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청소년문화(공통)(영국버밍햄학파,노동계급,청년하위문화특징,청소년욕설문화,교육적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청소년문화(공통)(영국버밍햄학파,노동계급,청년하위문화특징,청소년욕설문화,교육적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번 문제 - 목차]
1) 노동계급 청년 하위문화의 특징
2) 시사점

[2번 문제 - 목차]
1) 청소년의 욕설 문화 현황
2) 문제점
3) 교육적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도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이 개선되지 않은 이상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지 않으면 욕설은 줄어들지 않을 것이며, 현실을 바꾸지 않고 욕설만 금지하려 들면, 청소년들의 현실은 더 열악해질 것이다.” 조혜영 외(2020).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305쪽
사회적으로 욕설문화를 지양하기 위한 캠페인 등을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청소년들의 억눌린 감정을 욕설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표출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교육적으로 예체능 교육의 정상화 및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체육과 예술 활동은 청소년들의 억눌린 감정을 발산하고 분노 정서를 순화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 과정에서는 예체능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과목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음악교육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가져온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에서 볼 수 있듯이 가존 예체능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고 더욱 강화함으로써 청소년의 폭력과 욕설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강기수 외(2012).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60쪽
따라서 한국의 교육 현장에서도 예체능 특별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들이 다양한 예체능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학교와 가정에서도 일상적인 대화에서 욕설 및 비속어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 행태와 관련하여 부모와 교사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가 먼저 청소년과의 대화 시에 올바른 언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 언어에서 욕설과 비속어가 차지하는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 조혜영 외(2020).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 정동훈. 월거지ㆍ엘거ㆍ빌거…또 다른 \'계급\'에 우는 아이들. 아시아경제신문, 2019년 11월 11일자.
- 송인걸. 어린이·청소년 10명 중 4명 “매일 욕한다”. 한겨레신문, 2018년 10월 7일자.
- 국민대통합위원회(2015). [보도자료] 청소년 언어실태조사 결과발표. 국민대통합위원회.
- 강기수 외(2012). 비교육적 언어 사용 근절을 통한 바람직한 언어문화생활 제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1.14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2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