE
5/11 - 퇴원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S data:
“ 전체적으로 부종이 조금 있다고 하더라고. 손발도 가끔 저리고 그랬는데 부종 때문에 그랬던거래요. ”
“ 소변을 진짜 조금씩 봤었어요. ”
“ 평소에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많이 먹었죠. ”
O data:
CKD stage 5 진단(5/5)
온몸이 많이 부어있음
Intake
Output
경구
정맥


차이
소변
650
400
1050
2000
-950
2000
I/O check (5/5)
furix(이뇨제) 사용
<혈액검사>
정상범위
5/5
5/7
5/10
RBC
4.2~5.7
3.60 ▼
3.84 ▼
3.73 ▼
Hb
13.5~17.9
10.5 ▼
10.9 ▼
10.7 ▼
Hct
40~53
30.4 ▼
32.1 ▼
31.0 ▼
<임상화학검사>
정상치
5/5
5/6
5/7
5/10
Na
136~145 mmol/L
131.2▼
135▼
Ca
8.8~10.2 mg/dL
6.3▼
6.9▼
6.8▼
7.6▼
P
2.7~4.5
uric acid
~<7.0
11.4▲
11.3▲
cal.osmolality
280~295 mmol/k
329▲
322▲
319▲
317▲
BUN
~<20.0
127.7 ▲
118.7 ▲
108.2▲
Cr
~<1.4
10.48 ▲
9.67 ▲
8.26 ▲

정상범위
5/5
HCO₃, blood
22~26 mmol/L
20.2▼

Pro(2+)
간호진단
신기능 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간호목표 및 결과기준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 기간 동안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 수치를 유지한다.
대상자는 입원 기간 동안 처방받은 식이습관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입원 기간 동안 혈압이 정상 수치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입원 기간 동안 처방된 대로 24시간 수분섭취를 수행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정상 혈압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소변 배출량이 시간당 30ml 이상으로 증가한다.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혈액검사 수치를 매일 모니터한다.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 및 부종과 관련된 전해질, BUN, Cr 수치를 모니터링 한다.)
2. 매일 몸무게를 측정한다.
(체중은 섭취나 배출보다 체액이나 나트륨 유지에 더 민감한 지표이다.)
3. 처방에 따른 수분섭취를 하도록 한다.
(수분제한은 세포 밖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일부 대상자에게 수분은 하루 1L 정도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4. 처방대로 수액을 공급하고 IV속도를 주의해서 모니터한다.
5.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한다.
(이뇨제는 과도한 체액 배설에 도움을 준다. 이뇨제 치료에는 질환의 급성이나 만성에 따른 최선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6.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7.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면밀하게 기록 관찰한다.
(혈관 내 혈관 밖 공간으로의 체액 이동은 탈수를 일으킨다. 이뇨제 사용 시 탈수 위험이 더 증가된다. 또한, 소변배출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다.)
8.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식이교육을 한다.
(신장에서 인의 배설이 저하되므로 인산의 섭취를 제한해야하며, 위장관에서 칼슘을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Vit.D가 흡수되지 못하므로 칼슘보충제나 Vit.D를 투여해야하고, 단백질은 BUN수치를 높이므로 제한한다. 칼륨도 신장의 배설능력저하로 높기
  • 가격2,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21.06.16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