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매슬로(A. Maslow)욕구 단계 이론의 이해
2, 매슬로 이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
3, 매슬로 이론이 사회복지영역(또는 교육영역)에 주는 시사점
4, 로저스 인본주의 심리학의 이해
5,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
6, 사회복지영역(또는 교육영역)에 주는 시사점
결론
참고문헌
서론
매슬로(A. Maslow)와 로저스(C. R. Rogers)가 주창한 인본주의 심리학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기존 심리학들이 주장하던 과학적 방법론이나 인간을 대상으로 여기는 수동적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을 자유롭고 능동적인 행위자로 보고 이에 기반한 인간중심의 인간관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심리학계에서는 이를 제 3의 심리학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정신분석이나 행동주의 등 당초 지배적인 심리학 지나치게 교조적인 주류에 맞서 과학적 방법론보다는 인간이 지닌 가능성과 인간이해
서론
본론
1, 매슬로(A. Maslow)욕구 단계 이론의 이해
2, 매슬로 이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
3, 매슬로 이론이 사회복지영역(또는 교육영역)에 주는 시사점
4, 로저스 인본주의 심리학의 이해
5,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
6, 사회복지영역(또는 교육영역)에 주는 시사점
결론
참고문헌
서론
매슬로(A. Maslow)와 로저스(C. R. Rogers)가 주창한 인본주의 심리학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기존 심리학들이 주장하던 과학적 방법론이나 인간을 대상으로 여기는 수동적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을 자유롭고 능동적인 행위자로 보고 이에 기반한 인간중심의 인간관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심리학계에서는 이를 제 3의 심리학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정신분석이나 행동주의 등 당초 지배적인 심리학 지나치게 교조적인 주류에 맞서 과학적 방법론보다는 인간이 지닌 가능성과 인간이해
본문내용
로 불리는 새로운 상담심리학을 개발하였다. 로저스는 인간 본성과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치료적 관계를 촉진시키고 감정이입적이며 긍정적 존경심을 가지고 내담자를 수용적으로 상담, 치료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가 제시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Therapist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이나 치료사-내담자 심리적 접촉(Therapistclient psychological contact), 치료자 공감적 이해(Therapist empathic understanding) 등은 아직도 관심과 공감의 자세로 상담자들에게 널리 이용되는 관점이다. 로저스는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대해 그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고 행동을 개인이 세계를 지각하고 해석하는 직접적인 사건의 결과로써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성격이론에서 말하는 자아와는 결이 다른 개념으로 일너 점을 바탕으로 로저스의 성격이론을 보통 자아이론이라고도 불린다.
로저스가 제시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의 개념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수많은 조건들이 오히려 인간의 심리적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관점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우리는 흔히 사랑받을만하고 사랑스럽고 존중받을만한 조건을 타인에게서 찾지만 그것은 역으로 말하면 우리 또한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 그들이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얘기라고 볼 수 있다. 로저스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조건없이 사랑받고 존중받을 자격(가치)가 있는 존재이며 그렇게 다뤄져야 한다고 믿으며 무조건적인 수용과 관심, 그리고 존중으로 타인을 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인본주의적 심리학이 인간의 기본적인 존재성에 관심을 갖는 심리학적 경향이라는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제에서 내적 본성은 기본적 가정으로 내적 본성의 일부는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나 일부는 개인마다 고유하며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인간의 내적 본성은 기본적 욕구, 정서, 능력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선악의 중립이므로 감추지 않고 장려해야 되고 이에 따라 살게 되면 건강, 풍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
또한 치료자의 공감적 이해는 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해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참조하고자 하는 내적 인식 틀에 대해 공감적 이해를 경험하게 해야 한다는 것으로 치료자는 내담자와 마음을 열고 제대로 공감하게 되면 내담자를 대하는 치료자의 무조건적인 존중이 진심어린 마음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로저스가 주창한 인간중심 접근은 인간이 신뢰할 만한 존재이며 스스로에 대해 적절한 이해와 자아실현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하는데서 비롯된다. 로저스가 얘기한 자아실현은 인간이 생애를 살아가면서 거치는 일련의 과정이자 다른 사람들과의 인간관계 속에서 형성한 자신의 긍정적 자아상을 긍정적인 분위기와 신뢰, 공감의 분위기를 통해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상담자 혹은 원조자는 신뢰와 존중의 분위기를 갖추고 내담자를 대하고 권위가 아닌 자신의 존경과 긍정적
로저스가 제시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의 개념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수많은 조건들이 오히려 인간의 심리적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관점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우리는 흔히 사랑받을만하고 사랑스럽고 존중받을만한 조건을 타인에게서 찾지만 그것은 역으로 말하면 우리 또한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 그들이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얘기라고 볼 수 있다. 로저스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조건없이 사랑받고 존중받을 자격(가치)가 있는 존재이며 그렇게 다뤄져야 한다고 믿으며 무조건적인 수용과 관심, 그리고 존중으로 타인을 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인본주의적 심리학이 인간의 기본적인 존재성에 관심을 갖는 심리학적 경향이라는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제에서 내적 본성은 기본적 가정으로 내적 본성의 일부는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나 일부는 개인마다 고유하며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인간의 내적 본성은 기본적 욕구, 정서, 능력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선악의 중립이므로 감추지 않고 장려해야 되고 이에 따라 살게 되면 건강, 풍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
또한 치료자의 공감적 이해는 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해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참조하고자 하는 내적 인식 틀에 대해 공감적 이해를 경험하게 해야 한다는 것으로 치료자는 내담자와 마음을 열고 제대로 공감하게 되면 내담자를 대하는 치료자의 무조건적인 존중이 진심어린 마음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로저스가 주창한 인간중심 접근은 인간이 신뢰할 만한 존재이며 스스로에 대해 적절한 이해와 자아실현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하는데서 비롯된다. 로저스가 얘기한 자아실현은 인간이 생애를 살아가면서 거치는 일련의 과정이자 다른 사람들과의 인간관계 속에서 형성한 자신의 긍정적 자아상을 긍정적인 분위기와 신뢰, 공감의 분위기를 통해 실현할 수 있다고 본다. 상담자 혹은 원조자는 신뢰와 존중의 분위기를 갖추고 내담자를 대하고 권위가 아닌 자신의 존경과 긍정적
추천자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배우는 목적과 필요성 사회복지를 실천의 의견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2019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등교거부를 정신분석적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2019 -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는 등교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 사회복지생활과학(가정복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초등학교 어린...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방송통신대 2019)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초...
[2020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공통] 1.Hooper 등(2009)이 제시한 인간발달의 일곱 가지 원리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생활과학, 사회복지 -2020학년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 Hoo...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매슬로(Maslow)의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기본 시각과 특징 2.매슬로의 ...
[2020 인간행동과사회환경3공통][기말시험][출처표기] 1.공통적으로 인정되는 ‘인간만의 특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