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 간호평가
3. 핵심기본간호술 성취수준 평가표 기록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 간호평가
3. 핵심기본간호술 성취수준 평가표 기록
본문내용
검사하는 방법 으로 여러 가지 심장관련 질환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
-Nomal sinus rhythm
-Nonspecific T wave abnormality
※ 종합분석 및 의의 : 공동의 리듬 정상, T파 이상소견 발견되지 않음,
5) Blood Gas Analysis (ABGA)
성 분
정 상 치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pH
7.35~7.45
ㆍ7.35 미만 산증, 7.45 초과 알칼리증
정상범위는 완충제인 탄산과 중탄산에 의해 유지
(H2CO3:HCO3 = 1:20)
-
PaCO2
35~45 mmHg
ㆍ35미만 호흡성 알칼리증, 45 초과 호흡성 산증
-
PaO2
80~100 mmHg
ㆍ100 초과 고농도 산소의 장기투여
ㆍ80 미만 저산소혈증을 초래하는 질환
-
HCO3-
22~26 mEq/L
ㆍ22 미만 대사성 산증, 26 초과 대사성 알칼리증
-
BE
-2~+2
ㆍ염기과다 정도
-
SiO2
(O2 saturation)
96~100%
ㆍ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
-
※ 종합분석 및 의의: 시행하지 않음
6) 방사선 검사(X-RAY, CT)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Abd CT
(ERCP
시행 전)
2018/05/25
-간 담도 및 담낭의 질병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CT는 단순 X선 촬영에 비해 구조물이 겹쳐지는 것이 적어 구조물 및 병변을 좀더 명확히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대부분의 장기 및 질환에서 병변이 의심되고 정밀검사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기본이 되는 검사법.
-More increased size of a stone distal CBD (0.7cm→1.8cm)
Abd CT
(ERCP
시행 후)
2018/05/30
-No visualization of a 1.8cm stone in distal CBD
-acute cholangitis (급성 담관염)
-acute pancreatitis
(급성 췌장염)
※ 종합분석 및 의의:
7) 내시경, 초음파 검사 및 기타검사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ERCP
2018/05/28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계를 조영한 후 직접
보는 검사.
-식도와 위를 통하여 광학섬유 내시경을
십이지장으로 통과.
-조영제를 관 안으로 주입시켜 담도계 구조를
직접 살펴보고 담석을 발견하여 제거할 수 있음.
-Multiple CBD stone&sludge
-Mechanical lithotripsy & Endoscopic stone removeral
※ 종합분석 및 의의: CBD stone 과 sludge 제거함
8) 기타검사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5/29 (ERCP 후)
CRP (면역혈청)
2018-05-29
급성염증을 나타내는 물질로 ESR 보다 예민도가 높다.
감염후 14-26 시간 내에 나타나 회복기에 소실된다.
ㆍ증가: 세균 감염증, 류마티스열, 급성 심근경색 등
ㆍNomal Range : 0.0 0.3
73.60▲
Amylase
2018-05-29
Amylase는 전분이나 글리코겐 같은 다당류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췌장과 타액선에서 주로 분비 된다.
췌장질환의 진단이나 경과관찰에 유용한 검사이다.
▲ 증가: 췌장질환, 타액선질환, 간*담도질환, 소화성궤양 천공, 급성알코올중독증
▼ 감소: 임상적 의의 없음
658▲
※ 종합분석 및 의의 :
6. 대상자 치료 목록 요약
항 목
치 료 내 용
수술
시행하지 않음
약물치료
-고체온시 5% D/W, 타세놀이알서방정
-오심 시 모사메드 정
-통증 시 demerol
활동
해당사항 없음
식이
5/28 ERCP 전 까지 NPO
ERCP 후 NPO 해제
체위
해당사항 없음
물리치료 및 재활치료
해당사항 없음
소독
해당사항 없음
기타
-
7. 자료수집 과정에서 질문할 내용(실습지도교수나 프리셉터, 수간호사)
날짜
내용
해결 여부
5/29
인계장에 Tb라는 글자는 무슨 의미인가요?
【2단계】 간호진단 ~ 간호평가
-앞서 한 간호사정을 통하여 대상자의 문제점을 알아내고, 그에 따른 간호진단을 내려 Maslow의 욕구단계에 근거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음.
총담관 폐색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요새 열감이 오르면서 너무 덥기도 하고 근데 체온은 그대로네요..”
1. CRP : 73.60으로 높음
2. CT 검사 결과상 담관염이 보임(담관염으로 인한 감염)
3. 오로페넴 tid (q8hr) 투여 중
간호목표
(단기) 처방된 항생제를 정확한 시간에 투여한다.
(장기) 대상자의 염증수치를 정상범위로 낮춘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4시간 마다 V/S를 측정한다.
2. 처방된 항생제(오로페넴주 1g)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3. 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관찰한다.
4.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5. 손씻기를 생활화 한다.
6. WBC, CRP 등 감염관련 수치를 확인한다.
1. v/s 측정으로 대상자의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2.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어지러움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3. 감염징후의 요인인 고열을 관찰함으로써 감염예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4. 고열은 감염의 징후이다.
5.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손을 씻는 것이다.
6. 감염관련 수치가 증가하는 것은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간호수행
1. 4시간마다 V/S를 측정하였다
2. 처방된 항생제(오로페넴주 1g)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였다.
3. 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관찰하였다.
4. 열이 나진 않는지, 다른 감염의 징후는 없는지 확인하였다.
5. 손씻기를 생활화 하였다.
6. WBC(5.8), CRP (73.60) 등 감염관련 수치를 확인하였다.
평가
부분달성 하였다.
체온은 오르지 않았고, WBC 수치는 정상 범위로 돌아왔으나
CRP 수치는 정상보다 조금 높게 측정되었다.
총담관의 결석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왼쪽 아랫배가 30분 간격으로 왼쪽 아랫배가 쿡쿡 쑤시듯이 아파요”
1. LLQ 통증 remain
2. NRS 점수 7점
3. 처
-Nomal sinus rhythm
-Nonspecific T wave abnormality
※ 종합분석 및 의의 : 공동의 리듬 정상, T파 이상소견 발견되지 않음,
5) Blood Gas Analysis (ABGA)
성 분
정 상 치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pH
7.35~7.45
ㆍ7.35 미만 산증, 7.45 초과 알칼리증
정상범위는 완충제인 탄산과 중탄산에 의해 유지
(H2CO3:HCO3 = 1:20)
-
PaCO2
35~45 mmHg
ㆍ35미만 호흡성 알칼리증, 45 초과 호흡성 산증
-
PaO2
80~100 mmHg
ㆍ100 초과 고농도 산소의 장기투여
ㆍ80 미만 저산소혈증을 초래하는 질환
-
HCO3-
22~26 mEq/L
ㆍ22 미만 대사성 산증, 26 초과 대사성 알칼리증
-
BE
-2~+2
ㆍ염기과다 정도
-
SiO2
(O2 saturation)
96~100%
ㆍ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
-
※ 종합분석 및 의의: 시행하지 않음
6) 방사선 검사(X-RAY, CT)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Abd CT
(ERCP
시행 전)
2018/05/25
-간 담도 및 담낭의 질병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CT는 단순 X선 촬영에 비해 구조물이 겹쳐지는 것이 적어 구조물 및 병변을 좀더 명확히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대부분의 장기 및 질환에서 병변이 의심되고 정밀검사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기본이 되는 검사법.
-More increased size of a stone distal CBD (0.7cm→1.8cm)
Abd CT
(ERCP
시행 후)
2018/05/30
-No visualization of a 1.8cm stone in distal CBD
-acute cholangitis (급성 담관염)
-acute pancreatitis
(급성 췌장염)
※ 종합분석 및 의의:
7) 내시경, 초음파 검사 및 기타검사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ERCP
2018/05/28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계를 조영한 후 직접
보는 검사.
-식도와 위를 통하여 광학섬유 내시경을
십이지장으로 통과.
-조영제를 관 안으로 주입시켜 담도계 구조를
직접 살펴보고 담석을 발견하여 제거할 수 있음.
-Multiple CBD stone&sludge
-Mechanical lithotripsy & Endoscopic stone removeral
※ 종합분석 및 의의: CBD stone 과 sludge 제거함
8) 기타검사
항 목
검사일
임상적 의의
대상자의 결과
5/29 (ERCP 후)
CRP (면역혈청)
2018-05-29
급성염증을 나타내는 물질로 ESR 보다 예민도가 높다.
감염후 14-26 시간 내에 나타나 회복기에 소실된다.
ㆍ증가: 세균 감염증, 류마티스열, 급성 심근경색 등
ㆍNomal Range : 0.0 0.3
73.60▲
Amylase
2018-05-29
Amylase는 전분이나 글리코겐 같은 다당류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췌장과 타액선에서 주로 분비 된다.
췌장질환의 진단이나 경과관찰에 유용한 검사이다.
▲ 증가: 췌장질환, 타액선질환, 간*담도질환, 소화성궤양 천공, 급성알코올중독증
▼ 감소: 임상적 의의 없음
658▲
※ 종합분석 및 의의 :
6. 대상자 치료 목록 요약
항 목
치 료 내 용
수술
시행하지 않음
약물치료
-고체온시 5% D/W, 타세놀이알서방정
-오심 시 모사메드 정
-통증 시 demerol
활동
해당사항 없음
식이
5/28 ERCP 전 까지 NPO
ERCP 후 NPO 해제
체위
해당사항 없음
물리치료 및 재활치료
해당사항 없음
소독
해당사항 없음
기타
-
7. 자료수집 과정에서 질문할 내용(실습지도교수나 프리셉터, 수간호사)
날짜
내용
해결 여부
5/29
인계장에 Tb라는 글자는 무슨 의미인가요?
【2단계】 간호진단 ~ 간호평가
-앞서 한 간호사정을 통하여 대상자의 문제점을 알아내고, 그에 따른 간호진단을 내려 Maslow의 욕구단계에 근거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음.
총담관 폐색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요새 열감이 오르면서 너무 덥기도 하고 근데 체온은 그대로네요..”
1. CRP : 73.60으로 높음
2. CT 검사 결과상 담관염이 보임(담관염으로 인한 감염)
3. 오로페넴 tid (q8hr) 투여 중
간호목표
(단기) 처방된 항생제를 정확한 시간에 투여한다.
(장기) 대상자의 염증수치를 정상범위로 낮춘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4시간 마다 V/S를 측정한다.
2. 처방된 항생제(오로페넴주 1g)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3. 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관찰한다.
4.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5. 손씻기를 생활화 한다.
6. WBC, CRP 등 감염관련 수치를 확인한다.
1. v/s 측정으로 대상자의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2.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어지러움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3. 감염징후의 요인인 고열을 관찰함으로써 감염예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4. 고열은 감염의 징후이다.
5.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손을 씻는 것이다.
6. 감염관련 수치가 증가하는 것은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간호수행
1. 4시간마다 V/S를 측정하였다
2. 처방된 항생제(오로페넴주 1g)를 투여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였다.
3. 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관찰하였다.
4. 열이 나진 않는지, 다른 감염의 징후는 없는지 확인하였다.
5. 손씻기를 생활화 하였다.
6. WBC(5.8), CRP (73.60) 등 감염관련 수치를 확인하였다.
평가
부분달성 하였다.
체온은 오르지 않았고, WBC 수치는 정상 범위로 돌아왔으나
CRP 수치는 정상보다 조금 높게 측정되었다.
총담관의 결석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왼쪽 아랫배가 30분 간격으로 왼쪽 아랫배가 쿡쿡 쑤시듯이 아파요”
1. LLQ 통증 remain
2. NRS 점수 7점
3. 처
추천자료
신장암 케이스 스터디 (Renal cell carcinoma)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소화기내과 CBD stone
[외과 실습] GB ston(담석증) 케이스
[간호학] 배뇨장애 대상자의 간호 (요정체 요실금 신경성 방광 요역류 수신증)
위암CASE
a++++ 칭찬받은 과제 성인간호학 수술실 or 케이스 실습 서혜부 탈장 진단3개 과정2개 수술...
A+ (CASE STUDY 총담관 결석증 및 담관염)-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와 문헌고찰등 아주 자...
a++++ 칭찬받은 과제 성인간호학 수술실 or 케이스 실습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복강...
a+ 받은 정신간호학 우울장애, 우울증 케이스 (진단2개, 간호과정 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